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제목 (한국어 ) 및 url 링크
논문 제목 (영어 )
날짜
호
쪽 (쪽수)
저자
내용
16권
南韓의 쥬라기 花崗岩質岩과 白堊紀 花崗岩質岩의 地質學的 및 同位元素 比較
Geological and Isotopic Contrasts of the Jurassic and the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1980.12
4
205-215 (11)
진명식
쥐라기 대보 화강암 류와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 류의 화학, 동위원소비, 광화작용
17권
江原道에 分布하는 農村 및 花折層에 關한 堆積學的 硏究
Sedimentological Study on the Pungchon and the Hwajeol Formations, Gangweon-do, Korea
1981.12
4
225-240 (16)
김정률, 박용안
삼척탄전 지역 풍촌 석회암층 과 화절층 의 퇴적환경
韓國의 古地震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Historical Earthquakes in Korea
1981.12
4
257-268 (12)
정봉일
서기 0년부터 1900년까지 한반도 에서 총 1766회의 지진이 발생
德山溫泉地域의 地熱狀態에 관한 地質學的 및 地球物理學的 調査硏究
Geological and Geophysical Studies on the Geothermal State in the Duksan Hot Spring Area
1981.12
4
269-280 (12)
정봉일, 이기화
덕산온천 의 지온, 방사선량, 선구조
浦項地域의 斷裂現象에 對한 地質工學的 考察
Studies in the Viewpoint of Engineering Geology on Active Faults in Pohang Area
1981.12
4
281-293 (13)
김영기
포항시 괴동동, 동촌동, 장흥동 지역의 절리 와 단층
18권
上部慶尙層群에서 發見된 白堊紀 恐龍의 足痕化石에 關하여
On the Dinosaur's Footprints from the Upper Cretaceous Gyeongsang Group, Korea
1982.3
1
37-48 (12)
양승영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해안가 경상 누층군 진동층 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화석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에서의 Vicarya의 發見
Discovery of Vicarya from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1982.3
1
49-52 (4)
윤선, 이상훈
포항 분지 의 천곡사층에서 발견된 Vicarya 화석
Trigonioidcs(s.s) kodairai의 模式地 一帶의 地質과 洛東亞層群의 地質時代
Geology around the Type-Locality of Trigonioides(s.s.) kodairai and Age of the Nagdong Subgroup
1982.6
2
67-72 (6)
양승영
하동군 금남면 의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 에서 발견된 이매패류 화석
構造線 豫想地域에 있어서의 物理探査 適用例
An Example of a Geophysical Survey in an Inferred Fault Area
1982.6
2
73-82 (10)
김영화
거제시 장승포동 옥명리 일대에서 지하수 조사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南韓에 分布하는 花崗岩類의 岩石化學的 硏究
The Petrochemical Study of the Granitoids in South Korea
1982.9
3
132-148 (17)
박미령, 김규한
대한민국 의 쥐라기 대보 화강암 류와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 류에 대한 산출 상태와 분포, 암석화학, 광상
技川面 一帶에 分布하는 晋州層의 分離面에 對한 力學的 考察
Kinematic Consideration on the Discontinuous Plane of Jinju Formation in Jicheon-Myeon
1982.9
3
156-166 (11)
김영기, 석종기, 정교철
이 부분의 본문은
진주층 입니다.
칠곡군 지천면 경상 누층군 진주층 에 발달한 불연속면(절리 )에 대한 역학적 연구
韓國 魚日盆地의 第三紀 層序
Tertiary Stratigraphy of the Eoil Basin, Korea
1982.12
4
173-180 (8)
윤선
어일 분지의 제3기 지층 층서
義城郡 塔里 부근의 恐龍肢骨化石
Occurrence of a Dinosaur Limb Bone near Tabni, Southern Korea
1982.12
4
195-202 (8)
장기홍, 서승조, 박순옥
의성군 금성면 탑리와 청로동 사이 경상 누층군 후평동층 구계동층원 하부에서 발견된 공룡 뼈 화석
19권
楸哥嶺裂谷의 地構造的 解析
Geotectonic Interpretation of Choogaryong Rift Valley, Korea
1983.3
1
19-38 (20)
이대성, 유기주, 백광호
추가령 구조곡 현무암 의 지질시대 (플라이스토세 에 분출)와 고지자기
韓國의 댐 基礎基盤과 그 處理
Basements of Dams and Dam Building in Korea
1983.6
2
85-100 (16)
양재만
대한민국의 댐 의 기초지반과 기반암 불량의 문제
韓國地質學界의 先驅者 雲巖 朴東吉 博士(1897年 8月~1983年 2月)
-
1983.6
2
112-113 (2)
이정환 (학회장)
이 부분의 본문은
박동길 입니다.
