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 조차 하지 않는 역. 시기상조.----hyolee2♪/H.L.LEE 2009년 1월 29일 (목) 16:35 (KST)[답변]
유지 이게 시기상조라면... 다른 문서들도 좀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개마리 (토론) 2009년 1월 29일 (목) 21:40 (KST)[답변]
보류 삭제하는데 애매하고 유지하는 것도 판단하기가 힘들 것 같아서 일단 보류합니다. ^^ --지식왕자 (토론) 2009년 1월 30일 (금) 05:06 (KST)[답변]
일단 유지 개마리님의 의견과 동일. --초등 5학년인 바트 (냠냠) 2009년 1월 30일 (금) 14:21 (KST)[답변]
삭제 이와 더불어 착공도 하지 않은 일부 역 문서들에 대한 삭제도 요청합니다. 이러한 역들은 착공이 되지 않아 나중에 얼마든지 그 계획이 바뀔 수 있으므로, 이 역이 확실하게 건설될 것인지 확인도 되지 않았습니다. 미착공한 역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오륜역 (계획만 있음)
- 원흥역 (착공사실 없음)
- 회정역 (타당성 조사만 함)
- 또한 아래의 역들은 착공은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개통이 아직 멀어(2011년 이후, 더 늦어질 가능성 있음) 향후 몇 년간은 공사중이다 정도의 내용만 있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개통이 근접할 때까지 (최소한 역명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문서가 있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 서울숲역, 신청담역 (2010년 말, 역명 미확정)
- 신갈역. 기흥역 (2011년 말, 역명 미확정)
- 신내역, 별내역 (2011년, 역명 미확정)
- - {{積分|討論}} 2009년 1월 30일 (금) 23:40 (KST)[답변]
삭제 위 의견과 동일한 의견. 필요하다면 노선의 역사에서 설명하는 방법도 있겠습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1월 31일 (토) 00:32 (KST)[답변]
삭제 위의 모든 문서의 삭제에 동의합니다. 생기지 않은 것들에 대해 백과사전에 기술하는것은 신중해야합니다. --Enigma7 (토론하기) 2009년 1월 31일 (토) 16:47 (KST)[답변]
유지 아예 신안산선 문서도 착공조차 안했으니 삭제하자고 하시지요. 단지 미착공이라는 이유만으로 삭제하자는 의견에는 동의할 수 없으며, 또한 '틀:진행 중'이나 '틀:예정' 같은 경우 이러한 때에 쓰라고 있는 것이 아닌지요? -- 201KEI (토론) 2009년 2월 1일 (일) 01:26 (KST)[답변]
유지 착공 안한다고 없애는것 너무합니다 --고은준 (토론) 2009년 2월 3일 (화) 22:48 (KST)[답변]
의견 해당 역의 경우 일개 단체의 단순한 “요구 사항”일 뿐, 착공은 물론 관계 기관에서 구상조차 찾아볼 수 없는 내용입니다. 신안산선 등 여러 문건에서 수면 위로 떠올랐던 노선과는 격이 다르다고 봅니다. - I110 桂陽 / IRTC1015(論) 2009년 2월 4일 (수) 01:23 (KST)[답변]
- '불확실성'이 이유라면 모를까, 단순 미착공만을 이유로 내세우니 하는 말입니다. 저 분은 매번 저런식이더군요. -- 201KEI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22:19 (KST)[답변]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에 병합 - 아직 확정이 안된 사항이므로, 이 내용을 우선,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에 기재하고, 확정이 되고나서 문서를 따로 생성하는 것은 어떻겠습니까? Endlessrailroad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8:32 (KST)Endless Railroad[답변]
삭제 착공 조차 되지 않은 역인데 문서를 만든다는 것은 시기상조로 보입니다.--..TTT..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18:51 (KST)[답변]
서울 지하철 8호선 문서에 병합 확정 후 독립 --케골 (토론) 2009년 2월 4일 (수) 22:51 (KST)[답변]
의견 미착공은 커녕 착공될지 조차 모르는 역의 문서를 작성하는 필요성은 하나도 없습니다.----hyolee2♪/H.L.LEE 2009년 2월 5일 (목) 17:41 (KST)[답변]
- 매번 나중에 슬그머니 말을 보태지 말고, 애초에 정확하고 명료하게 말씀해주실 수는 없는지요? -- 201KEI (토론) 2009년 2월 5일 (목) 19:08 (KST)[답변]
반대 착공되면 그때는 어떻게 하실 것입니까? 역명이 바뀌면 그때가서 해결할 문제 아닌지? --100범 (토론) 2009년 2월 7일 (토) 21:03 (KST)[답변]
- (즉
유지) --초등 5학년인 바트 (냠냠) 2009년 2월 8일 (일) 23:38 (KST)[답변]
- 착공되면 그때 가서 만들면 되죠. 지금 지우면 나중에 만들 수 없는 건가요? ∫ 積分 (토론) 2009년 2월 9일 (월) 18:43 (KST)[답변]
일단 유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 직접 문의한 바,
3. 제안하신 역사신설은 2008년 7월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시행 중인 위례(송파) 신도시 개발계획의 광역교통 개선 대책사업에 포함되어 추진 중에 있는 사업으로써,우리공사가 8호선 복정~산성역간 위례(송파) 신도 시에 인접한 지상구간의 역사(가칭 우남역) 신설사업 시행주체로 사업 추진중 에 있음을 알려드리니 참고 바랍니다.
