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중앙역
프랑크푸르트 중앙역(독일어: Frankfurt (Main) Hauptbahnhof 프랑크푸르트 (마인) 하웁트반호프[*])은 독일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있는 철도역이다. 프랑크푸르트 (오데르)에 위치한 철도역과 구분하기 위해 (마인)을 붙여 보통 Frankfurt (Main) Hbf 등으로 축약되어 안내된다.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은 독일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유럽 각지로 향하는 열차편이 모이는 기점이기도 하다. 역사역사가 생기는 과정19세기 말엽, 프랑크푸르트에는 서쪽, 북쪽, 남쪽으로 뻗어나가는 노선의 철도 터미널역이 다음과 같이 분산되어 있었다. 이들 역은 모두 현재의 빌리-브란트 광장 근처에 있었다.
이들 역을 합쳐서 1888년 8월 18일 만들어진 것이 현재의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이다. 초기의 이름은 Centraal Bahnhof Frankfurt였으나, 시간이 지나며 Centraal Bahnhof를 Hauptbahnhof로 정리하였다. 19세기 중반부터 후반에 걸쳐 승객이 꾸준히 증가하다보니 1866년에 역을 통일시키려는 계획이 세워졌다. 맨 처음에는 34개의 승강장을 가진 초대형역이 계획되었으나, 초대형역 계획은 폐지되었고 계획은 18개의 승강장으로 감축되었다. 우편 및 수하물 취급은 지하에서 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으며, 시 의회는 역을 도시에서 먼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새 역사는 위의 세개 역사에서 1 km 정도 서쪽에 들어서게 되었으며, 승강장은 세 개의 철골-유리 지붕으로 덮어 마무리하였다. 이후 확장1924년에는 두개의 신축 홀이 기존 홀의 양단에 추가되면서 승강장 수가 24개로 늘어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공습으로 역사의 일부가 손상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었다. 1956년에는 역사 내의 모든 철도가 전철화되었으며, 1년 후에는 유럽에서 가장 큰 신호장이 들어서게 되었다. 1971년에는 U반이 개통되었으며, 1978년에는 S반을 위한 지하 역사가 완성되었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는 지붕의 재개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신호장은 2005년 후반기에 이설되었으며, 재설치하는 과정에서 역사 진입 속도를 60 km/h까지 고속화하도록 배선 리모델링도 실시하였다. 건축물![]() 역의 외관은 승강장(perron)과 대합실(vestibule)로 나뉜다. 1888년에 지어진 부분에는 네오 르네상스 양식으로, 1924년에 추가된 바깥쪽 두 개의 홀은 신고전주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역의 동쪽 외관에는 "주간"과 "야간"을 상징하는 동상이 있는 커다란 시계가 있다. 시계의 앞부분에는 Hauptbahnhof(중앙역)라는 단어와 독일철도 로고가 있다. 대합실 지붕에는 어깨에 세계를 지탱하는 아틀라스의 동상이 있다. 이 경우에는 철과 증기를 나타내는 두 개의 우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운영 정보
역 구조지상에 25선의 두단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터미널역이다. 지하에는 각각 프랑크푸르트 U반과 라인-마인 S반을 위한 터널이 있으며, 각각 2면 4선(U반역의 1선은 여객 미취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역사 앞에는 전차 노선의 역사가 세워져있다. 승강장 번호는 지상역이 1에서 24까지, 지하 S반역이 101에서 104까지로 매겨져있다. 역의 터미널 구조는 20세기 후반부터 모든 열차가 방향을 바꾸고 역에서 출발하여 목적지까지 계속 가야하기 때문에 몇 가지 독특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것은 긴 방향전환 시간을 유발하고, 승객을 해당 좌석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를 변경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프랑크푸르트 21(Frankfurt 21)이라는 마지막 프로젝트는, 역 전체를 지하에 놓고 터널과 동쪽을 연결하여 터미널 구조의 단점을 피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마천루를 짓기 위한 건물 지대로 현재 선로에 사용된 영역에 대한 토지 상공 사용권을 판매함으로써 조달될 것이지만, 이것은 곧 비현실적임이 입증되며 프로젝트는 포기되었다. 프랑크푸르트 중앙역은 일본 외에서 3번째로, 독일에서 가장 많이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역 주변역사 동쪽으로 도심이 시작되며, 역사 정면 방향으로 카이저 거리가 뻗어나간다. 인접역인터시티익스프레스
인터시티
지역 열차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