대한민국 의 지질학자 박동길 에 대한 평가와 이력
韓國에서 發見된 自堊紀 恐龍化石과 그 層序
Cretaceous Dinosaurs from Korea
1983.9
3
115-126 (12)
김항묵
한국의 공룡화석 산지(의성군 탑리, 합천군 지릿재, 고성군 하이면 해안)의 층서와 공룡화석의 기재
梁山斷層의 微震活動에 관한 研究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1983.9
3
127-135 (9)
이기화, 나성호
양산 단층 에서 발생한 미소 지진
韓半島에서의 第四系 火山活動에 관한 研究 - 楸哥嶺裂谷內에서
A Study on the Quarternary Volcanism in the Korean Peninsula - in the Choogaryong Rift Valley
1983.9
3
159-168 (10)
원종관
추가령 구조곡 지역 현무암 의 구성 광물, 화학
丹陽·永春地域에 分布된 興月里層에 관한 堆積岩石學的 硏究
Sedimentary Petrological Study on the Heungwolri Formation
1983.9
3
190-202 (13)
이원국
조선 누층군 흥월리층 의 암상, 퇴적구조, 층서적 위치, 화학성분 돌로마이트 의 산출상태
寧越炭田 밤치層의 石灰岩에서 產出되는 페름紀 紡錘蟲
Permian Fusulinids from the Limestones of the Bamchi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1983.12
4
203-226
정창희 , 김봉균, 이창진
영월탄전 의 평안 누층군 밤치층 석회암 지층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韓國 浦項盆地에서 發見된 마이오세 Archaeomondas 化石
Miocene Archaeomonads from Pohang Area, Korea
1983.12
4
247-251 (5)
Hsin Yi Ling, 김봉균
포항 분지 송학동층과 이동층에서 발견된 마이오세 Archaeomonads 화석
신제3기 포항분지 동부 연변(칠포부근)의 층서
Stratigraphy of East Margin of the Pohang Tertiary Basin near Chilpo
1983.12
4
252-257 (6)
윤혜수, 김봉균
흥해읍 칠포리~오도리 일대의 '두호층 '은 백악기 지층과 천북 역암층, 학림층으로 재분류되어 포항 분지 의 동부 경계가 발견되었다고 주장
20권
火旺山 및 靈鷲山일대 花崗岩類의 岩石學的 硏究
Petrology of Granitoid in Mt. Hwawang and Mt. Youngchu Area
1984.3
1
1-14 (14)
김중욱, 이윤종
화왕산 과 영추산 일대 화강암 류의 구성성분과 화학
韓國卯谷層產 軟體動物化石群에 關한 古生物學的 研究(二部)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Molluscan Fauna from Myogog Formation, Korea. (pt. 2)
1984.3
1
15-27 (13)
양승영
이 부분의 본문은
묘곡층 입니다.
묘곡층 에서 발견된 이매패, 소라류 화석
慶尙束 楡川層群 基底의 不整合
Unconformity at the Base of the Late Cretaceous Yucheon Group
1984.3
1
41-50 (10)
장기홍 외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의 광역적 부정합 관계, 유천층군 고성층 의 층서
쥬라기 서울 및 안양화강암의 암석지화학적 연구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urassic Seoul and Anyang Granites, Korea
1984.3
1
51-71 (21)
홍국영
쥐라기 서울 화강암 및 안양 화강암의 암석 구성성분, 화학, 광물, 미량 및 희유원소
南韓의 同位元素 水文學에 關한 研究
Studies on Isotope Hydrology in South Korea
1984.3
1
72-84 (13)
한정상, 안종성, 이창근
방사성 동위원소을 이용한 지하수 와 지표수의 상관관계 분석 (한강 하류, 서울특별시 와 교외, 한강 상류 석회암지대, 제주도 지역)
소위 栗里層群 및 遠南層群의 變成岩石學的 研究
Metamorphic Studies on the so-called Yulri and Weonnam Groups in the Mt. Taebaeg Area
1984.9
3
195-214 (20)
이상만, 김형식
봉화군 북부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율리층군과 원남층군의 일반지질, 화학조성, 광물, 변성작용
韓國 梨洞 및 浦項層(마이오世)產 타스마니티드
Tasmanitids from Idong and Pohang (Miocene) Formations of Korea
1984.9
3
215-221 (7)
최덕근, 봉필윤, 김봉균
포항 분지 의 이동층과 포항층에서 산출된 2종의 Tasmanitids 화석 기재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研究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1984.9
3
222-240 (19)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양승진
경상 분지 내 가장 높은 지진활동은 양산 단층 과 연관되어 발생했으며 1982년 8~12월 사이 100여 차례의 미소 지진들이 양산 단층 , 동래 단층 에서 발생했다.
