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토론:전쟁 정보

사용법

{{전쟁 정보|
분쟁= 전쟁/전투 이름
|전체= 이 전쟁/전투를 포함하는 전체 전쟁 이름
|그림= [[그림:파일이름]]
|설명= 그림의 설명
|날짜= 
|장소=
|결과=
|이유=
|교전국1=
|교전국2=
|교전국3=
|지휘관1=
|지휘관2=
|지휘관3=
|병력1=
|병력2=
|병력3=
|피해1=
|피해2=
|피해3=
}}

분쟁 이름 빼고는 모두 다 생략가능합니다.

사상자라는 명칭에 관해

틀에 사상자라는 명칭이 사용되는데, 제1차 불런 전투에서는 사상자라는 항목에 전사자, 부상자등 사람에 관한 내용만 있는 반면, 진주만 공격을 비롯한 많은 사용처에서는 전함 침몰, 물적 손실의 기록등에 사용됩니다. 전함 침몰 등에 死傷者라는 명칭을 쓰는 것은 어폐가 있고, 따라서 사상자라는 말 보다는 손실 등으로 바꾸는 것은 어떨까요? 인적 손실, 물적 손실 모두 가능할테니깐 말이죠. -- Wikier 2006년 5월 16일 (화) 11:04 (KST)답변

사람을 "손실한다"는 것도 좀 어폐가 있어 보입니다. "피해 상황" 이라고 하는 것이 낫지 싶습니다. --WaffenSS 2006년 9월 25일 (월) 00:07 (KST)답변
‘피해 상황’으로 표 이름을 고치고, 사상자1, 사상자2 대신에 피해1, 피해2를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피해상황은 너무 긴 것 같네요.) 확인해 주십시오. --[[토끼군]] 토론/기여 2006년 9월 25일 (월) 00:31 (KST)답변

분쟁과 전쟁

이 틀을 참조하고 있는 문서가 많고, '분쟁'과 '전쟁'의 의미는 그리 큰 차이는 아닌 듯하여 일단 분쟁으로 되돌렸습니다. 틀 변경에는 봇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듯합니다. jtm71 (토론) 2008년 6월 4일 (수) 05:27 (KST)답변

교전국3

교전국3이 필요해서 추가 했습니다. 조지아 내전에 사용했습니다.--Jjangmou (토론) 2010년 9월 1일 (수) 03:11 (KST)답변

쎌 너비

쎌 너비가 30px면 좀 좁은듯 해서 43px로 수정했습니다.--Jjangmou (토론) 2010년 9월 1일 (수) 03:13 (KST)답변

지도

지도가 2개 이상일 수도 있으므로 지도는 테그로 넣기로 합시다.--Jjangmou (토론) 2010년 9월 1일 (수) 03:17 (KST)답변

색상 삽입

개편하기 전의 회청색 색깔이 산뜻하고 보기 좋았는데, 어떻게 다시 넣을 수 없을까요? Ø᚛ᚄᚙᚂᚖᚋᚙᚅᚇᚖ᚜ (토론 / 기여) 2013년 4월 24일 (수) 00:40 (KST)답변

지도 질문...

저기 지도가 맨아래에 나오게 설정이 되있는데 먼가 볼때마다 약간 힘들더라고요.. 수정못하려나요 ?--고려 (토론) 2014년 6월 9일 (월) 21:16 (KST)답변

그림 관련

이 틀의 그림이나 사진을 2개로 늘리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Omaha Beach max~ 2015년 8월 8일 (토) 23:16 (KST)답변

교전국 4

시리아 내전의 경우 4파전이 진행되고 있는데, 교전국 4는 없어서 너무 불편합니다. 만들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Omaha Beach max~ 2015년 9월 4일 (금) 12:12 (KST)답변

@인천직전: 영문 위키백과에서도 같은 문제로 Lua로 교체했는데, Lua를 저는 잘 하지 못해서 힘들겠네요.--L. Lycaon (토론 / 기여) 2015년 9월 20일 (일) 19:38 (KST)답변

