오랜 기간 동안 의견이 없음으로, 정책에 따라 총의 없음으로 삭토를 닫습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4월 25일 (토) 10:05 (KST)[답변]
백:저명성 (인물)#BJ에 의거, 삭제 토론을 엽니다. 수상 경력도 없고, 다른 미디어에 알려진 경력도 없네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08 (KST)[답변]
보류 백:저명성 (인물) 문서는 현재 정책이나 지침이 아닌 제안 상태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13:10 (KST)[답변]
- 아, 아직 지침이 아니군요. 몰랐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인물의 저명성을 보더라도 올릴 대상이 아닙니다. 본인이 생성하셨던데 왜 생성하신겁니까?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12 (KST)[답변]
- (편집 충돌) 나름 저명성이 있어보여 생성한겁니다. 실제로 머독 같은 경우 서든어택과 같은 게임 광고또한 몇번 찍은적이 있었고요 관련 기사가 있는지는 찾아보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13:14 (KST)[답변]
유지 의견 변경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2일 (월) 23:30 (KST)[답변]
삭제 백:저명성으로 보아도 저명성을 증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 Revi 2015년 1월 29일 (목) 13:13 (KST)[답변]
정보 헝그리앱TV와 같은 곳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긴합니다. 참고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13:18 (KST)[답변]
- 그것도 BJ랑 비슷한 거 아닌가요? 뭐하는 데인지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만. 거기서 활동했다고 굳이 저명성이 올라갈 확률은 없어보이는데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19 (KST)[답변]
유지 내용이 부실하고 그마저도 출처가 없다고 해서면 몰라도, 저명성 때문에 삭제하자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적어도 대한민국의 인터넷 문화 내에서는 저명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3:24 (KST)[답변]
- 그게 제시가 안 되면 저명성이 없는 거죠. 백:신뢰 가능한 출처에서 백:확인 가능하지 않으면 그건 저명성이 없는 겁니다. — Revi 2015년 1월 29일 (목) 13:27 (KST)[답변]
- 출처도 없이 어떻게 저명성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까?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28 (KST)[답변]
- 찾아보니 유튜브에서 머독이 방송한 동영상을 올리는 채널인 '머독방송'은 25만 5천여명이 구독한다고 합니다.
이 정도면 신뢰 가능하지 않나요?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3:32 (KST)[답변]
- 유튜브에서의 구독수로 저명성이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만. 아프리카 BJ이지 유튜브 사용자인가요?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36 (KST)[답변]
- 물론 유튜브 사용자는 아닙니다. 다만 동일한 동영상이 올라왔고 그걸 구독하는 사람들이 다수이니 (아프리카TV가 아닌 유튜브임에도 불구하고) 그만한 관심은 받고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3:46 (KST)[답변]
- 관심을 많이 받는다고 위키백과 문서가 될 수 있는 건 아니죠. — Revi 2015년 1월 29일 (목) 13:49 (KST)[답변]
- 웹상에서 관심 좀 얻었다고 저명성 있다고 하는 것은 비약입니다. 제3자가 검증한 출처가 아니고 자기가 올린 동영상 뿌려서 조회수 올린것을 가지고 저명성이 있다고 할 수 없습니다.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3:52 (KST)[답변]
