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데타 벨트

쿠데타 벨트
아프리카의 지정학적 지역
2020년과 2023년 사이 쿠데타가 성공한 아프리카 국가들
2020년과 2023년 사이 쿠데타가 성공한 아프리카 국가들
대륙아프리카
국가기니 기니
기니비사우 기니비사우
말리 말리
부르키나파소 부르키나파소
니제르 니제르
차드 차드
수단 수단

쿠데타 벨트(영어: Coup Belt)는 쿠데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서아프리카사헬 지역을 지칭하는 현대 지정학적 신조어이다.[1][2][3][4] 2023년 니제르 쿠데타 이후 쿠데타 벨트 국가는 아프리카 동해안부터 서해안까지 연속해서 이어지는 띠를 이루고 있다.[5]

벨트 지역에서는 대부분 2003년 이후 이슬람 반군이나 시위에 대한 각국 정부의 대처에 불만을 품은 군부 세력에서 쿠데타가 발생했다.[5] 아프리카에 대한 프랑스의 군사적, 재정적,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분노도 한몫했다.[6] 쿠데타 이후 세워진 신정부는 대부분 서방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으며, 과거 바르칸 작전을 통해 이슬람 반군과의 전쟁을 도왔던 프랑스 대신 러시아바그너 그룹 또는 튀르키예의 지원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는 쿠데타에 반대하는 반정부 단체에 자금을 지원했고 일종의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대리전이 벌어졌다.[7][8]

기원

2023년 9월 28일 기준 탈식민 시대 이후 아프리카에서 성공한 쿠데타의 수.[9]
아프리카 각국인간 개발 지수(HDI)를 그린 지도. 쿠데타 벨트의 나라(가봉은 2023년 쿠데타 이후 포함됨)은 빨간 선으로 쳐져 있다. 가봉을 제외한 쿠데타 벨트의 모든 국가는 HDI가 0.500 미만의 후진국이다.

옛날부터 쿠데타 벨트라는 용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으나[10][11] 2020년2021년 말리,[12] 2021년 차드,[5] 기니,[13] 수단,[14] 2022년 1월9월 부르키나파소에서 두 차례,[15][16] 2023년 니제르가봉에서 연달아 쿠데타가 발생[17][18]하면서 2020년대 초 일련의 쿠데타를 상징하는 용어로 자리잡았다. 그 외에도 벨트 지역에서는 2021년 니제르수단, 2022년 기니바사우감비아, 2023년 수단, 시에라리온, 부르키나파소에서 쿠데타 시도가 있었다.

역사

1990년 이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쿠데타 27건 중 21건이 구 프랑스 식민지 국가에서 일어났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의 영향력이 불안정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쟁한다.[19]

부르키나파소, 말리, 니제르의 군부정권은 프랑스군이 자국 영토에서 군사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허가한 군사협정을 취소하고 말리의 경우에는 프랑스어를 국가 공용어 지위에도 해제했다.[20][21][22][23]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OWAS)는 쿠데타 정권을 무위로 돌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지만 실패했다. ECOWAS는 2021년 말리 쿠데타 이후 말리의 회원국 자격을 정지시켰고,[24] 2021년 기니 쿠데타 직후인 2021년 9월 8일에는 기니의 회원국 자격도 정지시켰다.[25][26] 사헬 국가 동맹에 속한 3개 국가는 2023년 ECOWAS의 회원국 자격이 정지된 직후 탈퇴해 독자적인 국가동맹을 차렸다.

서아프리카 지역만 고려할 경우 2020년 말리 쿠데타는 2014년 부르키나파소 봉기와 이후 일어난 부르키나파소 대통령 블레즈 콩파오레의 축출 이후 6년만에 발생한지 6년만에 발생한 쿠데타로, 그동안 서아프리카에서는 비민주적인 정권 교체가 일어나지 않았다.[27] 대부분의 국가가 내전과 폭력적인 분쟁으로 얼룩진 서아프리카 지역은 2014년에서 2020년 이 기간 ECOWAS가 2016년~2017년 감비아 헌정위기 당시 평화적 해결책을 찾을 정도로 매우 안정적인 시기였다.

