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의 위치 또는 스타일에 관한 의견

  • 현황: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은 현재 상단에 부착되어 있음
  • 문제: 모바일 등 환경에서 시각 편집기의 상단에 틀이 너무 많은 자리(여백)를 차지함 (관련 논의)
  • 제안: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을 최상단이 아닌, 하단에 배치
    • 적용 시점: 의견 요청이 완료되는 시점
    • 대부분 케이스의 경우 분류 바로 위에 부착됨.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 여기에 위치 */
{{기본정렬:XXX}}
{{토막글|XXX}}
[[분류:XXX]]

위의 제안을 하는데 있어 검토된 사항입니다.

  • 틀:토막글/설명문서에 따르면 분류 바로 위에 토막글 틀을 부착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 따라서 토막글 틀보다는 위에 배치.
  • 일반적으로 둘러보기 틀과 같은 여타 틀은 기본정렬보다 위에 배치됨. 따라서 기본정렬이 있는 경우 그보다 위에 배치.
  • 분류 하단에 틀을 두는 것을 검토해 봤으나 한국어 위키백과의 전통적인 흐름이 아니며(별도 논의사항), 일부 봇의 분류 정리 기능과 호환 문제 있음.
  • 위키백과:편집 지침/문단 구성#참조 등에서 일부 틀의 언급이 있으나 이는 오른쪽에 떠다니는 보이는 틀에 관한 사항임. 본 틀은 보이지 않는 틀이라는 특성을 감안해야 함.
  • 시각 편집기 쪽이 여백 표시 문제라면 스타일(CSS)을 조정하는 것을 검토해 보았으나 보이지 않는 다른 틀의 스타일과의 통일성에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배제함.

본 틀의 목적과 관련하여서는 이미 수차례 충분히 논의되고 결론이 난 사항이므로 본 토론에서는 틀의 위치나 스타일 적용에 대해서만 의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일 (일) 09:52 (KST)답변

영문 위키백과에선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참고하는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우선 최상단에 배치하게 된다면 언급된 공백 문제가 커지므로, 하단에 배치하는게 맞을 것 같긴 합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일 (일) 15:48 (KST)답변
의견 저는 최상단이 좋은데, 사실 편집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는 {{전거통제}}처럼 하단이 편하다고 느끼실 것 같긴 합니다. 사실 이 틀은 한국어 위키백과 거의 모든 문서가 사용하는 틀이기 때문에, 한다면 서버 부담이 있으니 봇으로 한 달에 '몇 개씩 한다' 정도로 주기적으로 해주고, 나머지는 그냥 볼 때마다 하단에 내리는 게 좋을 것 같긴 합니다.
만약 하단으로 내리는 것이 문제가 있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Jeebeen (토론) 2025년 3월 2일 (일) 17:42 (KST)답변
하단에 공백이 생기겠으나 이는 크게 신경쓰이진 않을 것 같습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일 (일) 18:31 (KST)답변
당장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면 하단에 공백이 생기는 게 낫긴 합니다. 하지만 굉장히 자주 삽입되는 틀을 상단에 두는 것보다 하단에 두는 게 나은 점이 있다면 편집 가독성이 개선된다의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는 전 그 사실이 잘 와닿진 않지만 일반적, 원론적으로 그렇습니다. 하지만 만약 파싱을 하는 과정에서 위치에 따라서 서버 애셋을 더 많이 소모하는지 등등 제가 파악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서 섣불리 말씀을 못드리겠습니다. 한 두 문서에 들어가는 틀이 아니니까요. 퍼센트 인코딩처럼 눈에 보이는 처리 과정이 아니면 제가 잘 체감을 못하긴 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3월 3일 (월) 04:04 (KST)답변
질문 혹시 미디어위키도 원본을 스크립트 언어처럼 위에서부터 아래로 읽는 건가요? --Jeebeen (토론) 2025년 3월 3일 (월) 04:07 (KST)답변
상단 내용(부하) 및 질문에 답을 드립니다. 미디어위키 파서는 정확한 의미에서는 파서는 아니지만 위키텍스트를 HTML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입력→전처리→틀/파서함수 처리→링크/내부 태그 변환→최종 HTML 생성→생성된 HTML의 캐싱 처리로 이루어집니다. C 언어이든, 자바 언어이든, 파이썬/Bash와 같은 스크립트 언어이든 관계 없이 말씀하신 '읽는다'는 관점에서는 내용을 일단 읽어야 하는 것이 맞으므로 최초 단계에서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읽는 것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다만 그 이후의 파싱이나 캐시 등의 관리 방식은 다릅니다. 스크립트 언어는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매번 내용을 읽는 반면, 미디어위키의 경우 위키문법과 틀은 파서캐시나 여타 방법을 통해 캐시 처리가 이루어집니다. 자주 수정되는 틀이라면 서버 부하에 영향을 줄 수 있겠으나 자주 수정되는 틀은 아니며 캐시를 통해 이미 부하가 최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3일 (월) 08:18 (KST)답변