-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적어도 인터넷 문화 내에서는 저명성이 있으니 그 시점에 맞춰서 등재해도 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입니다. 비교적 적긴 하지만 어느 정도 언론에서 거론되기도 하고요.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4:05 (KST)[답변]
- 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백:확인이 불가능하면 저명성을 입증할 수 없으므로 삭제되어야 합니다. — Revi 2015년 1월 29일 (목) 14:07 (KST)[답변]
- 그러니까 제대로 된 출처 가져와주세요. 인터넷 문화라고 오프라인 문화와 다르게 저명성의 잣대를 할 수는 없습니다.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4:08 (KST)[답변]
- 질문입니다만 게임조선, 게임동아 등의 언론사도 출처로 사용될 수 있습니까?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4:26 (KST)[답변]
- 가능해보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14:36 (KST)[답변]
- 정리해 보자면 머독은 다른 BJ인 대정령과 헝그리앱TV에 자주 출연했고, 그와 관련해서 앞서 말한 언론들이 언급을 많이 했습니다.[1][2][3] (다만 게임조선과 게임동아의 경우 헝그리앱TV의 소개를 따르고 있습니다) 2014년 지스타에서 머독이 헝그리앱TV 부스에서 사인회를 했다고도 보도했고[4], 게임사와도 연계하여 방송 이벤트를 많이 연 것으로 보입니다 [5][6][7].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4:45 (KST)[답변]
- 헝그리앱 TV가 뭐하는 데죠? 저명성이나 있습니까? -- S.H.Yoon 論 · 기여 · F.A. 2015년 1월 29일 (목) 14:50 (KST)[답변]
- 모바일게임 커뮤니티 '헝그리앱'에서 방송하는 게임 전문 채널인듯 합니다. 헝그리앱은 이쪽 참고.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4:56 (KST)[답변]
- 헝그리앱 TV는 모바일 게임 커뮤니티에서 방송하는 조그마한 방송일 뿐이고, 온게임넷이나 과거 MBC GAME같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방송국도 아닙니다. 이러한 TV에 나왔다고 저명성을 입증하기는 힘들어보입니다.
- 내옴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15:01 (KST)[답변]
- 25만 9천명이 본다고 그게 신뢰할 수 있는 겁니까? 백:신뢰#자비출판한 문서 / 백:독자연구 / "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해당 주제와 관련된 믿을 수 있다고 여겨지거나 권위 있는 출판물을 말합니다. 신뢰성의 평가는 그 내용에 대한 고려와 함께 저자와 간행물의 신용에 의존합니다." (백:신뢰에서 가져옴) — Revi 2015년 1월 29일 (목) 13:36 (KST)[답변]
- 잠시 오해했군요. 죄송합니다. --"밥풀떼기" 2015년 1월 29일 (목) 13:46 (KST)[답변]
- 헝그리앱TV 이외에도 온게임넷의 대배틀등 많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Skky999 (토론 & 기여) 2015년 1월 29일 (목) 20:48 (KST)[답변]
- 헝그리앱 TV 자체는 게임 관련 방송 플랫폼으로서 어느 정도의 저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금은 폐국된 MBC 게임 인사들이 곰TV나 헝앱TV에서 많이 활동하고 있고요. 일반 방송국까지는 아니더라도 아프리카TV 정도의 저명성은 가지고 있지 않나 마 그래 생각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2월 3일 (화) 01:29 (KST)[답변]
유지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5년 2월 2일 (월) 19:50 (KST)[답변]
삭제--Gusdn961020 (토론) 2015년 2월 2일 (월) 23:07 (KST)[답변]
유지 --비둘기출동Hohaen1(토론) 2015년 2월 3일 (화) 00:10 (KST)[답변]