2023년 가봉 쿠데타 당시 가봉은 쿠데타 이전 봉고 가문이 56년간 가봉을 통치했고, 사헬 지역과 가깝지만 속해있지 않으며 이슬람주의나 기타 분리주의 반란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소 다른 양상의 쿠데타를 띄었다. 가봉의 군사 쿠데타는 2023년 가봉 총선과 관련된 광범위한 시위 속에서 발생했다. 이후 가봉은 군부의 통치 하에 대통령제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졌다.[28]

쿠데타 목록

날짜 국가 사건 당시 국가원수 쿠데타 지도자 결과
1957년 6월 수단 1957년 수단 쿠데타 미수 압달라 할릴 압델 라흐만 이스마일 카베이다 쿠데타 실패
1958년 11월 1958년 수단 쿠데타 압달라 할릴 이브라힘 아부드 쿠데타 성공
1959년 11월 9일 1959년 수단 쿠데타 미수 이브라힘 아부드 쿠데타 실패
1964년 2월 17일 가봉 1964년 가봉 쿠데타 레옹 음바
쿠데타 일시적으로 성공, 프랑스의 개입으로 음바가 복권됨
1966년 1월 3일 오트볼타 공화국 1966년 오트볼타 쿠데타 모리스 야메오고 상굴레 라미자나 쿠데타 성공
1968년 11월 18일 말리 1968년 말리 쿠데타 모디보 케이타 무사 트라오레 쿠데타 성공
1969년 5월 25일 수단 1969년 수단 쿠데타 이스마일 알아즈하리 가파르 니메이리 쿠데타 성공
19일~7월 22일 수단 1971년 수단 쿠데타 가파르 니메이리 하솀 알아타 쿠데타 일시적으로 성공, 이어진 역쿠데타로 니메이리가 복권됨.
1974년 4월 15일 니제르 1974년 니제르 쿠데타 하마니 디오리 세이니 쿤체 쿠데타 성공
13일~4월 15일 차드 1975년 차든 쿠데타 프랑수아 톰발바예 노엘 밀라레우 오딩가르
바델 압델카데르 카무구에
쿠데타 성공
2일~7월 5일 수단 1976년 수단 쿠데타 미수 가파르 니메이리 사디크 알마흐디
무함마드 누르 사드
쿠데타 실패
1980년 11월 25일 오트볼타 1980년 오트볼타 쿠데타 상굴레 라미자나 사예 제르보 쿠데타 성공
1982년 11월 7일 오트볼타 1982년 오트볼타 쿠데타 사예 제르보 장바티스트 웨드라오고 쿠데타 성공
1983년 2월 28일 1983년 오트볼타 쿠데타 미수 장바티스트 웨드라오고 사예 제르보 쿠데타 실패
1983년 8월 4일 1983년 오트볼타 쿠데타 토마 상카라 쿠데타 성공
1984년 4월 3일 기니 1984년 기니 쿠데타 루이스 란사나 비보기 란사나 콩테 쿠데타 성공
1985년 4월 6일 수단 1985년 수단 쿠데타 가파르 니메이리 압델 라흐만 스와르 알다하브 쿠데타 성공
1987년 10월 15일 부르키나파소 1987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토마 상카라 블레즈 콩파오레 쿠데타 성공
1989년 6월 30일 수단 1989년 수단 쿠데타 아메드 알미르가니 오마르 알바시르 쿠데타 성공
1989년 9월 18일 부르키나파소 1989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미수 블레즈 콩파오레 쿠데타 실패
1990년 12월 3일 차드 1990년 차드 쿠데타 이센 아브레 이드리스 데비 쿠데타 성공
1991년 3월 26일 말리 1991년 말리 쿠데타 무사 트라오레 아마두 투마니 투레 쿠데타 성공
1996년 1월 27일 니제르 1996년 니제르 쿠데타 마하만 우스만 이브라힘 바레 마이나사라 쿠데타 성공
