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지슨날다람쥐
호지슨날다람쥐(Petaurista magnificus)는 다람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인도 북부와 네팔, 부탄, 미얀마, 중국 남부 지역의 산악 지대에서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열대와 아열대 숲이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을 받고 있다. 특징대형 날다람쥐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가 360~420mm, 꼬리 길이가 415~480mm이다. 몸무게는 약 1350g이다. 등 쪽의 털은 짙은 갈색이고 등 가운데를 따라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어깨에는 누르스름한 갈색 반점이 나 있다. 옆구리와 활강 비막은 불그스레한 짙은 갈색을 띠는 반면에 배 쪽과 다리는 불그스레한 연한 갈색이다. 몸 쪽 꼬리는 짙은 갈색이고, 나머지 부분은 붉은 갈색을 띠며 끝은 검다. 다리도 검다.[3] 분포 및 서식지호지슨날다람쥐는 네팔과 인도 북부, 부탄, 중국 티베트 자치구 등의 해발 1500~3000m 히말라야 지역의 토착종이다. 미얀마 서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자연 서식지는 열대와 아열대 기후 지역의 상록수림과 낙엽수림이다.[1] 습성호지슨날다람쥐는 야행성 동물이다. 날이 저물면 낮동안에 머물던 수관층 은신처에서 빠져 나오며 내는 요란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그런 다음 나무 꼭대기에서 진달래와 덤불이 자라는 아래로 활강한다. 활강 거리는 최대 100m에 이르기도 하며, 윗쪽으로 이동은 짧게 끝난다.[3] 먹이는 식물 잎과 새싹, 풀, 꽃, 열매 등이다. 땅으로부터 최대 15m 위에 부드러운 식물을 쌓아 둥근 구멍 속에 둥지를 만든다. 번식 행동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비행을 위해 피부의 작은 덮개를 이용한다.[3] 보전 상태차나 카다멈과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숲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기 때문에 호지슨날다람쥐의 전체 개체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분포 지역이 넓고, 전체 개체수가 많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보전 등급을 "관심대상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 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