--Phenomenart (토론) 2009년 2월 9일 (월) 14:31 (KST)[답변]
의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질질 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기다가 진행 중이던 계획이 갑자기 없어질 수도 있고요. 사례를 하나 들자면 1970년대에 계획했던 경원선 마장역이 있겠네요. 그리고 유지한다면 역명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딱히 기준이 없습니다. 역명은 착공할때부터 정해진 게 아니라 개통 즈음해서 정해지는 겁니다. 우남역처럼 한 역 신설이라면 공사 편의를 위해서 이름을 붙여줄 수는 있겠죠. 하지만 이러한 공사역명은 그냥 편의상 붙여지는 거지 노선도에서 써 먹으려고 붙여지는 이름이 아닙니다. 공사역명이 그대로 실제 역명으로 반영된다면 모를까요. 쑥골역, 도장역, 동마장역, 하북역, 송곡역, 삼패역 등등의 공사역명이 있었지만 지금은 전혀 쓰이지 않습니다. 그리고 공사역명이 실제 역명같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경찰병원역의 공사역명은 '302정거장' 입니다. ∫ 積分 (토론) 2009년 2월 9일 (월) 18:43 (KST)[답변]
의견"코레일 타임"에 이어 "도철 타임"이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iTurtle (토론) 2009년 2월 9일 (월) 18:49 (KST)[답변]
의견 철도 건설 및 사업은 계획한대로 진행된적이 보통 없습니다. 대부분 1~2년씩 늦어지는게 태반이지요. --H군 (토론) 2009년 2월 13일 (금) 14:18 (KST)[답변]
의견틀:미래 건축물은 이런 문서에 이용하라고 존재하는 틀이 아닌가요? --Phenomenart (토론) 2009년 2월 22일 (일) 04:52 (KST)[답변]
무조건 유지 삭제하는 건 좀 그렇다고 생각힙니다. 그리고 추후에 만들어질 역들이 많을 텐데 삭제는 좀... --베이징 (토론) 2009년 2월 26일 (목) 14:53 (KST)[답변]
무조건 유지 디아루가펄기아 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4월 5일 (일) 01:06 (KST)[답변]
의견 계획에는 백지화라는 변수가 붙어나오게 마련입니다. ∫ 積分 (토론) 2009년 3월 8일 (일) 10:21 (KST)[답변]
유지 착공 안한다고 지우면 착공해서 또 다시 적는데 귀찮게 뭘 또 적어요 만들어 놓으면 좋지.그리고 조금 위에 늦어지니까 일단 삭제 하자고 하는 것이 있는데 그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것도 삭제해야 하나요?착공 안하거나 영업 안한다고 삭제하는 것 좀 그렇습니다.--JAN-DJs5 (토론) 2009년 3월 19일 (목) 22:06 (KST)[답변]
- 무슨 소리이신지요? 지금 토론하고 있는 내용은 착공하지 않은 역들의 삭제토론을 진행하는 것인데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7월 4일 (토) 23:29 (KST)[답변]
의견 이런 기사가 떴습니다. 확정되면 우남역 역시 백지화될 것입니다. ∫ 積分 (토론) 2009년 3월 24일 (화) 07:57 (KST)[답변]
삭제 의견을 변경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5월 31일 (일) 20:52 (KST)[답변]
삭제 아직까지는 가칭 딱지가 붙어 있고 착공도 되지 않았습니다. 위에서 제시한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영업만 안 한다' 뿐이지, '착공도 안 되었다'와는 다르게 취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토론도 꽤 오래 가네요. --Peremen (토론) 2009년 6월 15일 (월) 20:29 (KST)[답변]
삭제 생각해보니까 필요없는거 같더라고요. 의견을 변경합니다. --베이징 (토론) 2009년 6월 16일 (화) 13:27 (KST)[답변]
삭제 아직 착공도 하지도 않았는데다가 단순한 계획만 있고, 가칭 명칭에 불과한 거로 봐서는 굳이 필요하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이로하(토론·기여) 2009년 7월 2일 (목) 16:06 (KST)[답변]
삭제 착공도 안한 역. 표제어도 가칭이라고 생각됨. --RedMosQ (토론) 2009년 7월 2일 (목) 16:07 (KST)[답변]
삭제 표제어도 가칭, 계획에만 있지 아직까지 착공 안한역 --제로스톤 (토론) 2009년 7월 2일 (목) 16:12 (KST)[답변]
총의가 어느정도 삭제쪽으로 모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제 어떤어떤 역을 삭제하면 좋을지 목록을 적어보도록 합시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7월 4일 (토) 23:35 (KST)[답변]
흠 제가 삭제해야 할 역들을 생각해 봤는데... 원흥역, 회정역, 탕정역, 오륜역은 꼭 삭제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베이징 (토론) 2009년 7월 5일 (일) 15:24 (KST)[답변]
