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동해선
분리의 필요성저도 분리의 필요성에는 동감합니다만, 분리 토론부터 먼저 발제하고 분리하는 게 맞지 않나요? 먼저 급하게 분리시키신 건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더불어, 제목이 "동남권 전철" 따위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자의적인 작명이고, 언론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근거도 빈약한 편입니다. 더욱이 공식적으로도 동남권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코레일 광역본부에서도 수도권을 포함한 광역권이라는 말만 사용하지, 동남권이라는 용어는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125.130.41.213 (토론) 2017년 5월 7일 (일) 15:21 (KST)
토론 없이 분리를 진행한 점은 죄송합니다. 다만 동해선과의 문서 분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 이루었습니다. 2013년 해체되었으나 동남권광역교통본부가 있었고, 이 때 [1], [2]과 같은 동남권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부분이 있습니다. 또 실제 산업적으로 '동남광역권'과 같은 표기가 사용됩니다. 또 이들 광역교통망에도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남도에서 동남권 체계를 사용하는 공문이 오가는 점에서 '동남권~'이라는 표제어를 유지할 당위성이 있습니다. --trainholic (T, C) 2017년 5월 9일 (화) 21:03 (KST)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의 시행일?2016년 12월 30일에 광역전철이 개통했으니까 그날이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의 시행일이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것 같습니다. 왜 이런 주장을 하는걸까...생각해보니 2가지 오해를 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첫째, 광역전철 개통일 = 복선전철 개통일이라는 오해. 광역전철의 운행을 개시한건 12월 30일이지만 서울역 ~ 신해운대역간 ITX-새마을은 12월 9일에 운행을 개시했고, 그 이전에 무궁화호의 시각표와 운임은 11월 12일에 개정되었습니다. 둘째, 한국철도공사의 영업 개시일 = 국토교통부고시의 시행일이라는 오해. 과거 국가(철도청)가 철도사업을 하던 시절엔 철도청고시 시행일 = 개통일이 맞습니다. 그때는 국가(철도청) 자신이 철도사업자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은 철도시설은 국가가 소유하고, 철도운영은 시장경제의 원리에 따라 국가 외의 자가 영위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있습니다.(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0조 및 제21조) 이것을 상하분리방식이라고 하며, 전세계 특히 유럽에는 흔히 있는 방식입니다. 국토교통부가 고시하는것은 시설의 사용개시이지 영업개시가 아닙니다. 시설의 사용을 개시해야 시운전이든 뭐든 할 수 있게되는거고, 애초에 국토교통부가 철도노선의 사용개시를 고시하지 않으면 한국철도공사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서 국가에 사업면허를 신청하지도 못합니다.(철도사업법 제5조) IP사용자가 2016년 10월 31일이 고시 시행일이었다가 12월 30일로 연기됬다고 하신거 같은데, 애초에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에 "이 고시는 2016년 10월 31일부터 시행한다." 라는 문구가 없고, 그럼 그 고시는 공포한 당일 시행입니다. 백보 양보해서 "◆ 영업개시 예정일 : 2016년 10월 31일"이라고 되있는게 고시의 시행일이라고 해도 12월 30일로 연기됬으면 그것을 정정하는 고시가 있어야 되는거 아닙니까?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2016년 12월 30일은 고시 시행일은 커녕 복선전철 개통일조차 아닙니다. 국토교통부 고시는 시설의 사용개시이며, 영업개시는 국토교통부의 허가를 받아 한국철도공사가 결정하는 겁니다. 따라서 국토교통부가 그걸 고시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에대한 반론이나, 혹은 다른 근거가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J6avxnga (토론) 2017년 8월 20일 (일) 23:16 (KST) 철도시설 사용개시 = 시운전이 가능한 상태이나 영업이 아님, 영업개시 = 실제로 영업을 함. 보통 개통일은 영업개시일로 잡음. 기존 노선이 이설되는 경우 새 시설 사용개시를 했다고 기존 노선에 대한 폐쇄는 아님. 따라서 4월말~12월말(원래 10월말에서 연기) 기간은 시설 개시는 시운전용, 기존 노선은 영업용. 따라서 영업용과 시운전용 두 개가 병존함. 그러므로 영업용 거리표와 시운전용 거리표가 둘 다 있으며 기존 구간에 대한 영업을 중단하기 전까지는 기존 거리표도 그대로 적용. 따라서 저 기간에는 동해남부선으로 영업하였고 구 동해남부선도 살아있는 상태에서 신 구간이 시운전 사용개시된 상태임. 영업개시 예정은 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가 협의해서 정한 날짜로 어디까지나 예정일일 뿐임. 또한 제2013-652호 고시에 의하면 2013년 11월 7일 당시명칭 해운대역이 현 위치로 이전한다고 고시했는데 그 문서에도 12월 2일 개통일로 잡혀 있음. 고시일과 개통일이 다르다는 근거가 멀리 있는 것도 아니며 만약 님의 말이 옳다면 신해운대역(당시 해운대역) 이전일은 11월 7일이 되어 실제와 맞지 않음. 따라서 개통일=시행일이라 봐야 함.--39.118.39.9 (토론) 2017년 8월 22일 (화) 00:08 (KST) https://blog.naver.com/copper301/220835978619 여기 보면 11월 12일(1차 연기후 광역철도 개통일)에 역명변경이 된다고 공지되어 있음. 이것도 참고할 만한 내용임. 하지만 실제로 광역철도가 12월 30일에 개통하여 이날짜부로 변경되었음. 따라서 4월에 역명 변경이 되었단 말은 잘못되어도 한참 틀린 말일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밝힘.--39.118.39.9 (토론) 2017년 8월 22일 (화) 00:14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8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동해선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8월 28일 (화) 15:02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1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동해선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11월 25일 (월) 12:28 (KST) 이제 분리를 해도 될 것 같아요.2020년이면 동해선 광역철도의 모든 역이 개통되고, 대부분의 역과 철도 역시 이제 곧 완공될 예정입니다. 이제 문서를 분리할 필요가 생겼지만, 아직 반대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아 글을 남깁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19년 12월 27일 (금) 15:13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3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동해선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3월 16일 (수) 00:30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