유지 샐러맨더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콩가루 · 토론 2015년 2월 4일 (수) 15:43 (KST)[답변]
삭제 --한림(瀚林) 토론·기여 2015년 2월 6일 (금) 20:11 (KST)[답변]
삭제 머독이 출연하는 헝그리앱TV같은 경우에는 인지도가 높다고 하기 힘들어 보입니다. 아프리카TV와 같은 인터넷 방송의 경우 그 저명성은 '당연히' 입증될 수 없습니다. 많이 본다고 하여서 저명성이 입증된다면, 속히 말하는 별창들도 저명성이 입증된다고 볼 수 있겠군요. 많이 보니까요. 대정령의 경우와 비교를 해보았을 때, 대정령은 분명히 공중파 TV인 온게임넷에 출연한 '방송인'입니다. 그러나 머독은 개인방송을 하는 '일반인'일 뿐이죠.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Ekardenah (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 '당연히'라는 말엔 납득이 가질 않네요. 만일 위키에서 아프리카 tv bj를 당연히 저명성이 없다고 판단한다면, 백:저명성 (인물)에서 아프리카에 대해 토론 조차도 안했겠죠.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9일 (월) 01:13 (KST)[답변]
- 그리고 별창같은 경우엔 그 의미가 딱히 좋은 의미는 아니므로 사용을 자제해주십시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9일 (월) 01:14 (KST)[답변]
- 죄송합니다--Ekardenah (토론) 2015년 2월 9일 (월) 19:25 (KST)[답변]
- 추가로 서명은 필수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9일 (월) 01:15 (KST)[답변]
- 위키백과:저명성 (인물)에서 저명성 (인물)에서 아프리카 TV BJ에 대한 토론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백:저명성 (인물)을 보면, 아프리카 TV이던, 인벤방송국이던 단일 매체만으로는 저명성을 획득할 수 없습니다. 머독은 BJ의 등재요건에 해당하는 '다른 기관에서 해당 방송 내용에 대해 수상'에 대한 경력이 없고, 'BJ의 방송활동 외에 저명성이 입증된 미디어에 조명'에 해당하는 경력도 없습니다.--Ekardenah (토론) 2015년 2월 9일 (월) 19:25 (KST)[답변]
- 백:저명성 (인물)은 지침이나 정책이 현재 아니라고 위에 명시했습니다. 제가 백:저명성 (인물)을 꺼낸 이유는 설명에 뒷받침하기 위해 꺼냈을 뿐 더 이상 백:저명성 (인물)을 지침화시키진 마시기 바랍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9일 (월) 19:28 (KST)[답변]
- 편집충돌났네요. 추가합니다. 위의 글 살펴보았습니다. 위키백과:저명성 (인물)이 지침이 아니라 제안이군요. 그러나 백:저명성(인물)을 따지지 않고 백:저명성에만 의거하여 해당 문서를 보았을 때, 머독이 저명하다는 신뢰 가능한 출처와 확인 가능한 평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문서는
삭제해야합니다. --Ekardenah (토론) 2015년 2월 9일 (월) 19:30 (KST)[답변]
의견이 극과 극을 달리는군요. 일단 저는 삭제에 한 표 던지죠.--러블리즈♥ (talk) 2015년 2월 10일 (화) 19:58 (KST)[답변]
- 차단된 사용자이므로, 발언 취소처리 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2월 12일 (목) 11:06 (KST)[답변]
삭제 구글과 네이버 검색을 해 보았는데, bj 머독의 저명성은 부족합니다. 게임 관련 전자신문이나 관련지에 언급된 정도인데, 이것도 기사가 많은 건 아니라고 판단됩니다. 대략 '---대전'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그 방면에 인기있는 BJ 머독,00,00의 대결- 이런식의 홍보성 기사가 많습니다. 저명성은 신뢰할만만한 출처의 언론사로 부터 상당기간에 걸쳐 노출되어야 요건에 맞는 것 아닙니까?
- 1. 신뢰할만한 출처에서 bj 머독을 다루었는가?
- 2. 신뢰할만한 출처에서 1회성이 아닌 상당 기간에 걸쳐 bj 머독의 저명성이 노출되었는가?
- 3. 프로그램이나 특정 매체를 상업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것은 아닌가?
- 4. bj 머독의 단독 업적, 성과, 이슈는 있는가? 그것이 보도되었는가? (프로그램 홍보용이나 몇몇 BJ를 묶어 독자성이 부족한 점은 없는가?)
