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의 행정 구역

포항시의 행정 구역북구(北區), 남구(南區)의 2개 일반구와, 그 밑에 4개 , 10개 , 1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구

읍·면

1개 읍, 6개 면, 8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흥해읍(興海邑) 학성리(學城里), 중성리(中城里), 약성리(藥城里), 성내리(城內里), 남송리(南松里), 망천리(望泉里), 남성리(南城里), 옥성리(玉城里), 성곡리(城谷里), 초곡리(草谷里), 마산리(馬山里), 북송리(北松里), 용곡리(龍谷里), 양백리(兩白里), 용전리(龍田里), 용천리(龍泉里), 덕장리(德壯里), 덕성리(德城里), 금장리(金壯里), 흥안리(興安里), 곡강리(曲江里), 용한리(龍汗里), 칠포리(七浦里), 오도리(烏島里), 우목리(牛目里), 죽천리(竹川里), 매산리(梅山里), 학천리(鶴川里), 이인리(里仁里), 대련리(大蓮里)
기계면(杞溪面) 현내리(縣內里), 문성리(文星里), 화봉리(禾峰里), 화대리(禾垈里), 내단리(奈丹里), 성계리(星溪里), 학야리(鶴野里), 봉계리(鳳溪里), 고지리(高旨里), 지가리(芝柯里), 인비리(仁庇里), 남계리(南溪里), 가안리(駕安里), 구지리(九旨里), 계전리(桂田里), 미현리(美峴里)
기북면(杞北面) 용기리(龍基里), 관천리(冠川里), 율산리(栗山里), 대곡리(大谷里), 탑정리(塔亭里), 오덕리(吾德里), 성법리(省法里)
신광면(神光面) 사정리(士亭里), 토성리(土城里), 호리(虎里), 우각리(牛角里), 흥곡리(興谷里), 냉수리(冷水里), 죽성리(竹城里), 상읍리(上邑里), 안덕리(安德里), 기일리(基日里), 반곡리(盤谷里), 만석리(萬石里), 마북리(馬北里)
송라면(松羅面) 상송리(上松里), 하송리(下松里), 중산리(中山里), 광천리(光川里), 조사리(祖師里), 방석리(芳石里), 화진리(華津里), 대전리(大田里), 지경리(地境里)
죽장면(竹長面) 입암리(立岩里), 일광리(日光里), 지동리(芝洞里), 정자리(亭子里), 감곡리(甘谷里), 침곡리(針谷里), 매현리(梅峴里), 방흥리(方興里), 현내리(縣內里), 두마리(斗麻里), 봉계리(鳳溪里), 월평리(月坪里), 합덕리(合德里), 석계리(石溪里), 상사리(上舍里), 하사리(下舍里), 가사리(佳士里), 상옥리(上玉里), 하옥리(下玉里)
청하면(淸河面) 신흥리(新興里), 소동리(蘇東里), 고현리(古縣里), 하대리(下大里), 상대리(上大里), 서정리(西井里), 명안리(鳴安里), 유계리(柳溪里), 청계리(淸溪里), 덕천리(德泉里), 덕성리(德城里), 월포리(月浦里), 필화리(筆花里), 용두리(龍頭里), 미남리(美南里), 이가리(二加里), 방어리(方魚里), 청진리(靑津里)

행정동 법정동 설명
두호동(斗湖洞) 두호동(斗湖洞)
양학동(良鶴洞) 득량동(得良洞)
학잠동(鶴岑洞)
용흥동(龍興洞) 용흥동(龍興洞)
우창동(牛昌洞) 우현동(牛峴洞)
창포동(昌浦洞)
죽도동(竹島洞) 죽도동(竹島洞)
중앙동(中央洞) 중앙동(中央洞)
동빈1가(東濱1街)
동빈2가(東濱2街)
덕산동(德山洞)
덕수동(德壽洞)
여천동(余川洞)
상원동(上元洞)
남빈동(南濱洞)
신흥동(新興洞)
대흥동(大興洞)
항구동(港口洞)
대신동(大新洞)
학산동(鶴山洞)
장량동(長良洞) 장성동(長城洞)
양덕동(良德洞)
환여동(環汝洞) 환호동(環湖洞)
여남동(汝南洞)

