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한 위키프로젝트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프로젝트의 목표와 편집 지침을 확인하거나 토론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설득력이 부족합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는 리리아와 트레이즈 같은 건 왜 리리아와 토레이즈로 하지 왜 모두가 트레이즈 표기합니까? 아무리 고유명사라고 하더라도 한국인의 관행을 깨트린다는 것은 이해될 수 없는 행위입니다. 1주일간 의견을 들어본 뒤 반대 의사가 없으면 7월 26일에 관리자에게 문서 다시 옮기기 신청을 하겠습니다. - Ellif (토론) 2009년 7월 20일 (월) 21:34 (KST)~답변
여기에 설명해 두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드기어스대신 코드기아스를 쓰면 그나마 가능하겠는데, 이렇게 대부분의 언중이 코드기아스를 쓰기보다는 코드기어스를 쓰고 있다는 사실로 증명이 될 수 있을까요. - Ellif (토론)
'기아스'가 맞는 표현으로 얘기가 흘러간 입장에선 언중이 '기어스'란 표기를 쓴다는건 잘못된 표기를 쓰고 있는 겁니다. 백과 사전에서 언중이 기어스라는 잘못된 표현을 쓴다고 기어스로 표기하는건 아니라 보네요. --RieutzNote2009년 8월 3일 (월) 12:21 (KST)답변
정식 발행본에서 "코드 기어스"라고 번역되어서 문서 이름이 이렇게 정해졌지만, 이것은 오역입니다. 왜 오역인지 논지는 위 09년 6월 27일 토론에서 제시되어 있고요,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Geass와 기아스(geas)를 혼동하지 말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북미에서 애니메이션이 방영되었을 때도 "기아스"라고 발음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언중이 다수 사용하는 것이 "기어스"라서 "기어스"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신 분도 계셨는데, 이것은 옳고 그른 것을 따질 문제지 언중에 휩쓸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코드 기아스로 이동시킬 것을 제안합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7월 13일 (토) 19:50 (KST)답변
그것과 이것은 경우가 좀 다르다고 생각되는데요.. 오렌지/어륀지를 둘 다 옳은데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면, 기아스/기어스는 오역, 즉 옳고 틀림의 문제입니다. 머저르(헝가리어)를 헝가리(영어) 또는 운가른(독일어)이라고 한다고 해서 어느 것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Geass를 기어스라고 하는 건 틀린 거라는 거죠.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7월 15일 (월) 01:00 (KST)답변
샐님하고 저하고 오역에 대한 시각이 다른가 보네요. 저는 오역이란 것이 원문하고 의미가 달라져 버리면 오역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코드 기어스하고 기아스하고 어차피 하나의 애니메이션을 가리키는 고유 명사를 뜻하므로 오역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발음만 가지고 오역이라고 한다면 애초에 무슨 기준으로 오역이라고 하는 걸까요. 유명한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은 국립국어원 표기 기준으로 하면 '죠죠'가 아니라 '조조'라고 해야 맞습니다. 영어 번역본도 Jyojyo라고 안하고 Jojo라고 하고 있고요. 그런데 언중은 대다수 압도적으로 '죠죠'라고 하고 있습니다. '죠죠'가 틀린 걸까요.--Leedors (토론) 2013년 7월 15일 (월) 16:11 (KST)답변
언중이 문제가 아니더라도 공식표기와 근거가 없는 '더 올바른 표기'(통용표기 등의) 사이에서 위키백과는 지금까지 통용표기의 손을 제대로 들어준 적이 없어서요. 제가 일본어 문서들의 통용표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황이라면 모르겠는데, 이 건에 대해서 코드기아스의 편을 들 이유는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럼 절대반지라고 하지 말고 한반지라고 해야죠? 그게 더 옳은 번역이니까요. - Ellif (토론) 2013년 7월 18일 (목) 22:37 (KST)답변
그건 다르죠. 그냥 one ring 이나 a ring 이 아니라 the one ring 이니까요. 그냥 굴러다니는 "한" 반지가 아니라, 여러 개의 반지 중 가장 강력한 하나의 반지라는 뜻이지요. 그런 맥락에서 "절대"가 "비교되거나 맞설 만한 것이 없음"(표준국어대사전)을 의미하는 고로 "절대반지"라는 번역은 적절합니다. 그리고 그건 그 문서 얘기지, 여기하고는 상관이 없는 것 같은데요. 코드기어(아)스 문서만 가지고 판단해 주셨으면 합니다.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7월 18일 (목) 23:31 (KST)답변
설득이 안되는데요? 절대반지보다 한반지가 더 원문에도 충실하거니와 더 옳은 번역이지요. 참고로 한이라는 말에는 고어로 '큰'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19개의 반지들에 비해서 가장 '큰' 반지라는 설득이 가능하며, 또한 '더 원 링'이라는 음절에도 적절합니다. 다만 출판사 쪽의 '공식 지침'에 의해서 절대반지가 되었을 뿐.