엔트로피 극대법에 의한 한반도 고지진 시계열의 스펙트럼 분석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for Ancient Earthquake Records in Korean Peninsula
1984.9
3
241-251 (11)
홍순복
서기 1029년에서 1879년까지 발생한 한국의 지진 기록을 분석하고 1년 주기의 절정기(peak)가 나타났으나 그 원인은 알지 못하였다.
韓國 第三紀 浦項盆地의 古環境 - 1. 古海岸線
Paleoenvironments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Korea : No. 1. The paleocoastal line
1984.9
3
252-255 (4)
윤선
포항 분지 천곡사층에서 산출되는 화석 대비로 마이오세 포항 분지 의 고(古)해안선을 설정하였다.
南韓에 分布되어 있는 쥬라紀 및 白堊紀 花崗岩類에 含有되어 있는 인회석의 휫션트랙 年代測定에 對하여
Fission Track Dating of Apatite from the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1984.12
4
257-265 (9)
진명식, A.J.W. Gleadow, J.F. Lovering
대보 화강암 과 불국사 화강암 에서 인회석 을 채취하여 피션트랙(Fission Track) 절대연령 측정을 실시. 연대와 시료 채취지점의 고도와의 관계는 한반도가 제3기 중 100만 년에 약 20 m 상승했음을 지시
부암스카른광상의 광물지화학 및 유체포유물 연구
Mineral Geochemistry and Fluid Inclusion Study On the Buam Skarn Deposit
1984.12
4
266-281 (16)
문건주
청주시 부근 부암 회중석 스카른 광상의 지질, 광체(Orebody), 구성 광물과 화학조성, 유체포유물
한국 山內 重石광산의 硫黃同位元素, 流體包有物 및 稀有元素 연구와 그의 探査에의 활용
S Isotope, Fluid Inclusion and Trace Element Studies of the Sannae Tungsten Deposit and its Application to the Ore Prospecting
1984.12
4
282-295 (14)
소칠섭
밀양시 산내면 중석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시기, 유체포유물
울릉島의 火山活動과 岩石學的 特性
The Volcanism and Petrology of alkali Volcanic rocks, Ulrung Island
1984.12
4
296-305 (10)
원종관, 이문원
이 부분의 본문은
울릉도 입니다.
울릉도 의 화산활동과 화산암의 화학과 기원
濟州火山岩類에 含有된 mafic 捕獲岩
Petrology of mafic inclusion in Jeju volcanic rocks
1984.12
4
306-313 (8)
이문원
제주도 화산암에 포획된 고철질암의 화학조성과 성인
釜山 花崗岩地域의 地盤應力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earth stress of the granite area in Pusan, Korea
1984.12
4
314-325 (12)
최재우, 김정진, 김영기
부산광역시 금정산 남측 화강암체의 절리 와 지반 응력
寧越炭田 요봉層 下部에서 산출된 바쉬키리안 紡錘蟲
Bashkirian Fusulini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Yobong Formation, Yeongweol Coalfield, Korea
1984.12
4
345-359 (15)
이창진
이 부분의 본문은
요봉층 입니다.