"틀의 위치나 스타일 적용에 대해서만 의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라고 굵은 글씨로 표시해 드렸듯이, 이 문단의 맥락에 맞는 의견을 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는 토론이 올바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파싱이나 성능과 관련한 내용은 이 문단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논의해야 합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3일 (월) 08:18 (KST)답변

문서를 읽는 데 있어서 직접 보이지 않는 틀은 되도록이면 문서 하단에 있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문서 하단으로 이동에 대해 찬성합니다.--Vela* (토론 / 기여) 2025년 3월 4일 (화) 00:45 (KST)답변
혹시나 궁금하신 분들 있을까 해서,,, 과거의 논의입니다.
봇이 알아서 하겠지만 모든 문서를 건드는 큰 작업이 되겠네요. 하단으로의 이동에 찬성합니다. 추가로 이 틀의 위치에 관해서 사용자들의 혼돈이 없도록 지침에 명시되었으면 합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3월 5일 (수) 00:14 (KST)답변
그러면 잠정적으로 밑으로 내리는 것으로 정하고, 한 달에 수를 정해서 봇으로 이동을 하면 서버 부하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관련 없는 내용인지, 있는 내용인지 모르기 때문에 일단 말씀을 드리는 거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아니라고 봅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17:31 (KST)답변
부하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봇 편집은 이미 정해진 정책에 따라 속도 조절을 하고 있으며, maxlag 파라미터가 자동으로 적용되므로(pywikibot 등 주요 봇 프레임워크에서는 기본값) 서버 부하 시에는 봇 편집이 일시적으로 멈춥니다. m:Bot_policy/komw:Manual:Maxlag_parameter를 참고해 주세요. --ted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21:03 (KST)답변
아예 언급하지 말라는 건 좀 그렇고, 기술적인 부분에 한해서는 우려하는 부분이 있으면 말하는 게 맞다고 보는 게 제 입장입니다. 일단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했고, 제 개인적으로는 상단이 관리하면서 보기는 좋지만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개인 선호의 문제보다 편집상의 이점이 더 강조되어야 하는 부분이므로 다른 분들도 그렇다면 굳이 흐름을 거스를 생각은 없습니다. 그러면 분류 위의 위치에 있으면 초안화할 때도 {{초안 분류}}에 넣어서 한꺼 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분류랑 붙여서 사용하는 건 어떨까요? 그냥 아이디어입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22:13 (KST)답변
기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초안 분류}}는 초안 이름공간에 사용되는데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은 초안 이름공간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22:46 (KST)답변
틀을 끼워넣을 때 1번 매개변수에 넣자는 의견이었으므로, 초안 분류 틀 안에 데이터 속성을 넣자고 드리는 말씀은 아니었으나 어차피 데이터가 초안에서 속성을 참조하지 않으면 초안에서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니 딱히 고려해야 할 사안은 아닌 듯 싶습니다. 초안화할 때마다 제거하는데 일단 일반 문서를 목적으로 하는 틀이므로 제거는 합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23:42 (KST)답변
해당 틀은 이미 불필요한 장소에서는 삭제를 하고 있습니다. 관련이 있는지 몰라서 질문은 하실 수 있다는 부분은 이해합니다. 따라서 답변은 성실히 드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실례합니다만, 이 문단의 제목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의 위치 또는 스타일에 관한 의견'입니다. 해당 주제와 직접적으로 무관한 의견은 가능하면 별도의 문단으로 빼서 논의를 부탁드립니다. '아예 언급하지 말라는 건 좀 그렇고'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그렇게 말씀드린 적이 없어요. '본 토론에서는 틀의 위치나 스타일 적용에 대해서만 의견을 부탁드리겠습니다.', '파싱이나 성능과 관련한 내용은 이 문단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논의해야 합니다.'라고 말씀드렸듯이 "논의하지 말자는 게 아닙니다". 이후 주제와 관련이 없어 보이는 질문이 있더라도 답변은 드리겠지만, 지금까지의 토론을 보았을 때 토론 내용 대부분이 제안(틀의 본문 내 위치, 스타일)의 타당성과 무관한 내용으로 채워지고 있다는 점은 아쉽습니다. 답변을 통해 우려가 해소되었길 바라며, 주제에 집중하기 어려운 사안에 대해서는 가능한 다른 문단에서 논의를 바랍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14일 (금) 07:18 (KST)답변

급할 이유가 없으니 중요한 이의가 나오지 않으면 충분한 시간을 갖고 발제 후 1개월이 지난 4월 2일에 닫겠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3월 15일 (토) 16:09 (KST)답변

4월 2일에 토론이 닫힘괴 동시에 합의가 완료된다는 말씀이실까요?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18일 (화) 20:37 (KST)답변
네, 그렇습니다. 3월 2일에 부착된 의견 요청 틀이 자동으로 제거되는 시점은 4월 2일입니다. 해당 시점까지 별다른 이견이 없다면 위 제안을 이행하겠다는 것입니다. "적용 시점: 의견 요청이 완료되는 시점"이라고 제가 위에 적어놓은 것은 그 의미입니다. 기나ㅏㄴ님 말씀대로 급한 게 없습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21:16 (KST)답변

