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언어
언어 및 언어 집단 문서 작성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을 제안합니다.현재 언어나 언어 집단(어족, 어파, 어군) 등의 문서는 일정한 가이드라인 없이 작성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큰 기준이 없는 것은 아니나 (언어 틀 등) 일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에 따라서 일정하게 갖추었으면 하는 (최소한 토막글은 면하게 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으면 합니다.
위의 내용에 다음과 같은 것을 추가하였으면 좋겠군요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3월 1일 (토) 22:31 (KST)
그러고보니 유진선님과 아이리디님의 안은 별로 차이가 없군요. 참, 영어를 페니키아 인이 왜 만들죠? 영어는 인공어가 아닙니다. 영어의 기원은은 앵글로색슨어에 프랑스어가 합쳐진 것입니다. 유진선님께서 아마 문자와 언어를 같다고 조금 착각하는것 같습니다.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4월 10일 (목) 20:24 (KST)
좀처럼 토론이 되질 않네요. -_-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언어/가이드라인을 일단 만들어봅니다. 그러고보니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잠수중에 있습니다.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4월 30일 (수) 19:25 (KST) 대분류 포털 관련 문의
프로젝트 회원은 아닙니다만, 프랑스어 인구수 관련 질문현재 외공사 분과 아련이 분이 거의 몇일 씩 프랑스어 인구 수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계십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상황은 프랑스 어의 인구 수를 어느 출처에 따라 작성할 것인가가 가장 큰 문제입니다. 언어통계학에 일가견이 있으신 분은 좀 해결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토론은 토론:프랑스어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RedmosQ (토론) 2008년 9월 13일 (토) 12:39 (KST) 언어 분류언어 분류 체계(어족/어파/어군) 및 분류 명칭의 출처가 궁금합니다. 저명한 책, 또는 전문가 집단(언어학회)에서 정리되거나 인정된 것인가요?--백두 (토론) 2009년 2월 12일 (목) 12:22 (KST) 정말 지엽적인 부분입니다만.본 프로젝트 대문 첫머리 부분에서, '프로젝트를 출발합니다.' 라는 문장이 있는데 이게 왜 이렇게 어색해 보일까요. 대개 '~을/를 출발하다.'라는 표현은 '~'에서 떠나는 의미로 많이 쓰이지 않나요? 예를 들어 '서울을 출발합니다.' 라는, '서울에서 떠나다.' 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일텐데요. 저런 경우에는 '프로젝트를 출발시킵니다.'가 그나마 나을 듯 한데요. 사실 이 프로젝트에 참가하시는 분들이라면 언어 전공자이거나 관심있는 분들이 많으실테니 제가 '택도 없는' 지적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냥 지나가기에는 찜찜한 감이 있어 영 이상해서 글을 남기고 갑니다.--소심자 (토론) 2010년 6월 11일 (금) 00:45 (KST)
닿소리 문서들...
기존 문서에는 영향이 없도록 이 두 코드를 위한 매개변수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 부분을 출력하는 칸 자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해놓았습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en:Template:Infobox language에는 링귀스트 리스트는 있고, ISO 639-6는 아직 없는데 토론으로 추가하자고 제가 제안한 상태입니다. 참고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ISO 639-6 문서는 아직 독립된 문서로 작성되지 않았고, ISO 639 문서로 넘겨주는 상황입니다. 영어판 문서 en:ISO 639-6에 가보시면 ISO 639-6 코드 검색을 위한 홈페이지가 External links에 들어가 있으니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두 코드는 제주어 문서에 1차로 적용해 봤습니다. --Yes0song (토론) 2012년 6월 1일 (금) 18:24 (KST) IPA 기호를 항목으로 넘겨주는 건 어떨까요?
“우리말”이라 쓰인 곳들전 고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성을 지켜야 하므로, 예를들어 “우리말 순화”가 아닌 “한국어 순화”로 고쳐야 한다고 봅니다. 많은 문서에 "우리말"이라 표기된 곳이 많습니다... --Homurachan (토론) 2014년 4월 4일 (금) 21:55 (KST)
문화어 틀에 관하여전 왠만하면 문화어 다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합니다. 우선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이지요. 당연히 방언이나 북한말보다 표준어를 따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어 틀을 달 필요가 있는 문서(예를들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에 대한 문서나 인명 등...) 외에는 문화어 틀을 달 필요가 없지 않나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러분의 의견을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omurachan (토론) 2014년 5월 21일 (수) 19:55 (KST)
I invite you to help write this article.--Kaiyr (토론) 2014년 8월 6일 (수) 00:08 (KST) 언어지도나는 당신의 처리에 언어지도를 포함이 범주에 넣어 것입니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색 균일도에 대한 모든 기준을 충족, 모든 대륙에서 언어지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commons:Category:Linguistic maps of single language 감사합니다.--Fobos92 (토론) 2014년 9월 24일 (수) 05:30 (KST) {{문자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자매 문자(Sister scripts인데 일본어판이나 중국어판이나 姊妹 비슷한 것으로 두고 있어 그대로 함), ISO 15924, 유니코드 범위를 일단 추가하였습니다. Children 문자는 번역을 어찌 할지 몰라 보류, ISO 15924 관련 무언가를 또 해야 하는데... -&bahn- Joseph Riemann 2015년 6월 28일 (일) 21:45 (KST) 제0차 -> 제 0 차한국어 문법을 찾아보니 각각 띄어쓰기를 쓰더라구요. 이에 따라 제0차 이런식의 문서 제목을 제 0 차 으로 바꾸고자 하는데 다른 사용자 분들의 의견은 어떠신가요? Yoyoma88 (토론) 2016년 6월 1일 (수) 12:50 (KST)
가짜동족어는 false cognate의 번역어가 되는게 합당하므로 [2] 나 [3] 에 용례가 있는 거짓유사어로 이동하거나 거짓짝=[4]도 용례가 있으므로 거짓짝으로 원복합시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147.46.250.112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RhapsoDJ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언어학 프로젝트 분리이 프로젝트는 개별 언어를 다루는 것으로 하고, 언어학 용어, 현상 등은 위키프로젝트:언어학으로 분리할 지 토론을 엽니다. --Kulgai (토론) 2020년 3월 17일 (화) 13:31 (KST)
아프리카의 새 공용어말리:밤바라어(Bambara), 보보어(Bobo), 보조어(Bozo), 도곤어(Dogon), 풀라어(Fula), 하사니아 아랍어, 카손케어(Kassonke), 마닝카어(Maninka), 미냥카어(Minyanka), 세누포어(Senufo), 송가이어(Songhay), 소닌케어(Soninke), 타마셰크어(Tamasheq) 부르키나파소: 모레어(Mooré), 비사어(Bissa), 줄라어(Dyula), 풀라어(Fula) 빨간 링크가 없게 기여가 필요합니다. 223.62.202.101 (토론) 2024년 7월 18일 (목) 02:00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