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 慈居 (토론) 2024년 10월 29일 (화) 12:55 (KST)[답변]
강계군이나 혜산군과 같은 명목상 대한민국 행정구역과 이북의 폐지된 군을 합쳐 다루는 형태도 아니고 필요성이 부족합니다. 순천군 (평안남도)로 이동한다면 모를까요. --2001:2D8:E709:ACAE:0:0:1F0:B45 (토론) 2024년 6월 29일 (토) 22:33 (KST)[답변]
- 1949년 이전 전남 순천과도 혼동됩니다. --2001:2D8:E709:ACAE:0:0:1F0:B45 (토론) 2024년 6월 29일 (토) 22:34 (KST)[답변]
병합 순천군 (평안남도)로 병합하여 서술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Jeebeen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07:57 (KST)[답변]
유지 이 의견은 취하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식별자가 혼동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 다른 식별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Jeebeen (토론) 2024년 7월 2일 (화) 10:29 (KST)[답변]
-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두 문서가 가리키는 대상 자체가 다릅니다. 순천군 (평안남도)는 현재의 순천시, 평성시, 은산군 지역에 걸쳐 존재했다가 1983년에 폐지되어 현존하지 않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과거의 행정 구역이고, 순천군 (대한민국 평안남도)은 오늘날까지 운영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입니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문서에서 서로의 순천군에 대해 비교하는 정도의 서술은 가능하겠지만,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에서의 역대 행정구역장(군수), 하위 행정 조직, 행정 조직의 역사와 변화, 대한민국의 일시적인 통치 시기에 관한 내용 등 오늘날까지의 대한민국 행정구역에 관한 내용을 1983년에 폐지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문서에서 다루기에는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 Min's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09:20 (KST)[답변]
- @Ha98574: 삭제 토론 대상에 올라온 문서를 생성하신 분이신데 해당 문서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뜻인가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11:17 (KST)[답변]
- 일단 현재로서는, 가리키는 대상 자체가 다른데 한 문서에서 서술하는 것이 적합한 지에 대한 의문이 있는 상태입니다. 여러 기간에 걸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순천군이 순천시, 평성시, 은산군으로 쪼개지면서 1983년에 폐지된 행정 구역에 대한 내용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순천군에는 해당하지 않는 내용이고, 반대로 오늘날까지 현존하는 대한민국 행정 구역 순천군의 행정 조직의 역사와 변화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순천군에는 해당하지 않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다른 두 대상을 한 문서에 서술한다면, 1983년에 폐지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진 행정 구역이라고 서술하면서도, 오늘날까지 폐지되지 않고 현직 군수와 행정 조직이 존재하여 관리되고 있는 행정 구역이라고 서술해야 한다는 점에서 모순이 발생하게 되네요. 게다가 두 행정 구역은 지리상으로도 관할하는 구역이 다르기도 하고요. 폐지된 행정 구역 황해도, 황해도 (일제강점기) 문서와 그 황해도를 폐지하고 황해남도, 황해북도로 쪼개진 행정 구역 문서, 그리고 명목상 행정 구역으로서 쪼개지지 않고 오늘날까지 현존하는 황해도 (대한민국) 문서가 각기 따로 존재하는 경우와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서 계속 고민되는데, 여러 사용자 분들과 좀 더 의견을 나눠보면서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 Min's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11:57 (KST)[답변]
