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다이스 플리트 RPG파라다이스 플리트 RPG는、토키타 유우스케(朱鷺田祐介)가 디자인한 테이블톱 롤플레잉 게임의 규칙 시스템이다. 파라플리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1994년에 후지미 드래곤북에서 기본 규칙서가 발매되었지만 현재는 절판되었다. 1996년에는 스자크 게임즈スザク・ゲームズ)에서 독립형 증보판(확장팩) 《극락 함대 역습편(極楽艦隊・逆襲篇)》이 발매되었다. 개요드래곤 매거진에 연재되던, 우주 전쟁을 다룬 같은 이름의 독자 참여 게임과 배경 세계를 공유하는 코믹한 SF RPG다. 이 시스템에서는 주먹질부터 흥정, 행성 규모의 강매, 그리고 우주 함대전까지 재현되어 있어서, SF 게임으로서 시나리오의 폭이 매우 넓다. 코미컬하다는 평이고 실제로도 그렇지만, 무기나 사이버웨어는 치명적이어서 딱딱한 군사 음모 시나리오도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세계관 설정이 유연하기 때문에 게임마스터(GM)의 역량에 따라 하드 SF 대장정(campaign) 시나리오도 전개할 수 있는 등 아주 허용 범위가 넓다. 시스템캐릭터 작성이 시스템의 캐릭터는 스킬제로 표현된다. 캐릭터에게는 근력(STR), 민첩(DEX, 지능(INT), 사교(SOC)라는 4개의 능력치와 이 능력치에 부수되는 다양한 스킬이 있다. 또한 엄밀히 말하면 능력치는 아니지만 이와 동등한 위상으로 '기타(ETC)'라는 수치가 있다. 이 값은 캐릭터 작성 시 획득하는 초기 특전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능력치와 함께 할당한다('기타'에 많은 점수를 할당하면 그만큼 능력치에 넣을 점수가 줄어든다). '기타'로 얻는 특전은 출신 국가마다 다르다(자세한 내용은 배경 세계 참조). '기타'에 독창적인 특전을 설정함으로써 이 시스템을 독창적인 배경 세계에 맞추는 범용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좋은 예로, 이 시스템을 차용해 기동전사 건담의 세계나 스타워즈의 세계를 플레이하는 팀도 있다. 행동 판정행동 판정에는 주사위가 아닌 플레잉 카드(트럼프 카드)를 사용한다. 대부호를 응용한 간단한 규칙이다. 행동하는 캐릭터의 능력치와 관련 스킬 랭크를 더한 '판정치'와 같거나 적은 장 수만큼 카드를 손패에서 내서, GM이 산패에서 젖힌 카드와 비교한다 (이때 GM이 젖히는 카드의 장 수가 '난이도'이며, 판정하기 전에 미리 제시된다). 숫자가 강한 카드가 이기지만, 같은 숫자가 여러장이거나 연속된 숫자가 여러 장인 카드는 '역'이라고 해서 더 강한 것으로 본다. 또한 판정치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스페이드 카드를 '으뜸패'로 사용할 수 있는데, '으뜸패'는 카드 한 장이지만 여러 장 짜리 역인 것으로 취급한다. 손패는 각 플레이어가 따로 손에 쥐고 있지만, 게임 안에서 서로 이야기 나눌 시간이 충분하면 '상담'이라는 행위를 할 수 있다. 이 때는 손패를 펼쳐서 자유롭게 카드를 교환하며 나중에 할 판정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상담할 정도의 시간이 없는 경우에도 '응원'이라고 해서, 특정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한 장 넘겨주는 도움을 줄 수 있다. 판정의 성격상 버린패는 자연스럽게 숫자가 정렬된다. 산패를 다 써버리면 버린패를 다시 섞어서 쓰는데, 방금 말한 이유로 산패가 편향되어 세션 후반부로 갈수록 큰 역이 자주 나온다. 이 게임의 디자이너는 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엔트로피 이론을 가미한 참신한 시스템'이라고 해설한다. 배경 세계지구마저 잊혀 버린, 아득한 5,600여 년 뒤의 미래 우주. 인류는 끈질기게 은하 규모로 번창해 갔다. 플레이어는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수인들의 나라 '금화 제국', 전통적인 서양풍 봉건 국가 '베스틴슈타인 공국', 사이보그 비즈니스퍼슨의 기업 국가 '시키가미 오에도'라는 삼국 중 어딘가에 소속된 캐릭터가 되어 대 우주에서의 모험을 즐긴다. 주요 국가
전문 용어
작품 목록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