영월탄전 지역 요봉층 에서 산출된 방추충 화석
21권
三寶鑛山產 主鑛石鑛物의 物性研究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Ore Minerals from the Sambo Lead-Zinc-Barite Mine
1985.3
1
1-25 (25)
박맹언, 성우현, 최상훈
경기도 남양군 봉담읍 에 소재한 삼보 연-아연-중석광상
白堊紀 慶尙盆地의 堆積과 그의 層序分類와의 聯關性
Sediment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tratigraphic Classification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1985.3
1
26-37 (12)
최현일
경상 누층군 의 층서와 퇴적 구조
梁山斷層의 活性問題에 關하여
On the Seismic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1985.3
1
38-44 (7)
이기화
양산 단층 의 활동성과 관련하여, 김성균과 조동행(1984)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남한 강원도 평창 삼방산 지역에 분포하는 삼방산층에서 산출된 삼엽충화석군
Trilobites from the Sambangsan Formation in the eastern side of the Pyeongchang Area, Kangweon-Do, South Korea
1985.3
1
45-49 (5)
김인석, 정창희 , 이하영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 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 의 삼엽충 화석의 보고
釜山 影島一帶의 球狀호온펠스에 對한 硏究
Orbicular Hornfelses from the Yeongdo District, Pusan, Korea
1985.3
1
50-62 (13)
김형식, 김영균, 정호종, 김항묵
부산광역시 영도 지역의 응회암질 지층에서 발견된 구상(球狀) 혼펠스
南韓에 분포되어 있는 白堊紀 花崗岩類의 化學組成과 造構造環境에 對하여
A Relationship between Tectonic Setting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Southern Korea
1985.6
2
67-73 (7)
진명식
한반도 남부 경상 분지 에 분포하는 백악기 ~제3기 화강암 에서 13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 마그마가 진화하는 동안 지각 의 두께는 30 km 내외
한국 주변 지역의 地熱流量과 換算地熱流量에 관하여
On the Regional Heat Flow around Korea and Reduced Heat Flow
1985.6
2
74-78 (5)
한욱, David S. Chapman
한국의 지열류량의 상승현상은 지표에 분포하는 방사능 과 관련 있음
梁山斷層地域의 地球物理學的 硏究 (II)
A Geophysical Study of the Yangsan Fault Area (II)
1985.6
2
79-89 (11)
이기화, 정봉일, 김영화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에서 중력, 지전기, 방사능 탐사를 실시하였고 양산 단층 의 존를 확인하였다.
韓國 東南部에 分布하는 白堊紀 彥陽 및 楡川花崗岩의 地化學的 硏究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Eonyang and Yoocheon granites in the Southeastern Korea
1985.6
2
90-108 (19)
홍영국
경상 분지 에 분포하는 백악기 언양 화강암 및 유천 화강암의 지화학, 원소 함량
洪城一帶의 重力探査
A Gravity Survey of the Hongsung Area
1985.9
3
127-132 (6)
이기화, 장태우
홍성군 홍성읍 일대에서 중력 탐사를 실시한 결과 홍성읍 을 통과하는 동북동 주향의 단층 이 발견되었다. 중력 이상은 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며 단층 지역의 쇄설성 퇴적물은 40 m 깊이까지 연장된다.
全南 靈光 附近 花崗石 mylonite 微構造의 順次的 發達
Sequential Development of the Microstructures of Granite Mylonite in the Vicinity of Yŏngguang-ŭp, Chŏllanam-do
1985.9
3
133-146 (14)
장태우
영광군 영광읍 부근 쥐라기 화강암체 내 발달한 연성 전단대에서 발견된 압쇄암(Mylonite)
조선누층군 상부 캠브리아계 화절층 Rhythmite의 성인
Genesis of the Rhythmite of Upper Cambrian Hwajeol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1985.9
3
184-195 (12)
박병권
이 부분의 본문은
화절층 입니다.
조선 누층군 화절층 상부에 발달하는 리듬암(rhythmite)의 특성과 성인(成因)
강원도 長省의 朝鮮系 막골層에서 산출되는 蒸發殘留岩 광물의 캐스트
Evaporite Mineral Casts in the Maggol Formation(Ordovician), Jangseong, Kangweondo
1986.1
4
219-226 (8)
백인성
이 부분의 본문은
막골층 입니다.
태백시 장성동 조선 누층군 막골층 상부에서 발견된 증발잔류암의 캐스트
韓半島의 地震危險度에 關한 硏究 (I)
Studies on the Seismic Risk of the Korean Peninsula (I)
1986.1
4
227-240 (14)
이기화, 이민성, 권병두, 양우선
서기 2년부터 1982년까지 한반도와 그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MM 진도 V 이상의 923개 지진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중부 캠브리아계 조선 누층군 세송스레이트층의 퇴적환경 : 고기 해저 선상지 퇴적층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Cambrian Sesong Slate Formation, Joseon Supergroup, Korea: and ancient submarine fan deposits
1986.1
4
241-259 (19)
박병권, 오재경, 윤호일
이 부분의 본문은
세송층 입니다.