1999년 4월 9일 1999년 니제르 쿠데타 이브라힘 바레 마이나사라 다우다 말람 왕케 쿠데타 성공
2003년 10월 7일 부르키나파소 2003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미수 블레즈 콩파오레 루터 디아파그리 왈리 쿠데타 실패
2004년 5월 16일 차드 2004년 차드 쿠데타 미수 이드리스 데비 베치르 하가르 쿠데타 실패
2006년 3월 14일 차드 2006년 차드 쿠데타 미수 이드리스 데비
  • 톰 에르디미
  • 티마네 에르디비
  • 세비 아귀드
쿠데타 실패
2008년 12월 23일 기니 2008년 기니 쿠데타 아부바카르 송타레 무사 다디스 카마라 쿠데타 성공
2010년 2월 18일 니제르 2010년 니제르 쿠데타 마마두 탄자 살루 지보 쿠데타 성공
2011년 7월 16일 2011년 니제트 쿠데타 미수 마하마두 이수푸 쿠데타 실패
2012년 3월 21일 말리 2012년 말리 쿠데타 아마두 투마니 투레 아마두 사노고 쿠데타 성공
2013년 5월 1일 차드 2013년 차드 쿠데타 미수 이드리스 데비 무사 타오 마하마트 쿠데타 실패
2014년 11월 3일 부르키나파소 2014년 부르키나파소 봉기 블레즈 콩파오레 봉기 성공
2015년 9월 16일 부르키나파소 2015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미수 미셸 카판도 질베르 디앵데레 쿠데타 실패
2019년 1월 7일 가봉 2019년 가봉 쿠데타 미수 알리 봉고 온딤바 켈리 온도 오비앙 쿠데타 실패
2019년 4월 11일 수단 2019년 수단 쿠데타 오마르 알바시르 쿠데타 성공
2020년 8월 18일 말리 2020년 말리 쿠데타 이브라임 부바카르 케이타 쿠데타 성공
2021년 3월 31일 니제르 2021년 니제르 쿠데타 미수 모하메드 바줌 사니 살레이 구루자 쿠데타 실패
2021년 4월 20일 차드 이드리스 데비의 사망 공석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가 군사정부 지도자로 취임. 지역 반군의 쿠데타로 취급됨.
2021년 5월 24일 말리 2021년 말리 쿠데타 바흐 은다우 아시미 고이타 쿠데타 성공
2021년 9월 5일 기니 2021년 기니 쿠데타 알파 콩데 마마디 둠부야 쿠데타 성공
2021년 10월 25일 수단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압달라 함독
쿠데타 성공
2022년 1월 23일 부르키나파소 2022년 1월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앙 카보레 폴앙리 산다오고 다미바 쿠데타 성공
2022년 9월 30일 2022년 9월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폴앙리 산다오고 다미바 이브라힘 트라오레 쿠데타 성공
2023년 4월 15일 수단 수단 내전 (2023년~현재) 압델 파타 알부르한 모하메드 함단 다갈로 쿠데타 결론이 나지 못함. 내전으로 확대됨.[29][30][31]
2023년 7월 26일 니제르 2023년 니제르 쿠데타 모하메드 바줌 쿠데타 성공
2023년 8월 30일 가봉 2023년 가봉 쿠데타 알리 봉고 온딤바 브리스 올리귀 쿠데타 성공
2023년 9월 26일 부르키나파소 2023년 부르키나파소 쿠데타 미수 이브라힘 트라오레
  • 압둘 아지즈 아우오바
  • 체이크 함자 우아타라
  • 크리스토페 마이가
  • 세쿠 우에드라오고
  • 부바카르 케이타
쿠데타 실패

