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철원군의 행정 구역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해방과 동시에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단되어 철원군 전역이 공산치하에 들어 갔다가 한국전쟁 이후 한국군의 북진에 따라 일부 지역이 수복되었으며, 1963년 1월 1일 법률 제 1178호에 의거 구 김화군 중 8개 읍면(김화, 서면, 근북, 근동, 근남, 원동, 원남, 임남)이 철원군에 편입되고, 신서면이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었으며, 1972년 12월 28일 법률 제 2395호에 의거 전 철원군 북면 유정리, 홍원리와 내문면 독검리를 철원읍에, 전 평강군 남면 정연리가 갈말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 6542호로 철원군 서면 청양리와 도창리가 김화읍에 편입되었고,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 9409호로 갈말면이 읍으로, 1980년 대통령령 제 10050호로 동송면이 읍으로 승격 4읍 7면으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1]

지도

행정 구역

아래 행정구역은 2016년 2월 18일 공포된 철원군 조례 제2326호 기준이다. 기울인 글씨는 거주 인구가 없는 곳이다.

읍·면 한자 면적 세대 인구 법정리
철원읍 鐵原邑 99.14 2,273 5,903 가단리(加丹里), 관전리(官田里), 내포리(內浦里), 대마리(大馬里), 독검리(篤檢里), 사요리(四要里), 산명리(山明里), 외촌리(外村里), 월하리(月下里), 유정리(楡井里), 율이리(栗梨里), 중리(中里), 중세리(中細里), 홍원리(洪元里), 화지리(花地里)
김화읍 金化邑 87.71 1,410 3,394 학사리(鶴沙里), 읍내리(邑內里), 생창리(生昌里), 암정리(岩井里), 운장리(雲長里), 용양리(龍楊里), 감봉리(甘鳳里), 청양리(淸陽里), 도창리(道昌里)
갈말읍 葛末邑 173.10 5,698 13,936 신철원리(新鐵原里), 지포리(芝浦里), 강포리(江浦里), 군탄리(軍炭里), 문혜리(文惠里), 내대리(內垈里), 지경리(地境里), 토성리(土城里), 상사리(上絲里), 동막리(東幕里), 정연리(亭淵里)
동송읍 東松邑 128.65 6,969 17,087 이평리(二坪里), 오덕리(五德里), 장흥리(長興里), 오지리(梧地里), 상노리(上路里), 대위리(大位里), 관우리(觀雨里), 양지리(陽地里), 이길리(二吉里), 하갈리(下葛里), 중강리(中江里), 강산리(江山里)
서면 西面 74.32 2,823 6,532 자등리(自等里), 와수리(瓦水里)
근남면 近南面 129.36 1,081 2,475 육단리(六丹里), 잠곡리(蠶谷里), 사곡리(沙谷里), 양지리(陽地里), 풍암리(豊岩里), 마현리(馬峴里)
근북면 近北面 24.09 62 136 유곡리(楡谷里), 백덕리(柏德里), 금곡리(金谷里), 율목리(栗木里)
철원군 鐵原郡 898.15 20,316 49,463

민간인통제구역 내 군사작전지역으로 인구가 거주하지 않는 곳은 다음과 같다. 취소선은 미수복 지역을 뜻한다.

읍·면 한자 면적 법정리
근동면 近東面 20.38 광삼리(光三里), 방통리(芳通里)
원남면 遠南面 81.26 개야리(開野里), 경상리(慶祥里), 죽대리(竹垈里), 백양리(白楊里), 남둔리(南屯里), 월봉리(月峰里), 풍동리(楓洞里), 주파리(住波里), 구룡리(九龍里), 노동리(蘆洞里), 진현리(榛峴里)
원동면 遠東面 57.53 등대리(登大里), 송실리(松室里), 용연리(龍淵里), 세현리(細峴里)
임남면 任南面 22.61 달전리(達田里), 과호리(科湖里), 좌패리(佐佩里), 수동리(水洞里)
  • 근북면, 근동면은 김화읍 관할
  • 원남면, 원동면, 임남면은 근남면 관할

미수복지구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군사분계선 이북에 위치한 철원군의 다음 지역에 대하여 명예면장을 임명한다.

면적 리의 수 리(里) 비고
어운면(於雲面) 65.19 5 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 동송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묘장면(畝長面) 62.59 4 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 철원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북면(北面) 102.77 6 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 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내문면(乃文面) 73.17 6 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 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마장면(馬場面) 73.46 6 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 전 지역 미수복
인목면(寅目面)[2] 73.29 6 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 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 신서면에 편입

각주

  1. 철원군 유래와역사 보관됨 2017-06-15 - 웨이백 머신, 2020년 3월 2일 확인
  2. 군사분계선 이남의 인목면은 1954년 11월 17일 신서면에 편입된 후,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었다.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