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우옌 왕조의 황제
|
재위
|
(추존)
|
응우옌 주의 군주
|
재위
|
1687년 4월 30일 ~ 1691년 2월 7일
|
전임
|
용국공(勇國公) 응우옌푹떤(阮福瀕)
|
후임
|
조국공(祚國公) 응우옌푹쭈(阮福淍)
|
이름
|
휘
|
응우옌푹타이(Nguyễn Phúc Thái/阮福溙/완복태)
|
이칭
|
응우옌푹응안(Nguyễn Phúc Ngàn/阮福彦/완복언)
|
별호
|
홍은후(Hoằng Ân Hầu/弘恩侯) 의주(Chúa Nghĩa/主義)
|
묘호
|
영종(Anh Tông/英宗)
|
시호
|
대원수총국정소휴찬업홍의왕 (Đại Nguyên Soái Thống Quốc Chính Thiệu Hư Toản Nghiệp Hoằng Nghĩa Vương /大元帥總國政紹休纂業弘義王) → 소휴찬업관홍박후온혜자상효의왕 (Thiệu Hư Toản Nghiệp Khoan Hồng Bác Hậu Ôn Huệ Từ Tường Hiếu Nghĩa Vương /紹休纂業寬洪博厚溫惠慈祥孝義王) → 소휴찬업관홍박후온혜자상효의황제 (Thiệu Hư Toản Nghiệp Khoan Hồng Bác Hậu Ôn Huệ Từ Tường Hiếu Nghĩa Hoàng Đế /紹休纂業寬洪博厚溫惠慈祥孝義皇帝)
|
능호
|
장무릉(Trường mậu Lăng/長茂陵)
|
신상정보
|
출생일
|
후 레 왕조 카인득(慶德) 2년 12월 21일 (1650년 1월 22일)
|
사망일
|
후 레 왕조 찐호아(正和) 12년 1월 4일 (1691년 2월 7일) (41세)
|
부친
|
용국공(勇國公) 응우옌푹떤(阮福瀕)
|
모친
|
자선정비(慈僊靜妃) 똥티도이(宋氏堆)
|
배우자
|
자절헌비(慈節憲妃) 똥티린(宋氏領)
|
응우옌 푹 타이(베트남어: Nguyễn Phúc Thái / 阮福溙 완복태, 1650년 1월 22일(음력 1649년 12월 21일) ~ 1691년 2월 7일(음력 1월 4일))은 대월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제5대 군주(재위: 1687년 ~ 1691년)이다. 다른 이름으로 응우옌 푹 응안(베트남어: Nguyễn Phúc Ngàn / 阮福彦 완복언)이라고도 한다. 군주의 칭호는 의주(베트남어: Chúa Nghĩa / 主義)이다.
생애
찐호아 5년(1684년), 부군 응우옌 푹 떤의 장자 응우옌 푹 지엔(베트남어: Nguyễn Phúc Diễn / 阮福演 완복연)이 사망하면서, 일찍 죽은 공자들을 제외한 공자들 사이에서 차기 후계자로 길러지게 되었다.
찐호아 8년 3월 19일(1687년 4월 30일), 부군이 서거하게 되면서 군주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응우옌 푹 타이가 지배하던 시기에는 찐 주와의 전쟁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캄보디아와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시곤(柴棍, 지금의 호찌민 시)에서 명나라의 유신인 황진(黃進)의 반란을 진압하기도 하였다.
찐호아 12년 1월 4일(1691년 2월 7일), 군주 응우옌 푹 타이가 서거하니, 향년 43세(만 41세)였다.
봉호, 시호, 능호
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부장(副將) 겸 홍은후(베트남어: Hoằng Ân Hầu / 弘恩侯)이며, 즉위 후에 받은 후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诸营)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부(太傅) 겸 홍국공(베트남어: Hoằng Quốc Công / 弘國公)으로 진봉되었다.