지금 말씀드리려는 것이 그와 똑같은 부분입니다. 큐슈 쿠마모토현 쿠마모토시로 표기하는 것이 더 좋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위키백과에서는 굳이 규슈 구마모토 현 구마모토 시로 표기하지 않습니까. 그와 같이 코드 기아스가 더 옳다고 치더라도 위키백과의 정책에 따르면 코드 기어스가 더 낫다고 밖에 평가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님의 주장대로 제가 당신의 말을 제대로 읽지도 않고 '땡깡부리는' 게 아닙니다. - Ellif (토론) 2013년 7월 20일 (토) 10:12 (KST)답변
저야말로 설득이 안 됩니다. 우리는 현대 한국어의 발화자 아닙니까? 왜 고어를 발굴해 가면서까지 "한"이라는 역어를 써야 할까요? 이미 "절대"가 충분히 원 뜻을 반영하는데 말이죠. 더구나 그건 본 문서하고는 관계 없다고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B가 옳다고 치더라도 A가 더 낫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는 괴이한 논리는 차치하고서라도, 저는 귀하께서 "땡깡부린다"는 저급한 표현은 쓴 적이 전혀 없는데, 왜 스스로를 그런 수준으로 낮추려고 하시나요.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7월 21일 (일) 17:48 (KST)답변
현대 한국어의 발화자들이 우리 옛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요. 그럼 왜 1980년대 한글 이름 쓰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었나요. 또한 본 문서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을지라도 본 문서의 문서명을 다루는 데 있어서는 중요한 케이스스터디를 제공하기 때문에 인용했습니다.
땡깡부린다라는 말을 쓴다고 해서 제 품격이 낮아지다니요? 제 품격을 귀하가 정하십니까?
어쨌든 본론으로 돌아가서, 귀하가 코드 기아스를 굳이 선호하시는 이유 중 하나로 구글링 결과에서도 코드기아스가 코드기어스보다 더 나온다고 하시는 주장이 있는데, 확인 결과 그렇지 않은 결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코드 기어스 -코드기아스 -기아스'로 검색하면 2,940,000개가 검색됨에 비해, '코드 기아스 -코드기어스 -기어스'로 검색하면 1,510,000개에 그칩니다. '코드기어스'와 '코드기아스'로 동일한 조건에서 붙여서 검색해도 동일한 수준의 결과가 나오는군요. 그럼 이제 코드 기아스로 변경해야 한다는 귀하의 주장에서 유일한 근거는 확실한 출처가 없는 "'기아스'의 원어가 Geass이기 때문이다"라는 주장 뿐이 되겠네요. 물론 귀하의 주장이 어느정도 이해가 됩니다만, 그 주장을 백:표기에 의해서 뒤집을 근거는 이제 없어 보입니다. - Ellif (토론) 2013년 7월 23일 (화) 13:0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