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견법과 무견법
유견법과 무견법 즉 '유견법(有見法) · 무견법(無見法)의 쌍'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유견법과 무견법 즉 '유견법(有見法) · 무견법(無見法)의 쌍'은 여러 가지 2법(二法)들 가운데 하나로, 이 둘을 합하면 일체법이 된다. 하지만, 때로는 일체법에서 무위법을 제외한 유위법 전체에 대해 '유견법 · 무견법'의 구분을 적용하기도 한다.[10][11][12][13] 유견법과 무견법을 통칭하여 전통적인 용어로 유견무견법(有見無見法)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유견무견(有見無見)이라고도 한다.[10][11] 유견법(有見法)과 무견법(無見法)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봄이 있는 법'과 '봄이 없는 법'이다. 유견법(有見法, 산스크리트어: sanidarśana, 티베트어: bstan du yod pa, 영어: the visible) 즉 봄이 있는 법이란 안근(眼根)으로 보이는 대상을 말하며, 6경(六境) 가운데 색경(色境), 즉 12처(十二處) 가운데 색처(色處), 즉 18계(十八界) 가운데 색계(色界)를 말한다.[10][11][12][13][14] 무견법(有見法, 산스크리트어: anidarśana, 티베트어: bstan du med pa, 영어: the invisible) 즉 봄이 없는 법이란 유견법을 제외한 모든 법을 말한다.[10][11][12][13][15] 유견(有見)의 성질 즉 유견성(有見性)을 가견성(可見性)이라고도 한다. 마찬가지로, 유견을 가견(可見)이라고도 한다. 무견(無見)의 성질 즉 무견성(無見性)을 불가견성(不可見性)이라고도 한다. 마찬가지로, 무견을 불가견(不可見)이라고도 한다.[16][17][18][19] 경론별 설명아비달마품류족론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6권에 따르면,[20][21]
아비달마구사론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22][23]
대지도론대승불교의 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20권에 따르면,
유가사지론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56권에 따르면,[26][27] 삼장법수
법체계에서의 유견무견법5온일체의 유위법에 대한 법체계로, 초기불교 이래로 불교 일반에서 사용되어온 법체계인 5온(五蘊)에서, 색온(色蘊)의 일부만이 유견법(有見法)이다. 아래 표에서 색온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색온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모든 온(蘊)은 무견법(無見法)이다.[26][27] 12처일체법에 대한 법체계로, 초기불교 이래로 불교 일반에서 사용되어온 법체계인 12처(十二處)에서, 오직 색처(色處)만이 유견법(有見法)이다. 아래 표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다른 모든 처(處)는 무견법(無見法)이다.[20][21] 18계일체법에 대한 법체계로, 초기불교 이래로 불교 일반에서 사용되어온 법체계인 18계(十八界)에서, 오직 색계(色界)만이 유견법(有見法)이다. 아래 표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다른 모든 계(界)는 무견법(無見法)이다.[22][23] 5위 75법일체법에 대한 법체계로,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법체계인 5위 75법(五位七十五法)에서, 색법(色法)의 그룹[位]에 속한 색경(色境)만이 유견법(有見法)이다. 아래 표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74가지 법은 모두 무견법(無見法)이다. 5위 100법일체법에 대한 법체계로,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법체계인 5위 100법(五位百法)에서, 색법(色法)의 그룹[位]에 속한 색경(色境)만이 유견법(有見法)이다. 아래 표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99가지 법은 모두 무견법(無見法)이다. 같이 보기참고 문헌
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