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제합니다--Takipoint123 (💬) 2022년 10월 22일 (토) 18:49 (KST)[답변]
등재기준에 대한 근거 요청 틀이 붙은지 7개월이 지났는데도 개선이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음반 발매 내역이 있어보이나 등재 기준에 만족할만한 급인지는 잘 모르겠고, 유튜브 채널은 골드 버튼 수상 기준에 아주 한참 못미치는 약 7천명의 구독자수네요. --양념파닭 (토론) 2022년 9월 25일 (일) 19:49 (KST)[답변]
삭제 뉴스등에 실린 출처가 하나도 없어서 삭제해야합니다. 골드버튼을 받았더라도 그 사람의 행적을 어느정도 특정하여 서술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전무한 경우 등재가 불가능해야 맞다고 봅니다. 골드버튼 수상이나 공직선출 등 하나의 사유만으로 등재기준을 만족시키는 사유가 있으나 쓸 내용이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확인가능한 내용을 쓸게 아예 없으면 작성이 불가능해야 맞고. 대신 쓸게 있도록 하기위한 출처가 있다면 그런 출처는 일반적인 백:등재에서 요구하는 출처보다는 폭넓게 인정할 수 있다고 봅니다. DB따위나 지인이나 가족의 회고록등의 자료가 일반적인 경우 문서 등재 기준의 요건으로 쓸수 없더라도 DB따위나 지인이나 가족의 회고록등에 언급되는 등의 자료라도 있으면 백:확인 가능이 만족되기 때문입니다. 단순한 음반발매 기록가지고는 확인가능한 내용을 쓸 수 있게 하는 기록이라고 볼수도 없습니다. Ghorosu (토론) 2022년 9월 26일 (월) 17:51 (KST)[답변]
- 일단 주신 의견 중에 "골드버튼을 받았더라도 그 사람의 행적을 어느정도 특정하여 서술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전무한 경우 등재가 불가능해야 맞다고 봅니다."라고 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현행 위키백과의 등재 기준은 골드버튼 수상시 등재할 수 있다 명시되어 있으므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9월 26일 (월) 20:12 (KST)[답변]
- 위키백과토론:문서 등재 기준에서 토론하겠습니다. 백:확인 가능에 따라 확인 가능한 서술이 가능한 사람으로 등재대상을 제한하지 않으면 자치단체장 선거 부활 이전에 선출된 기초의원, 광역의원으로서 그뒤에 선거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처럼 출처를 전혀 찾을 수 없고 일반인으로 살게된 인물까지 등재해야하는 문제가 생깁니다. 손주은의 아버지처럼 유명인의 가족이라거나 아니면 본인의 활동에 대해 언론에 하나라도 소개되어 서술이 가능하면 문제가 없겠지만요. 특히 골드버튼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상관없이 획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문제가 됩니다. 골드버튼 수상자에 대해 2차 출처가 없는 경우는 등재할 수 없고, 현재 영어 위키백과의 기준에서 마르퀴스라는 인명사전은 스스로 요청하면 올릴 수 있다는 이유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보지 않고 있고 따라서 누가 마르퀴스에 실렸다는 보도가 있다고해도 그걸 가지고는 등재가 불가능하지만, 예컨데 골드버튼 수상자가 마르퀴스에 실렸다면 등재를 하는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나 다음 인물정보는 고정된 출판물로 나오는게 아니기 때문에 제가 제안하는 기준에 포함시킬 수 있을지 회의적입니다. Ghorosu (토론) 2022년 9월 29일 (목) 18:59 (KST)[답변]
삭제 여기저기 의견 요청을 주셨는데 저도 삭제가 마땅하다고 봅니다. - Ellif (토론) 2022년 10월 2일 (일) 10:33 (KST)[답변]
삭제 유튜브 골드 버튼을 받을 수 있는 구독자 수인 100만 명에 미달하는 관계로 백:등재 위반에 해당된다고 판단됩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22년 10월 7일 (금) 00:12 (KST)[답변]
삭제 등재 기준 현저히 미달. Nt 2022년 10월 8일 (토) 14:36 (KST)[답변]
삭제 음반이기는 한데 정식 발매는 아니군요. --Unypofol (토론) 2022년 10월 9일 (일) 23:46 (KST)[답변]
삭제 등재 기준 미달. --Benohight214 (토론) 2022년 10월 13일 (목) 22:48 (KST)[답변]
※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