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의 부속 연구관으로서 서술 및 생성된 문서입니다. 서술의 상세성이나, 저명도로 보았을 때 문서를 삭제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문서 본문에 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게 맞다고 생각하여 본 토론을 개설합니다.--Dreamyden (토론) 2021년 6월 24일 (목) 22:04 (KST)[답변]
바로 삭제 바로 삭제해도 될 것 같은데요? 대학의 일개 공학관을 등재할 수는 없죠. -- 잿빛동공 (토론) 2021년 6월 24일 (목) 23:40 (KST)[답변]
- 다만, 삭제 요청을 할지 넘겨주기 문서 처리를 할지 고민이 되어 토론에 회부했음을 알려드립니다. --Dreamyden (토론) 2021년 6월 25일 (금) 03:11 (KST)[답변]
넘겨주기 가능하다면 넘겨주기 정도는 해도 무방하다 봅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1년 6월 25일 (금) 05:59 (KST)[답변]
- 아산공학관이라고 하면 대체적으로 이대의 공학관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아산 소재의 타 대학 공학관도 '아산공학관'이라고 불리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모든 대학 부속 기관을 전부 하나하나 넘겨주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렇게 공학관 넘겨주기 문서가 생겨난다면 호서대학교 아산캠퍼스제1공학관A 등등의 무수한 대학 부설 기관의 넘겨주기 문서가 생성이 가능하다는 말이 되겠지요.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굳이..? 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이대의 아산공학관은 네이버 지도상에도 안나오는 주소상 없는 지명으로, 굳이 넘겨주기해야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21년 6월 28일 (월) 01:54 (KST)[답변]
넘겨주기 공식블로그 내용으로는 세계최초의 여성공과대학이 설치된 건물로서 가치있습니다.# 그러나 문서를 유지할만한 개별건물이 아니기때문에 넘겨주기로 합시다. 네이버지도에 검색이 안되는 이유는 네이버가 자동적으로 충청남도 아산시의 '공학관'으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자동완성을 해제하면 네이버지도에 잘나옵니다.--175.223.39.101 (토론) 2021년 7월 31일 (토) 22:29 (KST)[답변]
개정 이화여대의 건축물로 이동하여 개정합시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31일 (토) 22:31 (KST)[답변]
- @TulipRose2: 위키백과:사랑방/2020년 제27주#삭제 토론에서 흔히 보이는 "개정을 전제로 유지" 발언. 저는 개정할 마음이 없습니다. 개정이라고 의견을 남기시면, 어떠한 근거로 개정인지 남기셔야 합니다. 삭제 토론 안내문을 보면 개정도 '유지' 의견이기 때문에 근거를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지금 이화여대 건축물에 관한 서술이 이화여자대학교#부속 시설로 되어있는데, 현재로서는 문서의 길이를 보아서라도 분리될 필요성이 없죠. -- 잿빛동공 (토론) 2021년 8월 3일 (화) 14:58 (KST)[답변]
검색 결과 세계 최초의 여대 공과대학 등 나름의 타이틀은 있어 보입니다. 다만 혼자 떼어놓기엔 양이 부실한 건 사실이니 넘겨주기 처리하겠습니다.--Reiro (토론) 2021년 8월 8일 (일) 14:56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