조선 누층군 세송층 의 암상과 퇴적환경
한반도 남부의 제4기 화산암류와 이들의 tectonic한 환경
Study on the Quaternary Volcanics and their Tectonic Environment of Southern Korea
1986.1
4
260-280 (21)
이민성, 전용원
한반도 추가령 구조곡 , 울릉도 , 제주도 지역 제4기 화산암 의 화학조성 및 마그마 발생 심도
韓國 東南海岸과 그 海域에서의 白堊紀-新第三紀 層序變移와 慶尙堆積 以後의 造構造的 發展
Cretaceous/Neogene Stratigraphic Transition and Post-Gyeongsang Tectonic Evolution Along and off the Southeast Coast,, Korea
1986.1
4
281-296 (16)
최현일, 박관순
한반도 남동부 해안과 연근해역에서의 제3기 층서, 지질구조
22권
한반도 지각의 진화에 관한 연구 : 태백산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 I 편: 삼척탄전 동부의 층서, 고생물 및 지질구조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stern part of Mt. Taebaeg Area : Part I: Stratigraphy, Paleontology and the Geologic Structure in the Ea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1986.3
1
21-39 (19)
김봉균, 정창희 , 백광호, 김정환, 김정률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 에서 발견된 두족류 화석과 도계 지역의 지질구조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성분
Carbon and Oxygen Isotopic Composition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3
1
40-52 (13)
박병권, 우경식
풍촌 석회암층 탄산염암의 탄소, 산소 동위원소 값과 퇴적 환경
江原道 寧越-平昌間에 分布하는 三方山層과 이에 隣接한 堆積層의 堆積,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Sedimentological, Stratigraphical and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Sambangsan Formation and Its Adjacent Formations in the Yeongweol-Pyeongchang Area, Kangweondo
1986.3
1
69-86 (18)
이하영, 유강민, 이종덕
조선 누층군 삼방산층 의 암상과 화석
慶北 富邱地域 花崗片麻巖內의 地下水 流動
The Flow of Ground Water in Granite Gneisses of the Buku Area, Korea
1986.3
1
87-100 (14)
김영기, 성익환
울진군 부구리 화강편마암 내 지하수 유동 상태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의 미량 원소
Trace Elements of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6
2
105-122 (18)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의 미량원소 함량과 퇴적환경
聞慶炭田 鳥井山一帶의 地質構造
Structures of the Ojeongsan Area, Mungyeong Coalfield, South Korea
1986.6
2
135-145 (11)
김정환
문경탄전 오정산 하부의 스러스트 단층
韓半島의 地震活動(I) : 洪城一帶의 地震活動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I) : Seismicity of the Hongsung Area
1986.6
2
164-175 (12)
이기화, 정봉일, 김광호
중부 캠브리아기 우이드 여울 퇴적층 : 풍촌석회암층 하부의 어란상 탄산염암
Middle Cambrian Ooid Shoal Deposits: The Oolitic Carbonate Rocks of Lower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6.9
3
183-199 (17)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의 어란상 탄산염암
慶尙盆地 南西部 新洞層群 砂岩에 대한 岩石學的 硏究
Sandstone Petrology of the Sindong Group,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1986.9
3
212-223 (12)
최현일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낙동층 , 하산동층 , 진주층 )의 사암 의 유형과 퇴적물 공급지, 구성 광물
洛東層群의 起源岩에 關한 硏究
Study on the Source Rocks of the Nagdong Group
1986.9
3
233-256 (24)
고인석
경상 누층군 낙동층군(낙동층 , 하산동층 , 진주층 , 칠곡층 )의 기원암
三陟-竹邊 一帶 先캠브리아紀 片麻岩類에 關한 變成岩石學的 硏究
Metamorphic Petrology of Precambrian Gneisses in Samcheok-Jukbyeon Area
1986.9
3
257-277 (21)
이상만, 김형식, 오인석
삼척시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의 변성시기, 암석화학
韓國產 玉에 對한 鑛物學的 및 寶石學的 硏究
A Mineralogical and Gem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Korean Jade from Chuncheon, Korea
1986.9
3
278-288 (11)
김수진, 이동진, 장세원
춘천시 옥 에 대한 광물학, 화학, 보석학적 연구
23권
풍촌석회암층 내에 협재된 캠브리아기 조간대 이암층
Cambrian Peritidal Mudstone Deposits Interbedded in the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3
1
60-66 (7)
박병권, 한종환,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하부에 협재된 이암 의 화학성분과 퇴적환경
중부 캠브리아계 풍촌석회암층에 함유된 적색 이질 성분의 기원
Origin of Red Argillaceous Composition in the Middl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6
2
97-108 (12)
박병권, 한상준
下部 慶尙層群에 發達하는 分離面의 特性 硏究
Mechanical Properties of Discontinuous Rocks in Lower Kyeongsang Group
1987.6
2
120-135 (16)
김영기
경상 누층군 하부에 발달하는 불연속면(절리 )의 연구
三陟炭田 黃池一帶의 地質構造硏究
Structural Analysis of Hwangji-area, Samcheog Coalfield, Korea
1987.6
2
136-144 (9)
김정환, 원종호
삼척탄전 태백시 황지동 지역의 지질구조(혈암, 황지, 서북 스러스트 단층)
江原道 銅店斷層 東部에서의 先캠브리아-캠브리아系의 境界
The Precambrian-Cambrian Boundary in the East of the Dongjeom Fault, Gangweon-do, Korea
1987.6
2
145-158 (14)
김정률, 정창희
이 부분의 본문은
면산층 입니다.