의견 명예도지사는 등재 대상이지만 명예시장 군수는 윤숙자 개성시장을 빼면 등재대상인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다른 두 대상을 한 문서에 서술한다면의 원리가 적용되면 법정동과 행정동, 행정면 장단면과 법정면 장단면도 따로 항목으로 만들어야할거 같습니다. 위키데이터에 따로 등재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위키백과에 따로 등재해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위키데이터에는 뉴욕의 행정구와, 그와 관할구역이 같은 군(카운티)이 따로 등재되어있고 d:Property:P3403로 연결되어있네요. 2001:2D8:E705:3EBA:0:0:4AB:B45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13:57 (KST)[답변]
- 본 문서를 순천군 (평안남도 대한민국)으로 이동 후 위키데이터에 연결하고, 순천군 평안남도의 문단으로 넘겨주는건 가능할거 같습니다. 2001:2D8:E705:3EBA:0:0:4AB:B45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13:57 (KST)[답변]
-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은 해당 주제나 대상을 독립적으로 다룰 수 있는 대상인지에 대한 기준이지만, 문서 내용에 대한 서술 여부 기준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언급하신 이북5도 지역의 시장/군수에 대해서는 별도의 문서로서 해당 인물을 등재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시장/군수를 언급한 것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문서 내용에 서술할 수 있는 내용이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항목에 서술하기에는 어색하다는 부분을 말씀드린 부분이었습니다. 예컨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의 원산시 문서에 현직 시장을 '박동원'이라고 표기하고 함경남도의 하위 행정 구역이라고 표기하기는 어색한 것처럼요. -- Min's (토론) 2024년 6월 30일 (일) 14:13 (KST)[답변]
유지 실제 행정 구역과 형식상의 행정 구역을 같은 문서에서 서술하는건 부적절하다는 의견에 동의합니다. 이북5도 문서의 예를 들어 유지 의견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4년 7월 8일 (월) 20:57 (KST)[답변]
이북5도의 명목상 행정 구역은 일제강점기와 거의 같지 않나요? "순천군 (평안남도, 일제강점기)" 문서와 내용은 거의 겹치리라 봅니다. -- ChongDae (토론) 2024년 7월 4일 (목) 15:39 (KST)[답변]
- 이북5도의 행정 구역은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없었던 행정 구역이 신설(사리원시, 송림시 등)되었거나 명칭 변경, 축소나 분할 등의 변동도 있기 때문에, 일제강점기 당시의 행정 구역과는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어서 같지는 않습니다. 시기나 군기 등의 상징, 시장/군수 등의 행정 조직과 관련된 사항,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 시기나 일시적인 수복 시기, 광복 이후의 변동과 역사 등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 행정 구역 문서에서 다루기에는 적절치 않아보여요. 일제강점기의 경성부 문서에 오늘날 서울특별시에 해당하는 내용을 다루기에는 적절치 않듯이요. -- Min's (토론) 2024년 7월 5일 (금) 16:48 (KST)[답변]
- @Ha98574: 문서 생성에는 이제 수긍이 가나, 미수복 경기도,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 행정면 장단면을 따로 생성해야 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이 토론을 계기로 법정동과 행정동도 위키에서 따로 생성하는게 좋다 (뉴욕의 행정구 처럼 완전히 같은 경우는 예외)는 문제가 남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순천군이 전라남도의 광복 직후 행정구역으로 존재한 만큼 식별자를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2001:2D8:E931:CA8D:0:0:3438:D0AD (토론) 2024년 7월 17일 (수) 00:53 (KST)[답변]
- 광복 이후의 대한민국 전라남도에서 순천군이 존재했던 시기는 1949년에 순천군이 승주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까지입니다. 그래서 문서 제목도 '순천군 (대한민국 평안남도)'로 바꿨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8월 2일 (금) 10:58 (KST)[답변]
