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더 의견을 기다렸습니다. 삭제를 주장하는 쪽에서 합당한 삭제 사유를 제시헀다고 판단. 삭제 처리합니다.--분당선M (토론) 2018년 5월 22일 (화) 00:28 (KST)[답변]
문서 등재 기준에 못 미치는 문서라고 판단됩니다. 웹소설을 창작한 사실은 확인되나 그것이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인물)#창의적인 전문가에 해당된다고 보이지 않으며, 관련 기사도 전무합니다. 문서에 출처가 둘 달려있으나 검색해봐도 찾을 수가 없는 기사입니다. 방송 출연 사실이 적혀 있으나 이것도 사실인지 확인이 어려워 공동체의 의견을 구합니다. --Bluemersen (+) 2018년 4월 1일 (일) 00:37 (KST)[답변]
유지 문서 등재 기준에 적합한 문서라고 판단됩니다. 한 사이트의 대표적인 직품을 연재하며 웹소설 쪽에서는 인지도가 있는 인물입니다. 방송 출연 또한 사실여부 확인되었습니다. 다만, 위키피디아와 위키미디어에 게시된 사진과 일부 내용들이 무단 발췌 및 사용됨으로써 저작권법상 위반됨으로 확인되어 저작권 보호 차원 하에 삭제를 요청하였습니다.--Dragonegger (토론) 2018년 4월 1일 (일) 01:13 (KST)[답변]
- 인지도가 있고 방송 출연도 사실여부 확인되셨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문서에 관련 근거를 제시해서 확인 가능하게 만들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현재 문서에 달려 있는 기사의 경우 해당 언론사 메인 페이지로 링크될 뿐이고 검색해봐도 나오지 않아 출처가 전혀 없는 문서나 마찬가지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4월 1일 (일) 10:40 (KST)[답변]
유지 문서 등재 기준에 적합한 문서라고 판단됩니다. 해당 문서는 인터넷 작가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소설같은 경우 출판을 하지 않은 이상 조회수(독자수)로 인지도를 판단하는게 옳다고 생각하며, 해당 인물이 쓴 인터넷 소설의 조회수는 통계에서 보셨듯 한때에는 3,000명 가까이가 해당 인물이 쓴 인터넷 소설을 읽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서 해당 문서는 문서 등재 기준에 미치는 문서라고 판단합니다. 단, 해당 문서에 나온 출처는 불분명한 부분은 사실이고, 출처가 불분명한 문맥은 삭제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우선 방송 출연과 기사 링크는 확인이 불가하므로 추후 Dragonegger님께서 방송 출연 사실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면 해당 내용은 그때 다시금 추가하는게 옳다고 생각합니다. 조회수에 대한 통계 자료는 이미지를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
--Sumin91 (토론) 2018년 4월 2일 (월) 18:31 (KST)[답변]
문서 등재 기준은 오로지 문서 등재 기준에 의해 판단됩니다. — regards, Revi 2018년 4월 2일 (월) 18:38 (KST)[답변]
- 공용에 비자유 사진을 올리지 마세요. 토론에 필요한 자료인지 여부는 공용에서 고려할 대상이 아닙니다. — regards, Revi 2018년 4월 2일 (월) 19:48 (KST)[답변]
유지 적합한 문서라고 판단하며,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문서에서 나온 인물이 웹에서 활동하는 작가라는 것과 위키백과에 나온 인터넷 작가를 예시로 들자면 김유리 (작가)나 이영도 작가 역시 다른 출처가 정확하게 명시되지 않았으나 인지도라는 부분하에 보존되고 있는 문서들입니다. 앞서 언급된 내용인 방송 활동이나 기사 부분에서는 나중에 보강이 필요한 문서임은 확실하지만 삭제 될 문서는 아니라 판단됩니다.--Robot 293 (토론) 2018년 4월 2일 (월) 21:36 (KST)[답변]
- 보강이 가능한가요? 아무리 찾아봐도 해당 인물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신뢰할 만한 2차 출처를 찾을 수가 없습니다. 김유리 (작가)나 이영도 문서를 언급하셨는데, 인지도 측면에서 대등하다고 볼 수 있을지 회의적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4월 13일 (금) 13:01 (KST)[답변]
