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학에서 케일리-해밀턴 정리(영어: Cayley–Hamilton theorem)는 정사각 행렬이 자기 자신의 특성 방정식을 만족시킨다는 정리이다. 아서 케일리와 윌리엄 로언 해밀턴의 이름에서 따왔다.
정의
가환환
위의
정사각 행렬
의 특성 다항식을
![{\displaystyle p(x)=\det(x-M)=\sum _{k=0}^{n}p_{k}x^{k}\in K[x]}](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e6091a242a908a7170f85c3695fcbc9847c93ea2)
라고 하자. 여기서
는 행렬식이다. 케일리-해밀턴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1]:194, §6.4, Theorem 4

특히,
가 체일 경우
의 최소 다항식은 특성 다항식의 약수이다.[1]:194, §6.4, Theorem 4
증명
행렬식을 통한 증명
가환환
![{\displaystyle K[M]=\{q(M)\colon q\in K[x]\}\subseteq \operatorname {Mat} (n;K)}](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cda8a030a83ddc95616e559e8303912c425458fb)
위의
행렬
![{\displaystyle N\in \operatorname {Mat} (n;K[M])}](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8790d20fcd5bb21eb903f0279066630d37fa83b6)
![{\displaystyle N_{ij}=\delta _{ij}M-M_{ij}\in K[M]}](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4de0204261b79d55f7756f8a6be66c60d129b699)
을 생각하자. 여기서
는 크로네커 델타이다. 열벡터의 공간
의 표준 기저를
라고 하고,
의 고전적 수반 행렬을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따라서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즉,
이다.[1]:194-196, §6.3
삼각화를 통한 증명
만약
가 정역일 경우, 케일리-해밀턴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편의상
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라고 하자. (만약 아닐 경우
의 분수체의 대수적 폐포를 취하면 된다.)
우선,
이 상삼각 행렬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의 최소 다항식은

이다.
은 첫째 열의 모든 성분이 0인 상삼각 행렬이며,
는 첫째 열과 둘째 열의 성분이 모두 0인 상삼각 행렬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결국
을 얻는다.
이제,
이 일반적인 행렬이라고 하자.
가 대수적으로 닫힌 체이므로,
의 최소 다항식
는
에서 1차 다항식의 곱이며, 따라서
은
에서 삼각화 가능 행렬이다.
가 상삼각 행렬이 되는 가역 행렬
를 취하자. 그렇다면
의 최소 다항식 역시
이므로,

이다.[1]:204-205, §6.4
예
행렬의 거듭제곱
A 행렬이 다음과 같이 주어졌다고 가정하자.
는 단위행렬(곱셈의 항등원)
이때 특성 다항식은 다음과 같다.

케일리-해밀턴 정리에 따르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실제로 계산해 보면, 위 식이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식을 통해 A4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2 × 2 역행렬

3 × 3 역행렬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