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소의 경우 아직 개인 음반도 없고, 개인 고정 출연도 없어 백:인물에 따라 등재기준이 없어 보입니다. 출처가 있긴하나 이걸 등재기준을 만족할만한 출처가 되지는 않아 보이네요. 따라서 해당 문서를 우주소녀로 넘겨주기 해야 한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9월 19일 (월) 16:36 (KST)[답변]
- 조금 논점에서 벗어나나 백:인물에 있는 "폭넓은 팬 층을 확보하고 있음이 출처에 의해 증명된 인물." 이 대목은 없어져야한다봅니다. 폭넓은 팬층이라는게 일정한 기준도 없고 너무 객관성이 떨어집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9월 19일 (월) 16:38 (KST)[답변]
- 그 토론은 백:인물에서 해주었으면 하며, 단순히 영상만 올리는 유튜버 (분류:유튜브 스타)와 같은 경우와 같은 저명도를 판단하기 애매한 같은 경우에는 '구독자수' (=팬)로 판단되기도 합니다. 어쩌면 Markiplier 같은 경우가 있겠네요. -- 강휘 (토론) 2016년 9월 19일 (월) 16:41 (KST)[답변]
- 이 토론의 결정적인 논제가 "폭넓은 팬 층을 확보하고 있음이 출처에 의해 증명된 인물."이라 꺼내본 말이었습니다. 안그래도 해당 지침의 개정안을 건의해볼 생각이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9월 19일 (월) 16:43 (KST)[답변]
유지 그룹 활동이 아닌 개인 활동이 많으며, 개인 인지도가 꽤 있어보입니다. 고정이 없기는 하지만, 확실히 예능 프로그램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사실이라고 봅니다. -- 강휘 (토론) 2016년 9월 20일 (화) 11:41 (KST)[답변]
유지 해당 인물 정도면 .. 유지할만하지 않아요? 이렇게까지 까다로웠지 않았던 것 같은데.. -- 잿빛동공 (토론) 2016년 9월 22일 (목) 23:25 (KST)[답변]
유지 각 인물에게 활자 그대로의 잣대를 너무 많이 부여하는건 아닌지... 독립적 문서로 존재가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 Tablemaker 2016년 9월 23일 (금) 15:43 (KST)[답변]
정보 이전부터 개인 활동이 없는 인물의 문서는 삭토를 통해 삭제되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위키백과:삭제 토론/EXID 구성원 문서이죠. 그런데 이 문서에만 유독 유지하려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9월 23일 (금) 18:41 (KST)[답변]
- Tablemaker님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활자 그대로의 잣대를 너무 부여한다'라는 말에 너무나 공감합니다. 그룹 출연이 아닌 단독 출연으로 인지도를 쌓은 경우이므로, 충분히 저명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리고, 모든 문서를 '선례가 이러니 이래야한다'라고 할 수는 없으며, 유동적으로 판단해주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어진 EXID의 솔지만해도 복면가왕 전까지는 EXID로 넘겨주기 처리였으나, 복면가왕에서 우승을 한 후로 문서가 다시 재생성되었습니다. 그 당시만해도 복면가왕은 정규 프로도 아니였고, 파일럿 프로그램이였습니다. 성소도 비슷한 경우라고 보이는데요? 솔지도 명절 특집 파일럿 프로그램 우승. 성소도 마찬가지로 명절 프로그램 단독 우승. 그로 인한 인지도 상승. 똑같은 케이스네요. 충분히 인지도 있습니다. 오히려 그룹 전체보다 있어보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요. 해당 인물 문서에 달린 출처만 봐도.... -- 잿빛동공 (토론) 2016년 9월 23일 (금) 20:47 (KST)[답변]
유지 현재 보면 구성원으로서보단 성소 개인 활동으로 인지도 알려진게 아닌가요? 백:인물에 개인 활동을 고정 출연만으로 한정한다는 조건도 없구요.Eyey90 (토론) 2016년 9월 23일 (금) 20:56 (KST)[답변]
- 동감합니다. 무조건 고정 출연 있어야만 저명하다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 잿빛동공 (토론) 2016년 9월 23일 (금) 21:01 (KST)[답변]
유지로 종결합니다. --Sotiale (토론) 2016년 10월 9일 (일) 16:25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