시호는 사후에 대원수총국정 소휴찬업홍의왕(베트남어: Đại Nguyên Soái Thống Quốc Chính Thiệu Hư Toản Nghiệp Hoằng Nghĩa Vương / 大元帥總國政紹休纂業弘義王)으로 추존되었으며,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칭왕이 된 후에 시호를 소휴찬업관홍박후온혜자상효의왕(베트남어: Thiệu Hư Toản Nghiệp Khoan Hồng Bác Hậu Ôn Huệ Từ Tường Hiếu Nghĩa Vương / 紹休纂業寬洪博厚溫惠慈祥孝義王)으로 재추존 되었으며, 응우옌 왕조가 건국 하고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영종(베트남어: Anh Tông / 英宗), 시호를 소휴찬업관홍박후온혜자상효의황제(베트남어: Thiệu Hư Toản Nghiệp Khoan Hồng Bác Hậu Ôn Huệ Từ Tường Hiếu Nghĩa Hoàng Đế / 紹休纂業寬洪博厚溫惠慈祥孝義皇帝)로 재추존되었다.
능호는 장무릉(베트남어: Trường mậu Lăng / 長茂陵)이다.
가족 관계
후비
봉호 |
시호 |
이름 (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국구 (장인/장모) |
비고
|
궁빈 (宮嬪) |
자절헌비 (Từ Tiết Hiến Phi /慈節憲妃) |
똥 티 린 (Tống Thị Lĩnh /宋氏領 /송씨령) |
[1] |
1653년 ~ 1696년 |
[2] |
[3]
|
가비 (嘉妃) |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
|
|
|
|
공자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자식 |
별칭 |
비고
|
1 |
조국공 (Tộ Quốc Công /祚國公) |
|
응우옌 푹 쭈 (Nguyễn Phúc Chu /阮福淍 /완복주) |
1675년 ~ 1725년 |
자절헌비 똥 티 린 |
146남녀 |
[4] |
응우옌 주 제6대 군주.
|
2 |
|
|
응우옌 푹 뚜언 (Nguyễn Phúc Tuân /阮福遵 /완복준) |
|
|
|
|
요절함.
|
3 |
|
|
응우옌 푹 또안 (Nguyễn Phúc Toàn /阮福全 /완복전) |
|
|
|
|
|
4 |
|
|
응우옌 푹 찐 (Nguyễn Phúc Trinh /阮福貞 /완복정) |
|
|
|
|
|
5 |
|
|
응우옌 푹 꾸앙 (Nguyễn Phúc Quảng /阮福廣 /완복광) |
|
|
|
|
요절함.
|
공녀
-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1 |
|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
|
|
[5] |
|
기록 미상.
|
2 |
|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
|
|
[6] |
|
기록 미상.
|
3 |
송산군군숙부인 (Tống Sơn Quận Quân Thục Phu nhân /宋山郡君淑夫人) |
|
응우옌 티 응옥니엠 (Nguyễn Thị Ngọc Nhiễm /阮氏玉冉 /완씨옥염) |
? ~ 1703년 |
|
[7] |
|
|
4 |
|
|
응우옌 티 응옥니에우 (Nguyễn Thị Ngọc Niệu /阮氏玉嬝 /완씨옥뇨) |
|
|
|
|
|
기년
각주
- ↑ 국태부인(Quốc Thái Phu Nhân/國太夫人)
- ↑ 군공(베트남어: Quận công / 郡公) 똥 푹 빈(베트남어: Tống Phúc Vinh / 宋福榮 송복영) / 부인(베트남어: phu nhân / 夫人) 레 티(베트남어: Lê Thị / 黎氏 여씨)
- ↑ 무왕(武王) 응우옌 푹 코앗(阮福濶)이 칭왕 후에 장비로 추존하였고, 시호를 여러번 추가하여 자절정숙효자헌비(Từ Tiết Tĩnh Thục Hiếu Từ Hiến Phi/慈節靜淑孝慈憲妃)이라 하였다. 이후에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황후로 추존되어, 시호를 자절정숙혜민헌순효의황후(Từ Tiết Tĩnh Thục Tuệ Mẫn Hiến Thuận Hiếu Nghĩa Hoàng Hậu/慈節靜淑慧敏憲順孝義皇后)로 개칭하였다.
- ↑ 조장후(Tộ Trường Hầu/祚長侯) / 조군공(Tộ Quận Công/祚郡公) / 천종도인(Thiên Tung Đạo Nhân/天縱道人) / 응우옌 푹 뚱(베트남어: Nguyễn Phúc Tùng / 阮福松 완복송)
- ↑ 신군공(베트남어: Tín Quận Công / 信郡公)
- ↑ 재군공(베트남어: Tài Quận Công / 才郡公)
- ↑ 국공(베트남어: Quốc công / 國公) 쯔엉 푹 판(베트남어: Trương Phúc Phan / 張福攀 장복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