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희극인, 모델, 방송인 등에 대한 기준
- 해당 분야에서 특별히 왕성한 활동,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인물.
- 영화, 드라마, 방송 프로그램 등에서 주연 혹은 주요 조연을 담당했던 인물.
- 폭넓은 팬 층을 확보하고 있음이 출처에 의해 증명된 인물.
배우 송유정의 경우 네이버 출연 기록을 참고해본 결과 황금무지개, 학교 2017의 경우에는 조연, 소원을 말해봐의 경우 주연이라고 표기 되어 있긴 하지만, 이는 특정 배역의 아역으로 실질적으로 주연으로 보기는 다소 힘든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등재기준 2번에 위배된다고 보며, 1번에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 인물의 경우에도 문서에 그 부분이 명확히 드러나 있지 않으며, 3번의 경우에는 솔직히 이 문항은 왜 있는지 모르겠네요. 폭넓은 팬층이라는게 뭐 마땅히 객관적인 기준도 없고, 너무 추상적이라 해석하기 나름인지라 이걸로 등재기준을 판단한다는게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사족이지만 이 부분에 대해 관련 토론을 열었는데 아무도 참여를 안하시더군요. 이참에 위키백과토론:문서_등재_기준_(인물)#폭넓은_팬층? 이 링크 타고 들어가셔서 의견 개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하튼 본론으로 돌아와서 해당 문서는 등재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보며, 삭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6일 (화) 04:42 (KST)[답변]
: 보류 일단은 송유정 인물의 출연빈도와 다른언어의 유무 그리고 인기도까지 두루 다양성을 열어놓고 결정하겠습니다.--브릴란떼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05:16 (KST)[답변]
유지 이후 영어위키백과에서 등재되어있는 상태의 인물의 출처와 신뢰도가 있는 언론사 각주를 가지고오면 되고, 보완하면 되는데, 이 외에도 여러 사람들의 보완이 필요한 신뢰도 있는 배우 문서가 있는데 굳이 삭제를 해야하는지 회의감이 듭니다. 영어판에서 보완하면 될것을 한국어판에서 저명성 이유로 삭제된다면, 나중에 잣대가 될지도 모릅니다. 2014년 소원을 말해봐에서 독산동사람들 인물로 주요 주연을 담당했지만, 충분합니다. 삭제하기에는 영어판이 등재된 뒤라 영어판까지 함께 삭제해야 할지도 모릅니다.--브릴란떼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11:21 (KST)[답변]
- 영어판 참고해봤는데 위 인물의 저명성을 뒷받침 해줄만한 출처인지 의구심이 들며, 무엇보다 영어판은 영어판이고 한국어판은 한국어판입니다. 영어판에서 삭제할지말지는 거기서 정할 일이지 한국어판과 묶어서 생각할 이유가 없습니다. 한위백과 영위백은 같으면서 다른 사이트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6일 (화) 16:33 (KST)[답변]
삭제 나무위키면 몰라도 위키백과에 등재될만한 인물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Sphinx222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13:11 (KST)[답변]
유지 이게 참... 백:인물의 맹점이죠. 장르별 구체적인 조항은 출처가 많이 확보되어 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참고하는 것들에 불과합니다. 즉, 해당 조항에 딱 들어맞지 않더라도 출처만 많으면 저명하다고 인정받죠. 이걸 하나하나 다 정해주지 않는 까닭은 단체와 다르게 개인의 활동은 계량화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그 때문에 유독 인물 등재기준에 #저명성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라던가, 바로 아래 문단에 '이러한 아래의 분야별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인물도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에 따라 여전히 저명한 인물일 수 있습니다'처럼 제한 조건이 덕지덕지 붙는 것이고요. 백:인물을 해석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이, 정책이 워낙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기에 출처 중심 분석과 규칙에 얽매이지 말라는 원칙을 유념해야 한다는 겁니다.