- @Ha98574: 제가 우크라이나어 위키백과에 들어가봤는데 거기에는 2014년부터 시작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 돈바스 전쟁(2014년-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2022년-현재)의 여파로 인하여 러시아의 실질적인 지배하에 있는 우크라이나 영토(크림반도, 도네츠크주, 루한스크주, 자포리자주, 헤르손주)에 설정된 군들(우크라이나에서 주 다음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 문서가 있었더라고요. 그러면 우크라이나어 위키백과와의 등가성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8월 2일 (금) 11:19 (KST)[답변]
- 우크라이나의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행정 구역과는 어떻게 비교해야할 지는 잘 모르겠네요. 토론 발제자 님을 포함해서 해당 문서를 삭제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토론에서 언급된 다른 지역 문서는 이곳에서 논의할 부분은 아닌 것 같고 논의가 필요하다면 적합한 곳에서 논의를 이어가면 될 것 같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8월 3일 (토) 18:10 (KST)[답변]
유지 해당 문서를 만든 Ha98574님의 의견은 유지하자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면 저도 유지하는 것에 동의하겠습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8월 4일 (일) 12:01 (KST)[답변]
유지 위에서 유지 의견을 내주신 분들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 Nt 2024년 8월 6일 (화) 19:15 (KST)[답변]
삭제 질문 이북5도 행정구역으로서 순천군과 1945년의 순천시를 구별할 수 있나요? 후자의 경우 2024년의 순천시와 하나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통일되어 서술되고 있습니다. 이북5도가 명목상 순천군을 유지하고 있음은 아나 1945년까지의 순천시를 복제해논 것에 명목상 군수만 교체해간 것에 불과하다면 별도의 문서로 유지하기보다 순천시 문서에 문단으로 설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도바울 (💬✍ℹ️) 2024년 8월 15일 (목) 19:20 (KST)[답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순천시는 (구)순천군 지역을 분할하고 그 중 일부 구역에 대해 1983년에 신설된 행정구역입니다. 그래서 순천시 (평안남도) 문서에는 분류:1983년 설치를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순천시는 1983년에 신설되었으므로 1945년의 순천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오늘날의 순천시, 평성시, 은산군 지역을 합쳐 (구)순천군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1983년에 신설된 순천시와 1945년의 순천군과는 다릅니다. 지리상의 경계와 면적부터 상당히 다르기도 하고요.
- 그렇다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구)순천군과 이북5도의 순천군의 행정구역이 동일한 것도 아닙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구)순천군은 오늘날 순천시, 평성시, 은산군 지역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이지만, 이북5도의 순천군은 오늘날 순천시, 평성시, 개천시, 성천군에 이르는 행정 구역입니다.
- 만약 이북5도의 순천군 행정구역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오늘날 행정구역에 대응되는 문서에서 다룬다면, 명목상 하나의 행정구역임에도 불구하고, 순천시, 평성시, 은산군, 개천시, 성천군에 나눠서 따로 서술해야 합니다. 정보가 부족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자료의 특성상, 정확한 행정 구역과 지리를 최대한 '유추'해내서 이북5도 순천군과 대조해가며, 마을 단위로 하나하나 따져서 각기 다른 문서에 서술해야 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이북5도 순천군 은산면은 하나의 면 단위 행정 구역임에도 불구하고 마을 단위로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은산면의 일부 마을은 순천시 (평안남도) 문서에서 다루고, 은산면의 다른 일부 마을은 은산군 문서에서 다루고, 그리고 은산면의 또다른 일부 마을은 성천군 문서에서 다뤄야 하는 상황이 됩니다. 이북5도의 행정 구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오랜 기간 각기 다르게 운영되다보니, 읍면 단위나 하부 행정 구역 단위로 딱딱 일치해서 맞아 떨어지는 것이 아니어서 그런 문제가 꽤 많은 편입니다.