"교전국"이라는 명칭

많은 경우 이 "교전국" 변수에는 전투에 참여중인 "단체" 들이 들어갑니다. 특히나 내전 같은 경우에는 거의 100% 그렇다고 봐도 되구요. 영어판에서 해당 칸의 단어는 "belligerent" 입니다. "교전국" 이 아니라 교전단체지요. 이 부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변수명 변환이 번거롭다면 문서에 표시되는 "교전국" 줄만 바꿔도 될성 싶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9일 (토) 00:47 (KST)답변

그건 좀 무리입니다. 첫째 반드시 영어판을 따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둘째, 교전 단체는 내전이나 반란 같은 특수성을 반영할 뿐, 모든 전쟁을 포함할 수 없게 됩니다. 국가와 단체는 엄연히 구별되며 국가 간의 전쟁에서 쓰이는 전쟁 정보 틀에서는 국가가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되니 단체로는 그 설명이 부족하죠. Omaha Beach max~ 2016년 1월 9일 (토) 01:13 (KST)답변
"교전국"을 "교전단체"의 하위개념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9일 (토) 10:57 (KST)답변
국가는 단체의 하위가 될 수 없습니다. 대한민국 아래에 노동당 같은 단체가 있는 것처럼 말이죠. 국가와 단체는 또한 엄연히 다른 집단이죠. 오히려 교전단체가 교전국의 하위 개념이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봅니다만 Omaha Beach max~ 2016년 1월 9일 (토) 20:56 (KST)답변
저는 오히려 "국가"는 "단체"의 하위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반군 등의 여러 단체 중 소위 정통성을 확보한 단체가 "국가"로 인정받게 되는 것이 실제로도 역사적으로도 사실에 가깝지 않을까요?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12일 (화) 17:40 (KST)답변
의견 일단 두 분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현재의 변수인 '교전국'은 모든 사례를 포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적합한 무언가로 변경할 필요성이 있으며, 변경할만한 마땅한 단어가 없다면 아예 변수를 분리해서 기재하는 것도 생각해 볼 법한 방법인 듯 싶습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1월 12일 (화) 11:23 (KST)답변
찬성 그 방법이 나을 것 같군요. Omaha Beach max~ 2016년 1월 12일 (화) 12:16 (KST)답변
찬성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6년 1월 16일 (토) 00:37 (KST)답변
반대하며 사유는 위아래와 같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16일 (토) 02:03 (KST)답변
제 의견을 재차 정리하자면, 승인된 국가, 미승인국, 반군단체, 유격대, 준군사조직 따위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서 "교전단체"는 "교전국"보다 상위에 있으며 따라서 바꾸면 바꾸지 새로운 변수를 만들 필요성은 느끼지 못합니다. 현재 있는 "군대" 변수 역시 큰 필요가 없어 보여 불만스럽습니다만...("병력"에 충분히 합칠 수 있는 변수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지금 주제가 아니니까 넘어가죠.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6년 1월 16일 (토) 00:35 (KST)답변
제가 내놓은 의견은 2가지 ('단체'가 아닌 다른 변수 찾기, 새로운 변수 만들기)이며, 이 중 현재 논의가 진행중인 것은 후자 쪽이 되겠습니다. 일단 salamander724님께서 후자 쪽에는 반대 의견을 표시하였으니 그럼 전자 쪽으로 의견을 개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국가단체의 의미를 찾아보면 국가는 '(중략) ~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단체는 '(중략) ~ 이루어진 집단'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두 가지의 개념 모두 '하나의 집단'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에 salamander724님의 의견처럼 변수명을 수정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변수명을 '집단'으로 수정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6년 1월 16일 (토) 09:36 (KST)답변
동의합니다. 교전집단이라고 하면 모든 군사단체, 반군, 국가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교전단체라고 하면 뭔가 교전국은 포함되지 않는 느낌이 듭니다. 서로 별개인 것이죠. Omaha Beach max~ 2016년 1월 17일 (일) 22:48 (KST)답변