- 적어도 2011년 이후에 완공 예정이거나 아직 착공도 하지 않은 노선이나 역은 우선 모두 정리해야 할 듯 싶습니다. 다만, 이 여기에 해당한다 할 지라도 사회적으로 정치적인 논란 등의 큰 이슈가 되었던 시설물은 남기구요. 예를 들어 아직 착공은 안했지만 오송분기로 논란이 되었던 호남고속철도나, 지역 간의 노선 유치로 인한 대립이 심화되었던 신안산선 정도는 보존 할 필요성은 있다고 봅니다. 그 외 소사-원시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등은 삭제하구요. --이로하(토론·기여) 2009년 7월 6일 (월) 19:47 (KST)[답변]
- 인천 2호선은 이미 착공되었고, 소사-원시선은 설계 단계에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실시설계에 들어가지 않은 노선, 착공하지 않은 역에 대해서는 삭제하되 지역적, 또는 정치적으로 논란이 있어 저명한 노선의 경우 유지가 타당하다고 봅니다. 또한 역의 경우에는 노선에 비해 문서 생성 허용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선이라면 공사 과정 등에 대한 기록을 적을 수 있지만, 역의 경우에는 역명도 없고, 개통 전까진 특기할 사항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 (토론) 2009년 7월 8일 (수) 17:26 (KST)[답변]
- 정확하게 말씀드리자면, 제가 말한 것은 2011년 이후에나 완공 예정인 노선이나 역과, 아직 착공도 하지 않은 노선이나 역 모두를 말하였습니다. 인천지하철 2호선은 2014년에나 개통하기 때문에 마땅히 삭제하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이로하(토론·기여) 2009년 7월 11일 (토) 01:01 (KST)[답변]
유지 우남역을 비롯해 건설 예정이거나 계획 중인 역들은 그 역 자체가 "건설 예정", "계획 중"이기 때문에, 백과사전에서 그 역에 대한 설명에서 건설 예정, 계획 중이다 하는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유지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단, 건설되지도 않았거나 계획 중인데 있는 역처럼 설명하여서는 안 되겠죠. --Ha98574 (토론) 2009년 7월 15일 (수) 21:52 (KST)[답변]
삭제 2011년 이후 개통예정인 모든 역 문서를 삭제해야 합니다. 쓸 수 있을 만한 내용이 없습니다. 공사와 관련되어 특기할 사항이 있으면 노선 문서에 쓰면 되는 것 아닌가요. ∫∫∫ (토론) 2009년 7월 19일 (일) 14:19 (KST)[답변]
- 양재시민의숲역, 청계산입구역, 판교역 (성남), 삼릉역 (서울)을 삭제토론에 회부합니다. 이유는 미개통입니다. ∫∫∫ (토론) 2009년 7월 21일 (화) 12:49 (KST)[답변]
삭제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7월 24일 (금) 19:24 (KST)[답변]
삼정역을 삭제토론에 회부합니다. (2014년 개통예정) ∫∫∫ (토론) 2009년 7월 25일 (토) 02:05 (KST)[답변]
- 특정 IP사용자가 계속 예정되거나 개통이전의 역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7월 25일 (토) 16:36 (KST)[답변]
삭제 --우남역이 어디에 있는 역입니까? 복정-산성 사이에 역이 없지 않습니까? 미개통한 역을 전부 삭제한다면 마곡나루역도 마찬가지로 삭제해야 합니다. -- 이 의견을 2009년 8월 1일(토) 13:55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218.232.211.3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 앞뒤말이 잘 안맞는군요.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8월 2일 (일) 17:15 (KST)[답변]
-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니,
'유지'해야 할 역은 마곡나루역, 경찰병원역은 향후 1년 내에 개통이니까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신내역 역시 타당성이 있습니다. 우남역 문서가 삭제되어야 하는 이유로는 실제로 복정 - 산성 구간을 타봤는데 그 구간은 복정역 다음 산성역입니다. 오늘 송파신도시 전면 재검토라는 내용의 글을 보고 다시 생각해 봤더니, 우남역은 삭제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삼정역 문서를 만들어서 죄송합니다. 삼정역 문서를 만든 것도 저입니다. (생성일자:2009년 7월 24일 (금) 그 목적은 삼릉역과 신논현역 사이의 역 문서를 만들어야 하는 충동이 들어서 만들었습니다. 사용자:218.232.211.30 (토론) 2009년 8월 4일 (화) 07:05 (KST)[답변]
우남역을 포함해 삼정역, 양재시민의숲역, 청계산입구역, 판교역 (성남), 삼릉역 (서울), 원흥역, 회정역, 탕정역, 오륜역 등 이 토론에서 언급된 문서는 모두 삭제합니다. --iTurtle (토론) 2009년 8월 4일 (화) 12:42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