- 하나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마을 단위로 세세하게 나눠서 각 문서에 분할하여 서술하는 것은 오히려 독자의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꽤나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요. 서로 다른 대상을 억지로 합치려고 하다보니 이런 문제와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여담으로 덧붙이자면, 오늘날 순천시 (평안남도) 문서에 전신인 (구)순천군을 포함한 과거 행정구역을 다루는 것은 두 대상이 동일함을 나타내기 위한 서술이라기보다는, 해당 지역의 역사에 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연스러운 서술 정도로 생각합니다. 서울특별시의 전신인 한성부, 경성부 문서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음에도 서울특별시 문서에 한성부와 경성부를 다루고, 강원특별자치도 문서에 전신인 강원도와 강원도 (일제강점기)를 다뤄서 독자의 이해를 돕는 자연스러운 서술로 이해되는 것처럼요. -- Min's (토론) 2024년 8월 16일 (금) 21:59 (KST)[답변]
순천군 (이북5도)로 이동 순천군 (평안남도)와는 서로 다른 주제임은 공감하지만, '대한민국 평안남도'라는 지금의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백:동음이의어에 입각했을 때 접근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이북5도라는 표현이 이북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임을 나타내는 데 있어 검색도 쉽고 인지하기도 쉽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7:17 (KST)[답변]
질문 @밥풀떼기: 대한민국 법률에서 언급된 '이북5도'(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는 그렇다 쳐도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에 위치한 대한민국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의 미수복 시군'(경기도 개성시·개풍군·장단군, 강원특별자치도 김화군·이천군·통천군·평강군·회양군)의 동음이의어 구분자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19:37 (KST)[답변]
- 이북5도위원회의 관할영토에 경기도와 강원도의 미수복 영토도 포함되므로 그대로 이북5도로 적어도 뜻이 통하지 않을까 싶네요. 밥풀떼기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20:30 (KST)[답변]
- 이북5도위원회#설립 근거에서 인용된 법률을 비롯하여 관련 법률에서는 이북5도는 황해도,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만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미수복 경기도와 강원도 지역은 '미수복 시·군'으로 정의하고 있고 '이북5도'와는 구분하여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북5도와 미수복 경기도/강원도 지역을 함께 아울러 표현하는 상황에서는 "이북5도 등"이라고 표현하고 있고요. 미수복 경기도/강원도 지역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북5도'는 법률상으로는 정확한 표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에 '순천군'이라는 명칭으로 현존하는 행정 구역은 이북5도위원회의 순천군뿐이고, 잠깐 존재했던 순천군 (전라남도)은 순천시 (전라남도)에서 다루고 있으므로, 이북5도위원회의 순천군은 동음이의 문서에서 잘 설명만 한다면 순천군 (대한민국)으로도 충분히 구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 Min's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1:12 (KST)[답변]
- 법률적으로는 명확히 구분이 되어있었군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다만 대한민국이라는 구분자는, 남한의 순천군은 정부수립후 계속해서 대한민국의 영토임이 인식되어 왔던 반면 북한의 순천군은 전쟁을 제외하면 항상 미수복 영토였던 만큼 미수복 영토로서의 순천군을 연상하긴 힘들어 보입니다. 순천군 (미수복)이나 순천군 (미수복 시군)을 써서 대한민국 실효지배영토 외에 있는 존재임을 드러내는 것이 어떨지 제안드립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3:08 (KST)[답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입장에서는 남쪽의 순천군 (전라남도)이 미수복한 지역(물론 용어는 조금 다르긴 하지만)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미수복 시군)'과 같은 형태 아닌 단순히 '(미수복 시군)'과 같은 형태라면 어느 나라의 행정 구역을 의미하는 것인지 명확히 나타내는 표현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만약 구분인자를 좀 더 단순화하고자 한다면, 대한민국 내 동음이의 행정구역을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경상남도)과 같이 광역자치명으로 구분하는 것을 참고하여, 이북5도 순천군은 순천군 (전라남도)에 대응해서 순천군 (평안남도)을 제목으로 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 행정구역 문서인 순천군 (평안남도)는 고성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처럼 나라명으로 구분하는 순천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이동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Min's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3:29 (KST)[답변]
- 편리성과 적합성을 따지면 저는 '이북5도'나 '미수복 시군'이 제일 좋을 것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이북5도라는 용어는 대한민국의 미수복 관할구역임을 내포하고 있어 어떤 성격의 순천군인지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미수복 시군이라는 용어는 이북5도라는 표현이 법률적으로 적절치 않은 부분이 있다고 알려 주셔서 대안으로서 말씀드린 것이고요. 아까는 놓쳤는데 애초에 평안남도의 행정구역이니만큼 이북5도의 한 지역인 것이 맞네요.