각주

  1. Mekki Elmograbi (2021년 9월 7일). “Guinea Joins the African Club of the “Coup Belt””. BL News. 
  2. Suleiman, Muhammad Dan (2021년 9월 24일).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Conditions of Coups in Africa”. 
  3. “Africa’s ‘coup belt’ facing further upheaval”. 《Arab News》. 2022년 2월 2일. 
  4. Onuah, Felix (2022년 12월 5일). “West African leaders plan peacekeeping force to counter 'coup belt' reputation” – www.reuters.com 경유. 
  5. Walsh, Declan (2023년 7월 29일). “Coast to Coast, a Corridor of Coups Brings Turmoil in Africa”.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3년 7월 30일에 확인함. 
  6. Usman, Abubakar (2023년 9월 28일). “France has become the common denominator behind Africa's recent coups”. 《Firoz Lalij Institute for Africa at London School of Economics》. 2024년 10월 12일에 확인함. 
  7. Butenko, Victoria; Elbagir, Nima; Mezzofiore, Gianluca; Qiblawi, Tamara; Goodwin, Allegra; Carey, Andrew; Munsi, Pallabi; Zene, Mahamat Tahir; Arvanitidis, Barbara; Platt, Alex; Baron, Mark; Lauren, Kent (2023년 9월 19일). “Exclusive: Ukraine's special services 'likely' behind strikes on Wagner-backed forces in Sudan, a Ukrainian military source says”. 《CNN》. 2023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19일에 확인함. 
  8. Walker, Shaun (2024년 7월 29일). “Ukraine military intelligence claims role in deadly Wagner ambush in Mali”.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24년 7월 30일에 확인함. 
  9. Duzor, Megan; Williamson, Brian (2022년 2월 2일). “By the Numbers: Coups in Africa”. 《Voice of America》. 2023년 8월 1일에 확인함. 
  10. “Explainer: Niger a linchpin for stability in Africa's 'coup belt'. 《The Guardian》 (영국 영어). 2023년 7월 27일. ISSN 0261-3077. 2023년 9월 2일에 확인함. 
  11. Dyer, Gwynne (2022년 2월 7일). “Opinion: The return of Africa's military 'Coup Belt'. 《Bangor Daily News》 (미국 영어). 2023년 9월 2일에 확인함. 
  12. “After Two Coups, Mali Needs Regional Support to Bolster Democracy”.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영어). 2023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8일에 확인함. 
  13. Duncan, Timothyna Afua (2021년 12월 16일). “Why a coup in Guinea was felt around the world”. 《CNBC》 (영어). 2023년 7월 28일에 확인함. 
  14. “Sudan's Coup: One Year Later”.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영어). 2023년 7월 28일에 확인함. 
  15. “A timeline of the coup in Burkina Faso since January 2022”. 《The Hindu》 (영어). 2022년 10월 3일. ISSN 0971-751X. 2023년 7월 28일에 확인함. 
  16. “Burkina Faso's coup and political situation: All you need to know”. 《Al Jazeera》 (영어). 2022년 10월 5일. 2023년 7월 28일에 확인함. 
  17. “Niger's Bazoum 'held by guards' in apparent coup attempt”. 《Al Jazeera》 (미국 영어). 2023년 7월 26일. 2023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7월 27일에 확인함. 
  18. Dixon, Gary (2023년 8월 30일). “Gabon closes shipping down after post-election coup”. 《TradeWinds》 (영어). 2023년 8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8월 30일에 확인함. 
  19. Mbulle-Nziege, Leonard; Cheeseman, Nic (2023년 8월 6일). “Niger coup: Is France to blame for coups in West Africa?”. 《BBC News》 (영국 영어). 2023년 8월 6일에 확인함. 
  20. Ndiaga, Thiam (2023년 2월 20일). “Burkina Faso marks official end of French military operations on its soil”. 《Reuters》 (영어). 2023년 8월 6일에 확인함. 
  21. “Last French troops leave Mali, ending nine-year deployment”. 《Al Jazeera》 (영어). 2023년 8월 16일. 2023년 9월 13일에 확인함. 
  22. Avi-Yonah, Shera (2023년 8월 4일). “Mali demotes French, language of its former colonizer, in symbolic move”. 《The Washington Post》 (미국 영어). ISSN 0190-8286. 2023년 8월 6일에 확인함. 
  23. “France to close Niger embassy after row with military junta”. 《BBC》 (영어). 2023년 12월 22일.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24. “ECOWAS suspends Mali over second coup in nine months”. 《Al Jazeera》. 2021년 5월 31일. 2021년 9월 12일에 확인함. 
  25. Samb, Saliou; Eboh, Camillus; Inveen, Cooper (2021년 9월 9일). Heritage, Timothy; Orlofsky, Steve; Pullin, Richard, 편집. “West African leaders due in Guinea as post-coup calm pervades Conakry”. 《Reuters》. 2021년 9월 9일에 확인함. 
  26. "West African leaders suspend Guinea from Ecowas following coup," September 9, 2021, BBC News, retrieved September 9, 2021
  27. “Ecowas' dilemma: Balancing principles and pragmatism - The Nordic Africa Institute NAI Policy Note 2024:1”. 《nai.uu.se》 (영어). 2024년 4월 11일에 확인함. 
  28. Obangome, Gerauds Wilfried (2023년 8월 30일). “Gabonese military officers announce on television they have seized power”. Reuters. 2023년 8월 30일에 확인함. 
  29. Chotiner, Isaac (2023년 4월 20일). “The Failed "Coup-Proofing" Behind the Recent Violence in Sudan”. 《The New Yorker》 (미국 영어). ISSN 0028-792X. 2024년 1월 30일에 확인함. 
  30. Picheta, Nima Elbagir,Jessie Yeung,Rob (2023년 4월 17일). “Sudan military leader accuses rival of 'attempted coup' as vicious fighting grips capital”. 《CNN》 (영어). 2024년 1월 30일에 확인함. 
  31. “Sudan's Junta Chief Survived the Coup, but Can He Win the War?”. 《Political Violence at a Glance》 (미국 영어). 2023년 7월 17일. 2024년 1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30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