- 이런 것들은 위키백과의 기본적인 저명성 검토 사항입니다. 백:저명을 다시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저명성은 '출처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기준에 맞춰 저명성의 확인 가능한 평가를 가능케 하기 위해 편집과 관련되어 진실성을 갖춰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 조건을 만족한다고 해도 '편집자들은 총의를 통해 주제가 기준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독립 문서로서는 부적합하다고 결론을 낼 수도 있다'는 지침이 있습니다. 즉 신뢰 가능한 출처에서 확인 가능해도 문제의 여지가 있으면, 저명성이 부족하거나 문서를 생성하는데 부족하다고 논의될 수 있는데, bj 머독의 문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출처 부분이 미흡합니다. 비록 인터넷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만 유명한 인물이라 해도 그 세계의 저명성이 나름의 사회적 보편성을 갖추게 된다면 백과사전에 기재 될 수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런 저명성이 있다면 각종 출처나 BJ로서의 이슈 및 사건 등이 상당히 풍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머독의 경우에는 그런 출처의 풍부성이 부족하고, 신뢰가능한 출처도 미흡하며, 단독의 이슈나 업적 사건도 아직은 부족해 보입니다. 그 방송을 듣는 유저가 많다 해도, 사회적 목적도 아닌 상업적 목적의 방송인데, 출처가 미흡한 문서를 굳이 생성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Miagaga (토론) 2015년 2월 12일 (목) 10:19 (KST)[답변]
삭제에 찬성합니다.--Doublecheck (토론) 2015년 2월 13일 (금) 13:10 (KST)[답변]
유지에 찬성합니다 -2014년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전한 유튜브 게임 채널 10순위에 머독채널이 9위를 차지했습니다. 출처는 여기입니다 http://youtubekrblog.blogspot.com/2014/12/2014-k-pop.html --발바닥 2015년 3월 8일 (일) 10:52
- 유튜브에도 머독 본인이 직접 업로드하지 않나요? 위키백과:저명성 (인물)#BJ의 두 조건에 전부 위배됩니다. --Senior9324 (토론) 2015년 4월 5일 (일) 22:32 (KST)[답변]
- @Senior9324: 위키백과:저명성 (인물) 아직 지침 아니라고 대체 몇 번을 말해야하나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4월 19일 (일) 09:54 (KST)[답변]
- @양념파닭:오히려 지침에 따라서 머독은 저명성이 있습니다. 유튜브 9위라는 건 머독이 세운 기준이 아닌 유튜브가 발표한 것입니다. '자비 출판'은 출처에 적용되는 것이지 수상 경력에 적용되는 게 아닙니다. 뭔가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Reiro (토론) 2015년 4월 19일 (일) 10:08 (KST)[답변]
- 백:저명성 (인물)도 이전 총의로서 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백:저명성에 "그 대상의 웹사이트"도 있습니다. 뭐 언론사 보도가 있으니 이젠 아무래도 상관 없겠군요. --Senior9324 (토론) 2015년 4월 19일 (일) 15:01 (KST)[답변]
- @Senior9324: 굳이 지침도 아닌 것을 거론해서 혼란을 야기할 필요 없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4월 20일 (월) 00:39 (KST)[답변]
삭제 --Ysjbserver (토론) 2015년 4월 14일 (화) 22:19 (KST)[답변]
유지 이런 토론이 있었네요.
- 1. 지금 보니 머독이라는 bj는 헝그리앱에서 대정령과 같이 '대정령과 머독의 리겜저겜'에 고정출연중이군요. 헝그리앱을 위에서 저명성이나 있는 곳이냐, 그러는데 그 방송은 조선일보에서도 보도하는, 하위문화계에서는 꽤 넓은 영향력 있는 매체입니다. 두mc 인터뷰도 있고요.[8] 무슨 이유로 깎아내리는지 모르겠습니다.
- 2. 블랙스쿼드[9], 영웅의 군단[10], 서든어택, 메이플스토리, 제노니아 온라인 등 다양한 게임 광고 출연에, 아프리카 특집방송인 지스타 14에도 나왔네요.[11]
- 3.위의 Miagaga님 의견 보니까 "프로그램이나 특정 매체를 상업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것은 아닌가?"등 자의적인 기준으로 저명성이 없다고 판단하셨는데, 저 기준대로면 게임광고 숱하게 나온 이말년도 짤립니다. 그리고 2013년부터 쭉 기사나오는 사람이 저명하지 않다면 대체 어느 기사가 나와야 만족하시겠습니까.--Reiro (토론) 2015년 4월 16일 (목) 14:19 (KST)[답변]
- 그리고 유튜브 채널 9위라는 기준은 머독이 아니라 유튜브가 세웁니다. 웬 자비 출판?--Reiro (토론) 2015년 4월 16일 (목) 14:22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