남구

읍·면

3개 읍, 4개 면, 7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읍·면 관할 법정리
구룡포읍(九龍浦邑) 구룡포리(九龍浦里), 삼정리(三政里), 석병리(石屛里), 눌태리(訥台里), 후동리(厚洞里), 병포리(柄浦里), 하정리(河亭里), 장길리(長吉里), 구평리(邱坪里), 성동리(城洞里)
연일읍(延日邑) 오천리(嗚川里), 생지리(生旨里), 괴정리(槐亭里), 동문리(東門里), 인주리(紉珠里), 택전리(宅前里), 중단리(中丹里), 중명리(中明里), 우복리(牛伏里), 유강리(柳江里), 자명리(自明里), 학전리(鶴田里), 달전리(達田里)
오천읍(烏川邑) 문덕리(文德里), 광명리(光明里), 세계리(世界里), 용덕리(龍德里), 원리(院里), 구정리(舊政里), 용산리(龍山里), 문충리(文忠里), 항사리(恒沙里), 갈평리(葛坪里), 진전리(陳田里)
대송면(大松面) 남성리(南城里), 제내리(堤內里), 송동리(松洞里), 옥명리(玉明里), 공수리(公須里), 장동리(長洞里), 홍계리(洪溪里), 대각리(大覺里), 산여리(山余里)
동해면(東海面) 도구리(都邱里), 신정리(新亭里), 금광리(金光里), 약전리(藥田里), 석리(石里), 임곡리(林谷里), 입암리(立岩里), 상정리(上政里), 중산리(中山里), 공당리(孔堂里), 마산리(馬山里), 중흥리(中興里), 흥환리(興串里), 발산리(發山里)
장기면(長鬐面) 읍내리(邑內里), 임중리(林中里), 신창리(新倉里), 양포리(良浦里), 계원리(溪院里), 두원리(斗院里), 수성리(水城里), 산서리(山西里), 방산리(芳山里), 대곡리(大谷里), 정천리(井泉里), 신계리(新溪里), 학곡리(鶴谷里), 학계리(鶴溪里), 서촌리(西村里), 마현리(馬峴里), 금곡리(琴谷里), 영암리(靈岩里), 대진리(大津里), 모포리(牟浦里), 금오리(金吾里), 창지리(倉旨里), 죽정리(竹井里)
호미곶면(虎尾串面) 대보리(大甫里), 구만리(九萬里), 대동배리(大冬背里), 강사리(江沙里)

행정동 법정동 설명
대이동(大梨洞) 대잠동(大岑洞)
이동(梨洞)
상대동(上大洞) 상도동(上島洞)
대도동(大島洞)
송도동(松島洞) 송도동(松島洞)
제철동(製鐵洞) 송내동(松內洞)
송정동(松亭洞)
괴동동(槐東洞)
동촌동(東村洞)
장흥동(長興洞)
인덕동(仁德洞)
호동(虎洞)
청림동(靑林洞) 청림동(靑林洞)
일월동(日月洞)
해도동(海島洞) 해도동(海島洞)
효곡동(孝谷洞) 효자동(孝子洞)
지곡동(芝谷洞)

역사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포항동(浦項洞)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학산동(鶴山洞) 일부 천구정(川口町)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형산면 일원 포항읍 일부
대송면 송정동 일부
  • 1946년 포항읍 내의 일본식 명칭인 정(町), 정목(丁目)을 다음과 같이 고쳤다.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본정(本町) 상원동(上元洞)
명치정(明治町) 덕수동(德壽洞)
욱정(旭町) 여천동(余川洞)
소화정(昭和町) 대신동(大新洞)
영정(榮町) 덕산동(德山洞)
초음정(初音町) 대흥동(大興洞)
신흥정(新興町) 신흥동(新興洞)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동빈1~2가(東濱1~2街)
남빈정(南濱町) 남빈동(南濱洞)
천구정(川口町) 항구동(港口洞)
중정(仲町) 중앙동(中央洞)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송정동, 송내동, 괴동동, 장흥동, 동촌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연일읍 효자동, 지곡동, 이동, 대잠동 포항시 일부
오천면 일월동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송면 호동, 송내동 일부, 괴동동 일부, 장흥동 일부, 동촌동 일부 포항시 일부
  •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을 통합하여,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4](2구, 4읍, 10면, 25동) 구제 실시로 북구, 남구를 설치하였다.[5]
시조례 제10호 구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구 행정구역(읍·면·행정동) 신 행정구역(읍·면·행정동)
포항시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항구동, 환여동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북구 덕수동, 대신동, 대흥동, 동빈동, 두호동, 양학동, 용흥1동, 용흥2동, 우창동, 죽도1동, 죽도2동, 중앙동, 장량동, 학산동, 환여동,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포항시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남구 대이동, 상대1동, 상대2동, 송도동, 제철동, 청림동, 해도1동, 해도2동, 효곡동,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시조례 제18호~제320호 행정동간 통합 및 불합리한 경계 조정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덕수동, 대신동, 동빈동, 학산동, 항구동, 용흥1동, 용흥2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용흥동
구 행정구역(행정동) 신 행정구역(행정동)
북구 중앙동, 학산동, 죽도1동, 죽도2동, 기계출장소 북구 중앙동, 죽도동
남구 상대1동, 상대2동, 해도1동, 해도2동 남구 상대동, 해도동

각주

  1.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2.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년 12월 29일)
  3.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년 9월 27일) (1읍 14면)
  4.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13일)
  5.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년 1월 11일)
  6. 시조례 제16호~제320호 불합리한 경계 조정(개정 1997년 9월 1일)(2구, 4읍, 10면, 19동)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