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삼국지
삼국지와 관련된 몇몇 문서명의 표기본 주제에서 토의하고자 하는 문서명은 두 가지입니다. 공교롭게도 두 문서 모두 삼국지와 연관이 있는 문서들인지라 여기에 토론장을 잡게 되었다는 점 우선 설명드립니다. 두 문서의 공통점은 현재 문서명인 전자 (바이디 성, 우장위안)에 비해 후자 (백제성, 오장원) 쪽이 더 많이 알려져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두 문서의 차이점은
현재 위키백과의 관례를 보면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설명은 여기까지고, 해당 문서들의 표제어를 어떻게 정할지에 대해 많은 편집자들의 토론이 이루어지길 바랍니다. 덧붙여서 제 개인적인 소망으로는 이 안건이 올해 내로 결론이 났으면 좋겠습니다. --110.70.26.63 (토론) 2018년 12월 21일 (금) 01:15 (KST) 장양 (치숙), 장양 (후한), 진기 (양주) 등 괄호속 표제에 대하여하내태수 장양을 '장양 치숙'으로 검색해 위백으로 들어올 이는 별로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삼국지 장양 네이버, 삼국지 장양 구글) 원술 부하 진기 역시 진기 양주로 검색할 이는 별로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삼국지 진기 네이버 삼국지 진기 구글) 사전을 찾는 이유는 해당 인물을 잘 몰라서인데 자(字)나 출신지 같은 걸로 구분하면 이를 찾는 이들이 좀 힘들 것 같습니다. 장양이나 진기나 각각 장양 (후한), 진기 (원방) 항목과 겹쳐 헷갈린단 점도 있고요. 이에 보다 접하기 쉬운 특징? 정체성? 같은 것을 고민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에 장양 (후한)은 장양 (후한 십상시) or 장양 (후한 환관), 장양 (치숙)은 장양 (후한 태수), 진기 (원방)은 진기 (후한), 진기 (양주)는 진기 (원술 휘하)로 바꿔보려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덧붙여 다른 표제들의 괄호 속 설명 역시 이런 식으로 고민해가며 정한다면 설사 손톱만큼일지라도 검색 유입에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일단술먹고합시다 (토론) 2019년 4월 1일 (월) 23:45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