정치적 지원/군사적 지원의 등재

사:YellowTurtle9 님께서 정치적 지원 및 물자 지원국 변수를 추가하셨는데, 이걸 추가하시기 전에 적어도 먼저 총의를 형성하는 과정이 있었어야 한다고 봅니다. 일단 첫 번째로 해당 변수가 이전부터 있었는데 번역이 안 되었다면 그 나름의 이유가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라는 점이 있고요. 두 번째로 이 변수에 대한 필요 목적 역시 YellowTurtle9 님이 저와의 토론란에서 밝히신 이유는 현재 정보상자 틀에 뭔가 부족하다고 느껴서였습니다. 저는 그렇기 때문에 이 변수를 부활시키는 것이 개인적인 목적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변수가 있는 어떤 다른 언어판에서도, 정치적 지원이나 물자 지원에 대한 변수 틀을 쓰는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 말은, 이 변수 틀이 사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차치하고, 제3자의 의견을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의견 요청 틀을 답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1:52 (KST)답변

의견 @NZ 토끼들 반론은 아니고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만, 정치적 지원 및 물자 지원국 변수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제가 추가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해당 틀에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전쟁 정보 틀의 원본인 모듈:Infobox military conflict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영위백에서 해당 틀을 루아를 통해 한국어 위키백과에 맞춰 번역할 때 "Political Support"와 "Military support" 변수가 기계적으로 번역되었던 것 같습니다. 즉 첫 번째 이유 자체가 죄송하지만 성립하지 않습니다.
두 번째 이유에 대한 반례는 폴란드의 10월영위백 문서를 보심 나와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소련과 폴란드 인민공화국 사이에 군사적 충돌이 없었고 주요 충돌 세력 또한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속 두 파벌이었습니다. 전쟁 정보 틀을 사용하기에 살짝 애매한 감이 없잖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전국" 변수를 당 내 파벌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해당 의견 요청의 주제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해당 변수의 삭제가 아닌 개편 방식에 관하여로 질문을 변경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2:00 (KST)답변
정보 @NZ 토끼들, YellowTurtle9: 모듈이나 틀에 대해 두 분의 편집이 없어서 좀 당황했습니다. 틀 자체야 모듈을 호출하는 내용이고, 모듈 매개변수에는 아무런 편집 흔적이 없었거든요. 혹시나 하는 생각에 설명문서를 보고 그런 편집이 있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설명문서 편집에서의 편집 요약으로 미뤄 봤을 때는 모듈이 작성될 때부터 있었던 변수이니 다시 추가해야 한다는 말씀으로 보이는데, 68: renderPerCombatant 함수가 있습니다. 이후에 정치적 지원이나 물자 지원국 스트링에 대해 276: 해당 함수를 호출하고 있고요. 저는 구식화된 매개변수명의 넘겨주기나 별칭(alias) 정도로 생각하나, 해당 함수가 무슨 역할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까지 추가적으로 탐색하진 않았습니다.
2012년 영어판 토론에서 해당 매개변수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2014년에 루아화될 때부터 사실 그런 식으로 작성이 시작되었습니다. 다시 한국어판으로 돌아 와, 이 토론의 근거가 되는 모듈의 param_ko 배열을 보면 Ted님의 2019년 모듈 삽입하신 이후로 크게 개변된 내용이 없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03 (KST)답변
혹시나 여쭤 보는 건데, TODO 성격으로 서술하신 내용일까요? 그렇다 해도 사용법에 적는 건 논의가 필요한 내용 같은데요...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05 (KST)답변
사실 왜 그런 식으로 사용법이라고 하신 건지도 모르겠고, TODO를 그렇게 쓰라는 건 아닙니다. 그런데 개발자에게 알리는 사항인가... 그거밖에 달리 생각나는 게 없어서 여쭤보는 겁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06 (KST)답변