- 우선 송유정 씨를 보면 네이버만 검색해도 광고 출연 5회, 출연 드라마 4회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모두 언론에 보도되었고, 나일론 화보 찍으면서 인터뷰도 실려 있다 하니, 더 다룰 내용은 많겠네요. 극단적으로는 사망 사실 하나만으로도 등재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물론 보통 사건 문서에 통합되지만).--Reiro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18:03 (KST)[답변]
- 이전에 사망 사고 이후에 등재된 배우 문서 하나가 등재기준 불만족으로 삭제 토론으로 인해 삭제된 사례가 있긴 한데 누구였는지 까먹었네요. 찾으면 사례로 올리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6일 (화) 18:21 (KST)[답변]
- 제가 그전에 이설 (1989년생 배우) 문서를 만든 적이 있었는데 사전에 출처를 확보해 놓고 만들었기 때문에 아무도 문제삼지 않았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18:23 (KST)[답변]
- @양념파닭: 그 이전이 언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 문서는 기사량만 봐도 삭제할 만한 것은 아닙니다. Reiro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19:11 (KST)[답변]
- 양보다는 질을 따져야 할 게 아닐까요? 한국어판은 출처 1개니 차치하고, 영어판을 봤을 때, 1개는 그냥 드라마 내용 적어 놓은 그저그런 기사고, 하나는 말씀하신 화보 기산데, 이게 배우로서 저명성이 충분한지 뒷받침 될만한 출처인지는 의구심이 들며, 그 외에 나머지는 모두 사망 기사인데, 이 정도 사망기사는 그다지 유명하지 않은 인물도 이 정도 기사는 나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제가 위에서 언급했던 삭제된 그 배우에 대한 사망기사도 이 정도 양의 기사는 쏟아져 나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기사량을 봐도 삭제할 만하지 않다는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6일 (화) 19:55 (KST)[답변]
- @양념파닭: 대체 그 배우 문서가 언제 삭제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불과 6년전 위백은 청주 크림빵 뺑소니 사건도 삭제하자고 할 정도로 저명성 인식이 낮았죠. 단순 일대일 비교는 무리입니다. 대강 송유정의 기사를 살펴보자면...
- 광고: 에스티 로더 관련 인터뷰 더바디샵 lg디오스
- 뮤비: 어떻게아직도이렇게 뷰티풀 워먼 친구에서 연인
- 심지어 드라마 나의 이름에게에선 주연이었네요 [1]. 드라마 차치하고라도 이리 활동이 많았는데, 연예인들에게 광고나 뮤비 촬영 역시 주요 활동인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등재될 만합니다. Reiro (토론) 2021년 1월 26일 (화) 20:37 (KST)[답변]
- 그 주연이라는 것도 위키백과의 등재기준에 충족하는 드라마에서 주연으로 출연하는 것이어야만 인정되는 것으로 과거에 토론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나의 이름에게라는 드라마가 위키백과에 등재 기준에 만족하는 드라마가 맞나요? 등재가 되지 않은 드라마라 여쭤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21년 1월 26일 (화) 21:37 (KST)[답변]
- @양념파닭: 네이버 계열사 플레이리스트가 제작하고, 상대역은 B1A4 멤버 공찬이었네요. 저명성은 확실합니다. 인터뷰 등 출처도 존재하고요. Reiro (토론) 2021년 1월 27일 (수) 13:35 (KST)[답변]
유지 저는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제 저명성에 대한 허들이 낮아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trainholic (T, C) 2021년 2월 8일 (월) 22:04 (KST)[답변]
유지 Reiro님, Trainholic님께서 제시하신 의견에 동의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1년 3월 1일 (월) 19:48 (KST)[답변]
유지 위 의견에 동의합니다. Sqncjs (토론) 2021년 3월 2일 (화) 18:22 (KST)[답변]
유지 -- 잿빛동공 (토론) 2021년 3월 19일 (금) 23:29 (KST)[답변]
유지 의견이 압도적이고, 근거도 충분히 제시된 만큼 유지로 종결합니다. 저는 관리자가 아닙니다.--Reiro (토론) 2021년 4월 22일 (목) 17:34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