- 저는 이영도 작가나 김유리 (작가)를 잘 알지 못하거나 문서를 편집하기 전에는 몰랐던 인물들이었습니다. Bluemersen님께서는 박지원 (2003년)이라는 인물이 인지도가 부족하거나 출처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삭제 토론을 여신거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해당 인물의 창작물을 아는 사람들은 Bluemersen님께서 모르는 사람들중 여럿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인지도 측명에서 대등하다고 볼 수 있을지 회의적인 것은 중립적이지 못한 발언이라고 생각됩니다.--Robot 293 (토론) 2018년 4월 13일 (금) 16:37 (KST)[답변]
-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에 따르면, "어떤 주제가 그 대상과 독립적인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면, 그 주제는 독립된 일반 문서 혹은 독립된 목록 문서로 실리기 위한 기준을 만족한다고 간주됩니다." 웹소설 작가로서 백과사전의 한 항목에 실릴 정도로 알려졌다는 사실이 증빙되려면 이 인물에 대해 중요하게 다룬 2차 자료가 있어야 하는데, 제가 지금까지 찾아본 바로는 그러한 자료를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모른다는 주관적 이유로 인지도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며, 현재 시점에서 객관적으로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한 것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4월 13일 (금) 17:20 (KST)[답변]
삭제 이 인물과 관련된 신뢰 가능 한 출처를 찾을 수 없음.--고려 (토론) 2018년 4월 13일 (금) 18:57 (KST)[답변]
의견 이 인물에 대해 기사를 찾아 각주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러나 해당 인물이 위키백과에 삭제될만한 인물인지 등재될만한 인물인지에 대한 여부는 잘 모르겠습니다.--Secure1013 (토론) 2018년 4월 27일 (금) 17:33 (KST)[답변]
- 위키트리는 기본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여겨지지 않습니다.--고려 (토론) 2018년 5월 8일 (화) 20:57 (KST)[답변]
삭제 --95016maphack 2018년 4월 27일 (금) 17:52 (KST)[답변]
유지 --211.106.97.131 (토론) 2018년 5월 8일 (화) 16:07 (KST)[답변]
유지 위키트리의 부분에서는 신뢰할 수 없는 출처라고 치지만, 네이버 TV의 경우 딱히 의심의 소지가 없는 출처임과 동시에 인물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 출처로 보여집니다. --175.223.39.62 (토론) 2018년 5월 10일 (목) 17:51 (KST)[답변]
- 네이버 TV도 위키트리에서 올린 거라 소스가 동일합니다. 사실상 동일 출처나 마찬가지입니다. Bluemersen (+) 2018년 5월 10일 (목) 18:55 (KST)[답변]
- 이걸 질질 끌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 백:저명성 (인물), 백:생존에 저촉되므로 바로 삭제 신청 가도 될 문서입니다. --95016maphack 2018년 5월 10일 (목) 19:03 (KST)[답변]
삭제 발제자의 말씀대로 위키트리 및 네이버TV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아닙니다. 네이버TV는 개인방송 성격도 있고요--분당선M (토론) 2018년 5월 14일 (월) 10:22 (KST)[답변]
삭제 근거를 찾아보려 했으나, 출처가 위키트리와 네이버tv뿐이고, 나머지 출천 없네요.--Reiro (토론) 2018년 5월 19일 (토) 08:58 (KST)[답변]
삭제 출처로 제시된 것이 저자의 지인이 쓴 듯한 위키트리 기사와, 네이버TV에 개인이 올린 동영상뿐인데다가, 문서의 대상도 전혀 저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물이 아닙니다. 이 외에, 해당 인물의 작품 문서와 {{원스토어북스}}에 링크된 다른 작품 문서도 삭제 여부를 따져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吳某君 (토·기) 2018년 5월 21일 (월) 02:32 (KST)[답변]
의견 같은 의견을 반복해서 낼 필요성이 있나요? 현재로서는 백:저명성 (인물)에 저촉되는 인물로 삭제 토론 여부와 상관 없이 삭제 가능한 문서입니다.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