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즐

퍼즐(영어: Puzzle)은 사람의 창의성이나 지식을 시험하는 게임, 문제, 또는 장난감이다. 퍼즐에서 해결자는 퍼즐의 해답을 찾기 위해 조각들을 논리적인 방식으로 조합하거나(또는 분해하거나) 해야 한다. 십자말 풀이, 단어 찾기 퍼즐, 숫자 퍼즐, 관계 퍼즐, 논리 퍼즐과 같은 다양한 장르의 퍼즐이 있다. 퍼즐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에니그머톨로지(enigmatology)라고 한다.

퍼즐은 종종 오락의 형태로 만들어지지만, 심각한 수학적 문제논리적 문제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그 해답은 수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1]

어원

옥스포드 영어사전은 퍼즐이라는 단어(동사로서)의 기원을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OED에 기록된 가장 초기의 사용은 로버트 더들리의 서인도 여행, 1594-95년, 와이어트 선장, 그 자신, 그리고 아브람 켄달 선장에 의해 서술된 책(약 1595년 출판)에 있었다. 이 단어는 나중에 명사로 사용되었으며, 처음에는 '혼란스러운 상태 또는 조건'을 의미하는 추상 명사로, 나중에는 '당혹스러운 문제'라는 의미로 발전했다. OED의 '플레이어의 재치를 시험하는 장난감'이라는 의미에서 가장 명확한 초기 인용은 월터 스콧 경의 1814년 소설 웨이벌리에서 "병 속의 릴"이라는 장난감을 언급한 것이다.[2]

동사 퍼즐의 어원은 OED에 의해 "알 수 없음"으로 설명된다; 그 기원에 대한 입증되지 않은 가설로는 '고르다'를 의미하는 고대 영어 동사 puslian과 동사 pose의 파생이 포함된다.[3]

분류

다양한 물리 퍼즐
세 조각으로 된 간단한 나무 퍼즐

퍼즐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퍼즐 풀이

퍼즐의 해답은 종종 패턴 인식과 특정 종류의 순서 준수를 필요로 한다. 높은 수준의 귀납 추론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그러한 퍼즐을 더 잘 풀 수 있다. 그러나 탐구발견에 기반한 퍼즐은 좋은 연역 기술을 가진 사람들이 더 쉽게 풀 수 있다. 연역 추론은 연습을 통해 향상된다. 수학 퍼즐은 종종 BODMAS를 포함한다. BODMAS는 괄호(Bracket), 선행 연산(Of), 나눗셈(Division), 곱셈(Multiplication), 덧셈(Addition), 뺄셈(Subtraction)을 의미하는 약어이다. 특정 지역에서는 PEMDAS(괄호(Parentheses), 지수(Exponents), 곱셈(Multiplication), 나눗셈(Division), 덧셈(Addition), 뺄셈(Subtraction))가 BODMAS와 동의어이다. 이는 식을 풀기 위한 연산 순서를 설명한다. 일부 수학 퍼즐은 연산 순서의 중의성을 피하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의 규칙을 필요로 한다. 이는 스도쿠처럼 숫자가 위에서 아래로 한 번만 나타나야 한다는 요구 사항에 의존하는 우아하고 간단한 아이디어이다.[4]

퍼즐 제작자

퍼즐 제작자는 퍼즐을 만드는 사람들이다. 직업의 일반적인 용어로, 퍼즐러 또는 퍼즐리스트는 퍼즐을 만들거나 푸는 사람이다.

일부 유명한 퍼즐 제작자들은 다음과 같다:

퍼즐의 역사

수학적 계산이 필요한 고급 퍼즐 장치인 아홉 개의 연결된 고리 퍼즐은 전국 시대 (기원전 475-221년)에 중국에서 발명되었다.[5] 직소 퍼즐은 1760년경에 영국의 판화가이자 지도 제작자존 스필스버리가 나무 판에 지도를 붙인 다음 지도의 각 나라 윤곽을 따라 잘라내어 지리 교육을 위한 보조 도구로 사용하면서 발명되었다.[6]

대중에게 인기를 얻은 후, 이러한 종류의 교육 보조 도구는 1820년경까지 직소 퍼즐의 주요 용도로 남아 있었다.[7]

가장 큰 퍼즐 (40,320조각)은 독일 게임 회사 라벤스부르거에서 제작했다.[8] 역사상 가장 작은 퍼즐은 하노버 레이저 센터에서 만들어졌다. 크기는 모래알 크기인 5제곱 밀리미터에 불과하다.

최초로 기록된 퍼즐은 수수께끼이다. 유럽에서는 그리스 신화가 스핑크스의 수수께끼와 같은 수수께끼를 만들어냈다. 중세 시대에도 많은 수수께끼가 만들어졌다.[9]

20세기 초까지 잡지와 신문들은 퍼즐 콘테스트를 발행하여 독자 수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처음에는 십자말로 시작하여 현대에는 스도쿠로 이어졌다.

조직 및 행사

퍼즐 애호가들을 위한 조직 및 행사는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각주

  1. Kendall G.; Parkes A.; and Spoerer K. (2008) A Survey of NP-Complete Puzzles, International Computer Games Association Journal, 31(1), pp 13–34.
  2. "puzzle, n."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December 2019. Web. 21 January 2020.
  3. "puzzle, v."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December 2019. Web. 21 January 2020.
  4. Wilson, R. “Sudoka Number Game”. 《Encyclopedia Britannica》. 2022년 6월 21일에 확인함. 
  5. Guo, Li; Eyman, Douglas; Sun, Hongmei (2024). 〈Introduction〉. Guo, Li; Eyman, Douglas; Sun, Hongmei. 《Games & Play in Chinese & Sinophone Cultures》. Seattle, W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쪽. ISBN 9780295752402. 
  6. Anne D. Williams. 《THE JIGSAW PUZZLE PIECING TOGETHER A HISTORY》. ASIN B000H2ND6E. 
  7. History of Jigsaw Puzzles 보관됨 2014-02-11 - 웨이백 머신 The American Jigsaw Puzzle Society
  8. “The worlds biggest Puzzle | Ravensburger”. 《www.ravensburger.us》 (영어). 2018년 6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23일에 확인함. 
  9. “A Brief History of Puzzles”. 《Puzzle Museum》. 2017년 4월 6일. 2020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