제 입장은 반드시 문서에 사용해야한다(TODO)는 것이 아닌 단순형이든 정식형이든 해당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니 일단 이 변수가 있다는 것을 틀 설명문서에 안내하고 사용할 곳이 있다면 문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방식입니다. 시각 편집의 경우 어떤 변수를 추가할 지, 아니면 누락할 지 이러한 내용을 더 잘 파악하기 쉬운데, 해당 변수는 제가 새롭게 창조한 것이 아닌 이미 틀에 존재하고 있던 변수였습니다. 그러한 연유로 모듈과 틀, 모듈 매개변수에 대해 추가 편집이 없는 것입니다.
저는 말씀해주신 내용을 의도할 목적으로 적은 것은 전혀 아니었습니다만, NZ 토끼님께서 사용자토론에 제가 남겼던 글을 보고 제가 해당 변수를 창조했다고 오해를 하신 것 같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12 (KST)답변
TODO는 해결해야 할 개발상 과제를 뜻하는 표현입니다. 이런 이런 문제가 있으니, 누가 좀 해결해 줘야 하는데 나의 개발 역량으로는 부족하니 이후 다른 개발자나 그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는 미래의 본인에게 참고를 요청하는 의견이죠. 예를 들어 내부 매개변수는 일반 사용자가 그 매개변수를 사용하라고 장려할 목적으로 삽입되지 않습니다. 단순히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변수를 나열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내부 매개변수처럼 모듈 설명문서에 작성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장려하는 매개변수가 아니라, 이미 기존 문서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처리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32 (KST)답변
구식화시킨 건지 아니면 기존 매개변수에 합하여 같이 나오도록 한 건지 저는 해당 함수의 기능에 대해서 크게 관심이 없기 때문에 잘 알지도 못합니다. TODO 관련해서는 이 내용을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3:38 (KST)답변
음... TODO가 저런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라면 그건 전혀 아니라는 뜻을 밝힙니다. 틀 변수(즉 모듈 설명부분)에는 '정치적 지원'이나 '군사적 지원'이 들어가 있는데(다만 어떠한 것을 기입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누락되어 있네요) 단순형 사용법이나 정식 사용법에는 그것이 전혀 명시되어있지 않아서 해당 내용을 기입했던 것이었습니다. 구식화, 기존 매개변수에 합하여 같이 나오도록 한 것이 전혀 아니며 "이러한 변수가 이미 존재하니 사용할 용도가 있다면 참조해라"라는 방식으로 넣은 것입니다.
해당 변수를 창조한 것은 전혀 아님에도 불구하고 소통 과정 사이에 오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4:18 (KST)답변
제가 이 토론을 열게 된 것은, 해당 사안이 전반적인 전쟁 정보에 대한 내용에 대한 개선사항을 바탕으로 한 변수 삽입이 아닌, 폴란드의 10월이라는 문서에 전쟁 틀을 적용했을 때 발생하는 '어색함'(이 표현이 맞을 지는 모르겠지만요)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치 지원/군사 지원 변수를 되살리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제3자의 의견도 청취하고자 함이었습니다.
솔직히 이 토론이 열리기 전까지는 해당 변수가 있는 줄도 몰랐습니다. 또한 해당 변수가 설령 틀 설명문서에 등장한다고 했을 때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이걸 쓸 가능성이 있는 지도 고려했고요. 제 결론은 일단, 기존의 전쟁 정보 틀이 어떤 문서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쓰지 않던 변수를 가져오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더욱이 전쟁 정보 틀은 이미 수천 번 사용된 틀인만큼 더욱 총의가 필요하다고 보았고요. Yelena Belova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6:25 (KST)답변
위키백과는 관련 매개변수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윅셔너리처럼 '역링크' 특수 문서 등으로 변수별로 하위 문서를 만들어서 추적하지 않습니다. 영어판 위키피디아는 다를지, 아니면 쿼리문을 직접 작성해서 찾아 다니는지는 모를 일이지만 지금 한국어판 추적용 분류 중 기술 이해가 아닌 지침 이해만 필요한 분류의 경우에도 거의 관리가 되지 않습니다. 영어판 토론에서도 엄밀하지 못하다는 점이 지적되었기 때문에 영어판에서도 설명문서에 굳이 사용하라고 써 놓지는 않는 것 같고요.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9:06 (KST)답변
사실 기존에 너무 많이 쓰여서 어느 정도 관행이 정립된 매개변수라면 모를까, 영어판에서도 엄밀함에 문제 제기가 있는 매개변수를 굳이 사용하라고 권장해야 할까요? 지원을 했다는 것도 저렇게 양분되진 않고, 시리아 내전에서 여러 단체가 뒤엉켜서 싸웠는데 똑같은 자유 시리아군이어도 터키는 HTS 지원했는데 미국은 쿠르드를 지원하죠. 그 정도로 복잡하면 정보상자에서 다루는 게 아니라 문서에 평서문으로 작성해야 하는 내용 같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9:21 (KST)답변
저 역시 해당 변수를 올리는 것에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09:47 (KST)답변
@NZ 토끼들@Jeebeen 제일 근본적인 문제는 영위백에서 저 틀을 한위백으로 가져올 때 'Military Conflict(군사적 갈등)'라는 넓은 의미의 제목을 '전쟁'이라는 좁은 범위로 해석해서 가져온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틀 제목은 변경하면 그만이지만 그럴 경우 폴란드의 10월을 넘어 다른 문서들에도 어떤 틀이 문서에 사용되는 게 더 좋은지 후속 논의들이 개진될 수 있긴 합니다. 그건 그 때 고민할 문제이긴 하지만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되살리는 것"이 전혀 아닌 원래부터 있던 변수를 활용한 것이었고 서로 몰랐던 내용에 관해서는 감정이 격해지는 것보다 이야기를 나누며 몰랐던 부분을 배우고 더 나은 방안을 같이 고민하면 됩니다. 두분의 의견도 이해는 가지만 여기의 답변여기의 답변처럼 대안이 없이 무작정 사용하면 안 된다는 의견은 받아들이기에는 살짝 어려운 것 같습니다. '폴란드의 10월' 문서에서 전쟁 정보 틀이 아닌 다른 틀을 사용한 리비전을 작성하시어 그것을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2월 8일 (토) 14:59 (KST)답변
일단 개인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전쟁 정보 틀과 같이 수많은 사용자 분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틀에 대해서는 저는 상당히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이미 이전에 다른 사용자 분과 이 틀을 "분쟁 정보"로 바꾸자고 한 토론에서 해당 사용자님께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틀의 이름을 바꾸면 혼동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틀 제목의 변경은 반대한다'라고 밝힌 적이 있기 때문에 그 점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폴란드의 10월에 어떤 틀을 쓰는 것이 좋을 지에 대한 대안 역시 지금으로서는 쉽게 확답을 드릴 수 없는 것이, 폴란드의 10월 이라는 사건 자체에 대해 틀을 써야 하냐 말아야 하냐부터 다양하게 이야기가 오갈 수 있을 것 같아서 다른 사용자 분들과 이야기를 해봐야 할 것 같고요. 그리고 아무래도 여긴 전쟁 정보 틀에 쓰이지 않는 변수를 권장하는 것이 괜찮은 방향인가,에 대해 논의하는 곳이기 때문에 여기서 그 서술을 하면 또 이야기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것 같아 자제하겠습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25년 2월 9일 (일) 04:49 (KST)답변
대안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문서에 적으면 됩니다. 제가 밀리터리 분야를 많이 다뤄 본 건 아니지만 인도군처럼 양 진영 모두 지원하는 경우는 익히 들어 봤습니다. 정치적 지원 등 매개변수는 실제로 작동하기 때문에 편집자 선호에 맞게 기입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 변수를 추후 사용하게 될 사용자들은 이 논의의 사실을 아는 저희 셋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저희가 의도하는 것처럼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말씀입니다. 매개변수를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필요한 것에 비해 그렇게 중요한 매개변수는 아니고, 더군다나 정보상자 틀 하나에 들어가는 몇몇 매개변수에 한정해서 그것이 쓰이는 기준을 세우기 위해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지는 모르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2월 9일 (일) 05:36 (KST)답변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