- 그냥 평안남도라고 하면 북한의 현행 행정구역인 것처럼 들리고, 현행 대한민국 평안남도라 하면 대한민국의 영토에 평안남도라는 지역이 있다는 가정으로 들려서 저에게는 어색하게 들립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너무 길어서 3글자밖에 되지 않은 본 단어를 구분하기엔 편리성을 해칠 것 같구요 (논외로 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정식국명은 너무 길어서 편의성과 배치된다고 보아 표제어 외에 분류명이나 토론상에서의 호칭으로는 '북한', '이북', '북' 등의 준말을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정치적 시각에 따른 것이 아니라 효율성 우선에 기반한 생각입니다).
- 일단 제 생각은 이렇고 Min's님을 비롯해 많은 분들께서 다양한 좋은 후보들을 제안해 주셨기에 조금 더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3:50 (KST)[답변]
- 아, 그러고보니 순천군은 평안남도이기 때문에 법률상의 정의로는 미수복 시군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이었네요.(법률상 '미수복 시·군'은 미수복 강원/경기도 지역 시·군으로 정의됨) 간결할수록 의미가 생략되어 정확해지지 않고, 정확하게 표현할수록 구분인자가 길어지기 때문에, 완벽한 표현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이네요. 저는 현재의 식별자에도 딱히 별다른 이의는 없고, 구분인자를 (이북5도)로 하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순천군 외 다른 명목상의 북쪽 행정구역 문서도 존재하는 상황이고 대부분 식별자로 구분되는 동음이의 문서라는 점에서 미수복 시군 지역도 함께 고려해서 고민하시는 상진화 님의 말씀도 이해가 되기도 하네요. 식별자는 식별자대로 계속 고민하되, 삭제 여부를 고민하는 토론 공간이니 삭제 여부에 대한 결론도 정리해가면 좋겠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8월 28일 (수) 14:22 (KST)[답변]
- @Sangjinhwa: 위키백과와 나무위키는 별개지만 현재 나무위키의 이북5도 도별 문서 표제어처럼 원칙적으로는 시군 단위 식별자를 이북5도위원회로 바꾸면 됩니다. 이 기준은 38선이나 휴전선으로 갈리는 시군에 대해 애매할 수 있습니다. 김화군 (대한민국)은 1954~1962년간의 김화군으로 생성된 문서라, 문서 분리가 필요해집니다. 장단군이 가장 복잡한 케이스인데. 행정권은 정지되었으나 유의미한 지역이 38선 이남에 남아있었고, 한국 전쟁 이후에도 대성동 마을이 대한민국의 지배를 어느정도 받았고, 장남면의 주민 재정착도 장단군 시절에 진행됐기 때문입니다. '남한 장단군'과 '이북5도위 장단군'을 따로 분리 생성할지 정해야 합니다. 그 외에 일부 수복된 개풍군과 평강군의 식별자, 대한민국령이었던 개성의 식별자도 토론이 필요하긴 합니다. 완전 미수복인 38선 이북 지역은 이북5도위원회로 통일하고 (벽성군 포함) 38선과 휴전선 중 한 기준으로 일부가 남한인 지역은 따로 정하면 됩니다. 2001:2D8:302:73F7:0:0:1EE5:60A5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20:34 (KST)[답변]
- 도별 문서의 식별자는 현행대로 유지해도 혼란은 없어 보입니다. 2001:2D8:302:73F7:0:0:1EE5:60A5 (토론) 2024년 8월 20일 (화) 20:34 (KST)[답변]
유지 이유야 어쨌든, 대한민국에서는 이북오도위원회를 통해 시장을 임명하고 해당 지역에 본적을 갖고 있는 주민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타이완 성(타이완성 (중화인민공화국))과 비슷한 상황이고요. 다른 문서의 예를 들어 문서를 유지할 이유가 충분해 보입니다.--trainholic (T, C) 2024년 8월 28일 (수) 16:24 (KST)[답변]
유지 삭제할 이유가 없으며, 오히려 유지가 타당하다고 봅니다. -- Yelena Belova (토론) 2024년 9월 24일 (화) 16:48 (KST)[답변]
유지 식별자에 대해서는 유지한 뒤에 프로젝트에서 토론할 수 있습니다. 유지가 타당하다고 봅니다. Ronnaquetta (토론) 2024년 10월 21일 (월) 11:33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