태백시 동점 단층 동부에서 선캄브리아기 암석과 캄브리아기 조선 누층군 사이에 있는 면산층 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忠州一圓 滑石鑛床의 成因에 關한 巖石學的 硏究 : 原岩의 종류 및 成因
Origin of Talc Deposit in the Chungju Area: Origin and Types of Initial Rocks and their Origin
1987.6
2
173-188 (16)
이종혁
충주시 옥천 누층군 증평층 내 활석 광상의 원암과 성인
풍촌석회암층 상부의 중부 캠브리아계 탄산염 초 전사면 퇴적층
Middle Cambrian Carbonate Fore-reef Slope Deposits of the Upp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9
3
195-215 (21)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의 암상과 퇴적 환경 해석
韓半島의 地震危險度 分析
An Analysis of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1987.9
3
229-241 (13)
경재복, 이기화
지진의 분포는 지체구조구의 경계와 지체구조구 내에 발달한 단층 들과 연관된다.
韓半島의 地震活動: 3. 京畿陸塊의 地震活動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 3. Seismicity of the Kyeonggi Massif
1987.9
3
257-276 (20)
이기화, 권병두, 장태우
경기 육괴 지역에서의 지진 활동
浦項地域에 分布하는 新第三紀 延日層群의 有機地球化學的 硏究
Organic Geochemical Study of the Neogene Yeonil Group in Pohang Area, Korea
1987.9
3
277-284 (8)
송요헌, 장호완, 곽영훈
포항 분지 신생대 연일층군 의 유기물질과 석유 부존 가능성 연구
南韓에서의 祥原系 分布와 그 意義
G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Sangwon System in South Korea
1987.9
3
285-286 (2)
원종관, 나기창, 이문원
철원군 김화읍 암정리와 백령도 에서 발견된 선캄브리아기 변성퇴적암 상원계
중부 캄브리아계 초 후사면 퇴적층 : 하부 풍촌석회암층에 협재된 탄산염 퇴적층
Middle Cambrian Back-Reef Deposits: Carbonates Interbedded in the Lower Part of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Korea
1987.12
4
287-305 (19)
박병권, 한상준
조선 누층군 풍촌 석회암층 의 탄산염 각력암층의 암상과 퇴적 환경
태백시 동점역부근의 하부 오오도비스기 두무골층의 퇴적학 예비연구
Sedimentology of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in the Vicinity of the Dongjeom Station, Taebaeg City: a preliminary study
1987.12
4
331-337 (7)
이용일, 최덕근
조선 누층군 두무골층 의 암상과 퇴적환경
南韓의 白堊紀~第三紀 火成活動과 地構造的 意義
Igneous Activities of the Cretaceous to the Early Tertiary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in South Korea
1987.12
4
338-359 (22)
이상만, 김상욱, 진명식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 류의 분출 및 관입이 백악기 초(120 Ma)에 시작되어 제3기 초까지 단속적으로 진행되었고 이때 한반도 와 일본 열도 는 인접해 있었으며 마그마의 형성 심도는 180~260 km, 침강하는 해양 지각의 경사는 30°정도이다.
백운산 향사지역 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계 막골층의 퇴적환경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Middle Ordovician Maggol Formation, