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 ~ 100호 목록
이 목록에서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1946년 1월 25일부터 1953년 10월 27일까지 결의된 1~100호 결의안에 대한 목록이다.
결의 번호
|
결의일
|
투표 (찬성-반대-기권)
|
내용
|
1
|
1946년 1월 25일
|
투표 없이 결의
|
군사참모위원회 설립
|
2
|
1946년 1월 30일
|
11-0-0
|
1946년 이란 위기
|
3
|
1946년 4월 4일
|
9-0-1 (오스트레일리아 기권, 소련 불참)
|
이란 지역 내 소비에트 연방 군대
|
4
|
1946년 4월 29일
|
10-0-1 (소련 기권)
|
스페인 프랑코 정권에 대한 비난 결의
|
5
|
1946년 5월 8일
|
10-0-0 (소련 불참)
|
이란 지역 내 소비에트 연방 군대
|
6
|
1946년 5월 17일
|
11-0-0
|
회원국 가입에 관한 절차 사항
|
7
|
1946년 6월 26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투표하지 않음.
|
스페인 프랑코 정권에 대한 비난 결의안 채택 및 사태에 대한 지속적 감시
|
8
|
1946년 8월 29일
|
10-0-1 (오스트레일리아 기권)
|
아프가니스탄, 아이슬란드 및 스웨덴 가입
|
9
|
1946년 10월 15일
|
11-0-0
|
국제 사법 재판소 관할권
|
10
|
1946년 11월 4일
|
11-0-0
|
스페인에 대한 이사회의 감시가 정당하지 않음을 결정
|
11
|
1946년 11월 15일
|
투표 없이 결의
|
스위스 및 국제 사법 재판소
|
12
|
1946년 12월 10일
|
1·2차는 11-0-0, 3차는 "다수결"
|
그리스 내 영국 군대
|
13
|
1946년 12월 12일
|
11-0-0
|
시암 가입
|
14
|
1946년 12월 16일
|
9-0-2 (소련, 미국 기권)
|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 임기
|
15
|
1946년 12월 19일
|
11-0-0
|
그리스-알바니아계 및 불가리아-유고슬라비아계 국경 침범
|
16
|
1947년 1월 10일
|
10-0-1 (오스트레일리아 기권)
|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설립 승인
|
17
|
1947년 2월 10일
|
9-0-2 (폴란드, 소련 기권)
|
그리스, 알바니아, 불가리아, 유고슬라비아의 정치 수감자들의 사형.
|
18
|
1947년 2월 13일
|
10-0-1 (소련 기권)
|
군비 규정 및 축소에 관한 위원회 설치
|
19
|
1947년 2월 27일
|
8-0-3 (폴란드, 시리아, 소련 기권)
|
콜푸 해협 사건
|
20
|
1947년 3월 10일
|
11-0-0
|
자력위원회에 대한 보고
|
21
|
1947년 4월 2일
|
11-0-0
|
전략 지대의 신탁통치 - 구 독일령 태평양 연안 제도
|
22
|
1947년 4월 9일
|
8-0-2 (폴란드, 소련 기권. 영국 불투표)
|
콜푸 해협 사건
|
23
|
1947년 4월 18일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그리스 문제"에 관한 위원회 연장 및 확대
|
24
|
1947년 4월 30일
|
10-0-1 (기권: 오스트레일리아)
|
헝가리 가입
|
25
|
1947년 5월 23일
|
10-0-1 (기권: 오스트레일리아)
|
이탈리아 가입
|
26
|
1947년 6월 4일
|
11-0-0
|
국제 사법 재판소의 절차
|
27
|
1947년 8월 1일
|
인도네시아 초대 8-0-3 (기권: 프랑스, 벨기에, 영국) 네덜란드 초대: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인도네시아 공화국 혁명
|
28
|
1947년 8월 6일
|
10-0-1 (기권: 소련)
|
그리스 문제에 대한 소위원회
|
29
|
1947년 8월 12일
|
예멘, 파키스탄 가입 11-0-0 불가리아, 헝가리, 이탈리아, 로마니아 가입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예멘, 파키스탄, 불가리아, 헝가리, 이탈리아, 로마니아 가입
|
30
|
1947년 8월 25일
|
7-0-4 (기권: 콜롬비아, 폴란드, 소련, 영국)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31
|
1947년 8월 25일
|
8-0-3 (기권: 폴란드, 시리아, 소련)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해결을 위한 위원회
|
32
|
1947년 8월 26일
|
10-0-1 (기권: 영국)
|
인도네시아 폭력 사태에 대한 재차 비난
|
33
|
1947년 8월 27일
|
10-0-1 (기권: 오스트레일리아)
|
의회 절차 수칙에 관한 총회 견해의 재검토
|
34
|
1947년 9월 15일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그리스와 알바니아 간, 유고슬라비아와 불가리아 간 분쟁 종식
|
35
|
1947년 10월 3일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 관한 위원회의 진행 일정
|
36
|
1947년 11월 1일
|
7-1-3 (반대: 폴란드. 기권: 콜롬비아, 시리아, 소련)
|
인도네시아 내 정당들에게 이전 결의안들을 시행할 것을 주문
|
37
|
1947년 12월 9일
|
투표 없이 결의
|
새 회원국 신청 관련 절차
|
38
|
1948년 1월 17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파키스탄-카슈미르 분쟁
|
39
|
1948년 1월 20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파키스탄-카슈미르 관련 위원회 설립 제안
|
40
|
1948년 2월 28일
|
8-0-3 (기권: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네시아 사태에 대한 모니터링
|
41
|
1948년 2월 28일
|
7-0-4 (기권: 콜롬비아, 시리아,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네시아 휴전 협정 칭찬
|
42
|
1948년 3월 5일
|
8-0-3 (기권: 아르헨티나, 시리아, 영국)
|
팔레스타인 상황 통지 요청
|
43
|
1948년 4월 1일
|
11-0-0
|
팔레스타인 사태 관련자 요청
|
44
|
1948년 4월 1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팔레스타인에 관한 총회의 특별회의 요청
|
45
|
1948년 4월 11일
|
10-0-1 (기권: 아르헨티나)
|
버마 가입
|
46
|
1948년 4월 17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팔레스타인 지역 학살에 대한 종료 요청
|
47
|
1948년 4월 21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 이사국이 투표하지 않음.
|
인도, 파키스탄 및 카슈미르에 대한 추가 요청
|
48
|
1948년 4월 23일
|
8-0-3 (기권: 콜롬비아, 우크라이나, 소련)
|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진실 위원회 설립
|
49
|
1948년 5월 22일
|
8-0-3 (기권: 시리아, 우크라이나, 소련)
|
팔레스타인 지역 학살 중지 명령
|
50
|
1948년 5월 29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투표하지 않음.
|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분쟁 중지 명령
|
51
|
1948년 6월 3일
|
8-0-3 (기권: 중국,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 파키스탄 및 카슈미르에 관련된 위원회
|
52
|
1948년 6월 22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미국 원자력 위원회의 제2차 및 제3차 보고서 검토
|
53
|
1948년 7월 7일
|
8-0-3 (시리아,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 휴전 연장에 대한 시급한 호소
|
54
|
1948년 7월 15일
|
7-1-3 (시리아 반대.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분쟁
|
55
|
1948년 7월 29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에 렌빌 조약 시행 요청
|
56
|
1948년 8월 19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투표하지 않음.
|
팔레스타인 지역 휴전
|
57
|
1948년 9월 18일
|
11-0-0
|
포크 버나도트의 암살
|
58
|
1948년 9월 28일
|
투표 없이 결의
|
스위스 및 국제 사법 재판소
|
59
|
1948년 10월 19일
|
투표 없의 결의
|
폴셰 베르나도테의 암살, 팔레스타인의 이전 결의안
|
60
|
1948년 10월 29일
|
투표 없이 결의
|
팔레스타인 지역에 소위원회 설립
|
61
|
1948년 11월 4일
|
9-1-1 (우크라이나 반대.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위원회 및 휴전
|
62
|
1948년 12월 6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투표하지 않음.
|
팔레스타인 지역 휴전 요청
|
63
|
1948년 12월 24일
|
7-0-4 (벨기에, 프랑스,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인도네시아의 정치범 석방 및 학살 중단 요청
|
64
|
1948년 12월 28일
|
8-0-3 (벨기에, 프랑스, 영국 기권)
|
네덜란드에 인도네이사 및 정치범 석방 요청
|
65
|
1948년 12월 28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인도네시아 사태에 대한 보고 요청
|
66
|
1948년 12월 29일
|
8-0-3 (우크라이나, 소련, 미국 기권)
|
팔레스타인 내에 결의 제 61호를 시행할 것을 요구
|
67
|
1949년 1월 29일
|
부분적으로 결의되었으며 전체적으로 투표하지 않음.
|
인도네시아 합중국 건국 요청
|
68
|
1949년 2월 10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재래식 무기에 관한 총회 결의안 및 위원회
|
69
|
1949년 3월 4일
|
9-1-1 (이집트 반대. 영국 기권)
|
이스라엘 가입
|
70
|
1949년 3월 7일
|
8-0-3 (이집트,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전략 지대의 신탁통치에 관한 보고
|
71
|
1949년 6월 27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리히텐슈타인 및 국제 사법 재판소
|
72
|
1949년 8월 11일
|
투표 없이 결의
|
팔레스타인 지역에 감시군 파견
|
73
|
1949년 8월 11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 휴전 협약
|
74
|
1949년 9월 16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총회에 원자력 위원회 결의안 이전
|
75
|
1949년 9월 27일
|
7-1-3 (우크라이나 반대. 쿠바, 이집트, 소련 기권)
|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 관련 위원회에 원조한 국가에 상환
|
76
|
1949년 10월 5일
|
9-1-1 (우크라이나 반대. 소련 기권)
|
인도네시아 내 참관인의 향후 비용
|
77
|
1949년 10월 9일
|
9-0-2 (기권: 우크라이나, 소련)
|
재래식 무기 위원회와 총회의 보고
|
78
|
1949년 10월 18일
|
9-0-2 (우크라이나, 소련 기권)
|
재래식 무기 위원회와 총회의 보고
|
79
|
1950년 1월 17일
|
9-0-0 (유고슬라비아 불투표. 소련 불참)
|
재래식 무기 위원회와 총회의 보고
|
80
|
1950년 3월 14일
|
8-0-2 (인도, 유고슬라비아 기권. 소련 불참)
|
정전 협정에 따른 인도, 파키스탄 및 카슈미르에 대한 비난 결의
|
81
|
1950년 5월 24일
|
10-0-0 (소련 불참)
|
총회 결의안 제258호
|
82
|
1950년 6월 25일
|
9-0-1 (유고슬라비아 기권. 소련 불참)
|
한국 전쟁
|
83
|
1950년 6월 27일
|
7-1-0 (유고슬라비아 반대. 이집트, 인도 불투표. 소련 불참)
|
한국 내 활동 중지 요청
|
84
|
1950년 7월 7일
|
7-0-3 (이집트, 인도, 유고슬라비아 기권. 소련 불참)
|
평화를 위협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항하기 위해 대한민국을 원조.
|
85
|
1950년 7월 31일
|
9-0-1 (유고슬라비아 기권, 소련 불참)
|
한미연합사령부 지원.
|
86
|
1950년 9월 26일
|
10-0-1 (중국 기권)
|
인도네시아 가입
|
87
|
1950년 9월 29일
|
7-3-1 (중국, 미국, 쿠바 반대. 이집트 기권)
|
중화인민공화국의 중화민국 침공 선언
|
88
|
1950년 11월 8일
|
8-2-1 (중국, 쿠바 반대. 이집트 기권)
|
한국 전쟁 논의에 참석토록 중화인민공화국 대표 소환
|
89
|
1950년 11월 17일
|
9-0-2 (이집트,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인 추방 관련 비난
|
90
|
1951년 1월 31일
|
11-0-0
|
의회 안건에서 한국 전쟁 건을 제외
|
91
|
1951년 3월 30일
|
8-0-3 (인도, 소련, 유고슬라비아 기권)
|
인도 및 파키스탄의 유엔 대표 할당 및 새로 임명
|
92
|
1951년 5월 8일
|
10-0-1 (소련 기권)
|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휴전 요청
|
93
|
1951년 5월 18일
|
10-0-1 (소련 기권)
|
중동 휴전 협정
|
94
|
1951년 5월 29일
|
11-0-0
|
국제 사법 재판소 판관의 사망과 선거
|
95
|
1951년 9월 1일
|
8-0-3 (중국, 인도, 소련 기권)
|
이집트 및 수에즈 위기에 대한 비난 결의
|
96
|
1951년 11월 10일
|
9-0-2 (인도, 소련 불참)
|
인도와 파키스탄 간 카슈미르 문제에 대해 평화가 정착했음을 선언
|
97
|
1952년 1월 30일
|
투표 세부 정보 없음
|
재래식 무기 위원회 해산
|
98
|
1952년 12월 23일
|
9-0-1 (소련 불참, 파키스탄 기권)
|
인도와 파키스타 간 합의 요청
|
99
|
1953년 8월 12일
|
투표 없이 결의
|
국제 사법 재판소의 선거 및 판관의 사임
|
100
|
1953년 10월 27일
|
11-0-0
|
팔레스타인 비무장 지대 해제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