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프역
페이프역(Pape Station)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위치한 2호선 블루어-댄포스의 지하철역이다. 댄포스 및 페이프 애비뉴에 위치해 있는 이 역은 근처에 있는 그리스타운을 방문하는 승객들과 페이프 애비뉴와 돈밀스 로드를 따라 운행하는 25번 돈밀스 버스를 타기 위해 승객들이 승하차한다. 역사이 곳은 지하철이 개통하기 전에 하보드 노면 전차와 리사이드 버스의 종점인 립튼 루프가 위치해 있었으며, 1966년 2월 25일, 지하철 개통과 동시에 블루어-댄포스선과 마주하는 하보드 노면전차는 운행을 중단하게 되고 지금은 94번 웰즐리 버스가 캐슬프랭크역에서 웰즐리역을 거쳐 오싱턴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2] 1966년 개통 이후로 역 자체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1985년 토론토 교통국은 네트워크 2011 계획의 일환으로 영 스트리트 지하철과 블루어-영역의 넘쳐나는 수요를 어느정도 뒷받침하기 위해 페이프역과 도심을 잇는 다운타운 릴리프 선 (DRL)을 짓는 계획을 발표하였다.[3] 이 노선은 이후에 주정부에서 예산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계획이 철회되었다. 하지만 이 노선은 토론토 시내에 늘어나는 아파트 수와 유니언역에 넘쳐나는 승객으로 다시 한 번 주목을 받게 되었다.[4] 2012년 3월, 토론토 교통국 CEO 앤디 바이포드는 토론토의 급속한 인구 성장에 따라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다운타운 릴리프 선은 당장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5] 2012년 9월, 토론토 교통국은 현재 영-유니버시티-스파다이나 선과 고 트랜싯 노선에 늘어나는 승객 수에 대비한 연구를 마쳤으며 이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노선에 넘쳐나는 승객을 감당하려면 영 노선을 연장하기 전에 DRL을 지어야 한다고 하였다.[6] 2012년 11월 29일, 메트로링스 CEO 브루스 매쿠에이그는 DRL을 영 지하철 연장안과 동시에 광역 토론토 및 해밀턴 지역의 교통 발전 계획인 '빅 무브' (The Big Move)의 2단계 계획으로 확정하였다.[7] 페이프역은 또한 1966년 개통 이후로 노후된 역사를 개선하기 위해 토론토 교통국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하여 이에 따라 바닥과 벽, 천장, 조명을 교체하였으며 표지판 교체 및 조경 개선 작업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또한 휠체어 승객들을 위해 전용 출입구, 엘리베이터, 자동문도 설치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두 번째 출입구도 설치되었다.[8] TTC는 이 공사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2013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12일간에 걸쳐 역을 폐쇄하였으며 공사는 같은 해 12월에 마무리되었다.[9] 입점 상점
버스 연결편페이프역에서 갈아탈 수 있는 버스는 아래와 같다. 300번과 325번 심야 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 노선은 역 안에 있는 버스 승강장에서 탈 수 있고, 심야 버스의 경우에는 역 밖에 있는 버스 정류장에서 탑승해야 한다. 2017년 1월 8일부터 25번 돈밀스 버스는 에글린턴 크로스타운 경전철 공사로 스틸즈 애비뉴까지 가던 버스가 페이프역-돈밀스역 (25B), 돈밀스역-스틸즈 애비뉴 (25C) 등 두 개 계통으로 끊어졌으며 페이프역에서 스틸즈 애비뉴까지 직행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평일 저녁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 한해 운행하게 된다.[10] 이에 따라 평일 러시 아워와 점심 시간대에 스틸즈 애비뉴까지 가려면 돈밀스역에서 25C번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일반 버스 일반 버스 (최대 10분 간격 운행) 급행 버스 심야 버스
인접한 역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