의견 요청 기간 중 별다른 이견이 없으므로 계획을 잡아 이동하겠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일 (수) 06:58 (KST)답변

감사합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4월 2일 (수) 21:30 (KST)답변
다른 둘러보기 틀 및 전거통제 틀과의 위치 관계가 어떻게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4월 9일 (수) 11:50 (KST)답변
@Ykhwong ginaan기나ㅏㄴ(˵⚈ε⚈˵) 2025년 4월 9일 (수) 11:51 (KST)답변
아래의 순서로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둘러보기 틀
  • 전거 통제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 토막글
지금 봇에 의해 편집이 일괄 진행 중입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9일 (수) 15:26 (KST)답변

문서 뒤 공백?

이 틀을 부착한 일부 문서에 공백이 나타납니다 (특수:고유링크/39402967).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17:09 (KST)답변

@Ykhwong 시험해 본 결과 분류 일부에 직접 <span class="nowrap">를 씌워도 공백이 생깁니다. 꼭 필요한 이유가 있나요?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22 (KST)답변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전거 통제 틀을 부착해서 그런 것이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때문이 아닙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24 (KST)답변
이전에 봇에 의해 전거 통제 틀이 해당 문서에 부착된 적이 있는데 당시에는 전거 통제의 속성이 사용된 적이 있어서 당시에는 그것이 올바른 기여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사용하지 않는 속성이 제거되면서 지금은 전거 통제 틀이 해당 문서에서 필요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오해가 없도록 이력을 남깁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26 (KST)답변
"사용하지 않는 전거 통제 틀을 부착"하는 것에 대해서 추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은 속성 유무와 무관하게 부착되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비슷한 역할의 전거 통제 틀도 마찬가지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35 (KST)답변
"사용하지 않는"의 정확한 의미는 전거 통제 틀과 연관된 위키데이터 속성이 전거 통제 모듈에서 삭제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전거 통제' 틀 자체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문서에서 전거 통제 틀이 이전에는 유효했으나 지금은 유효하지 않게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37 (KST)답변
앞으로는 올바른 분석을 한 이후에 말씀을 부탁드리겠습니다. 원인은 정작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이 아닌데, '이 틀을 부착한 일부 문서에 공백이 나타납니다'라고 말씀하시니 당황스럽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38 (KST)답변
전거 통제 틀과 이 틀 어느 하나도 하나만 부착 시 공백이 생기지 않습니다. 이 틀의 문제가 아니라고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 틀 부착 후 공백이 나타나는 문제는 제가 처음 제기한 것이 아니며, 전거통제 틀과 멀리 떨어진 최상단 부착 시에도 공백이 생김이 보고되었 있습니다.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43 (KST)답변
다른 틀들은 인접한 틀이 빈 내용을 반환하더라도 공백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전거 통제 틀이 부적절하게 부착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공백이 생기지 않아야 합니다. 그와 별개로, <span class="nowrap">을 적용해야 하는 제가 알지 못 하는 이유가 있다면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45 (KST)답변
해당 사항의 경우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만이 아닌 공백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틀과의 배치의 연관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추후 함께 확인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47 (KST)답변
nowrap(줄바꿈 방지 목적의 클래스)을 언급하셔서 심도있게 살펴보니 해당 요소는 불필요해 보여 삭제하였습니다. 해당 요소가 p(문단) 요소를 생성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합니다. 이제는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단독적으로는 어떠한 공백도 생기지 않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렌더링 엔진의 변화 또는 주변 틀과의 배치 등에 따라 상황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추가 분석, 주시하도록 하겠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3:08 (KST)답변
감사합니다. 또한 사족임에도 불구하고 말씀드립니다. 저는 이 문제를 보고하기 전 나름의 분석을 거쳤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 문외한이므로 현상적인 보고에 그칠 수밖에 없고, 분석에 있어서의 오류를 사전에 피할 수는 없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너른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또 제 나름대로 추측하는 원인에 대해서 언급할 뿐, 감히 동료 편집자를 문책하려는 의도는 없었음을 말씀드립니다. 慈居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3:28 (KST)답변
아, 괜찮습니다. 추가로 문제가 예상된다면 언제든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저도 분석에 완전하진 않아서, 의심이 되는 문제는 같이 고쳐나가면 될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3:33 (KST)답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은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이 부착되어야 하는 공간에 부착됩니다. 이는 동음이의, 색인 속성을 갖거나 넘나들기라든지 여러 속성을 고려해서 해당 문서들에는 부착하지 않도록 의도됩니다. 그리고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이 부착되지 말아야 하는 공간에는 해당 틀들이 모두 제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틀을 부착해서 얻는 이득 가운데, 문서 훼손 추적, 빠른 분류 필요 문서 추적 등을 포함한 기타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ted (토론) 2025년 4월 22일 (화) 22:53 (KST)답변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