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제사 화강암

홍제사 화강암
층서 범위: ~ 2013–1699백만년 전
태백시 동점동 홍제사 화강암과 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부정합 경계 (꽃이 있는 곳부터 조선 누층군)
유형화강암
하층분천화강편마암 (관입함)
상층조선 누층군 장산 규암층 (부정합)
지역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삼척시 남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울진군
암질
복운모 화강암
나머지거정화강암질암맥
위치
이름 유래홍제사
좌표북위 37° 04′ 49.1″ 동경 129° 03′ 20.4″ / 북위 37.080306° 동경 129.055667°  / 37.080306; 129.055667
지방영남 육괴
나라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홍제사 화강암(洪濟寺 花崗巖, Precambrian Hongjaesa granite)은 대한민국 영남 육괴 북동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삼척시 남부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울진군 일대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기의 조립질 화강암이다.

암석 특성

홍제사 화강암에 대해, 윤석규와 실베르만(1979)은 730±22 Ma[1], 김용준과 이대성(1983)은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으로 1714.2±28.1 Ma, 1825±20 Ma, 730±22 Ma[2], 홍영국과 최태윤(1986)은 1367±29 Ma, 1235±17 Ma, 1209±26 Ma, 768±11 Ma로 보고하였다.[3]

정창식 외(2004)는 루비듐-스트론튬(Rb-Sr) 전암 연령으로 1919±160 Ma (고원생대 오로세이라기), Pb-Pb 연령으로 1899±200 Ma (고원생대)를 보고하였으며[4] 이호선 외(2010)는 2013 +30/-24 Ma (고원생대 오로세이라기)의 저어콘 U-Pb 연대(LA-ICP-MS)를 보고하였다.[5]

지하자원

봉화군 지역의 홍제사 화강암 내에는 견운모 광상이 분포하며 이를 채굴하는 대현광산과 성황광산이 있다. 견운모 광상은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화강암을 모암으로 한 견운모화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곳의 견운모는 화학적으로 일라이트(Illite)에 해당하며 견운모 광상의 형성은 화강암 내 단층 구조와 같은 열극을 통한 열수의 상승으로 인한 열수 광상으로 추정된다.[6]

지역별 암상

홍제사 화강암은 넛재 지역에서 시작해 봉화군 석포면, 삼척시 가곡면 (삼척시) 풍곡리, 태백시 철암동 동부와 동점동 남부에 분포하는데 동점동 지역에서는 황지천 하상에 장산 규암층부정합 경계가 드러나 있다. 장성 지질도폭(1967)에 의하면 특징적인 청회색 내지 암회색 장석(미사장석)을 다량 포함하여 암석이 전체적으로 청회색을 띤다. 홍제사 화강암은 조립질이고 부분적으로 엽리가 발달하며 원남층군 원남층 및 율리층군을 관입하는 부분에서는 주입편마암화되어 있다.[7]

삼척시 도계읍 신리 543, 신리 너와집 맞은편 하천(북위 37° 11′ 13.63″ 동경 129° 08′ 04.36″ / 북위 37.1871194° 동경 129.1345444°  / 37.1871194; 129.1345444)에 홍제사 화강암이 드러나 있다. 부분적으로 유동 구조를 보인다.[8]

울진군 내에서 응봉산(999 m), 울진군 북면 사계리와 상당리, 덕구온천 일대에 분포하며 죽변 지질도폭(1993)에 의하면 (암)회색을 띠는 장석과 석영을 함유한다. 모드 분석결과는 화강암에 속하나 상당 부분이 화강편마암에 속하며 정확한 모드명은 반상변정질복운모 화강섬록암 내지 화강암이다. 홍제사 화강암은 많은 페그마타이트암맥에 의해 관입당했는데 이 암맥은 불규칙적으로 관입해 있고 수~수십 센티미터 규모로 작으며 구성 광물이 홍제사 화강암과 유사해 홍제사 화강암보다는 나중에 형성되었지만 홍제사 화강암과 동일 기원의 마그마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페그마타이트백운모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결과는 1,754±53 Ma (고원생대 스타테로스기)이다.[9]

같이 보기

각주

  1. Yun, S.; Silberman, M. L. (1979년 3월). “K-Ar Geochronology of Igneous Rocks in the Yeonhwa-Ulchin Zinc-Lead District and Southern Margin of the Taebaegsan Basin, Korea (蓮花-蔚珍 鉛ㆍ亞鉛 鑛山地帶 火成岩類의 K-Ar 年代에 對하여)”. 《대한지질학회15 (1): 89-99. 
  2. 김용준; 이대성 (1983년). “석포(石浦)-덕구간(德邱間)에 분포(分布)하는 소위(所謂) 홍제사화강암(洪濟寺花崗岩)의 지질연대(地質年代)와 생성과정(生成過程)에 대(對)한 硏究(연구) (Geochronology and Petrogenetic processes of the so-called Hongjesa granite in the Seogpo-Deogku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6 (3): 163-221. 
  3. 홍영국; 최태윤 (1986년). “선(先)캠브리아기(紀) 분천(汾川) 및 홍제사화강암류(홍제사화강암류)의 흑운모(黑雲母)에 대(對)한 K-Ar 연대측정(年代測定) (K-Ar Ages on Biotites of the Proterozoic Buncheon and Hongjesa Granit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Sobaegsan Massif)”.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9 (2): 147-151. 
  4.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중; 임창복 (2004년 12월).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in the Jukbyeon area,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영남육괴 북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대한지질학회40 (4): 481-499. 
  5. 이호선; 박계헌; 송용선; 김남훈; Orihashi Yuji (2010년 3월). “영남육괴 북동부 홍제사 화강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LA-ICP-MS U-Pb Zircon Age of the Hongjesa Granite in the Northeast Yeongnam Massif)”. 《한국암석학회》 19 (1): 103-108. 
  6. 오지호; 황진연; 고상모; 곽규원; 이효민; 지세정 (2008년). “경북 봉화지역 홍제사 화강암 내에 배태하는 견운모광상의 산상 및 구성광물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Sericite Deposit in the Hongjesa Granite from the Bonghwa Area in Kyungsangbuk-do, Korea”. 《한국광물학회》 21 (1): 67-83. 
  7. 윤석규 (1967년). “長省 地質圖幅說明書 (장성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 박영록; 조경남 (강원대학교); 백인성; 김현주 (부경대학교); 임현수; 강희철; 신숭원; 김현정; 하수진; 하상민 (부산대학교); 김종선 (전남대학교); 조형성 (경상대학교) (2019년 12월). 《강원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국립공원공단, 대한지질학회. 
  9. 이종혁 (1993년). “竹邊-臨院津圖幅 地質報告書 (죽변-임원진항 지질도폭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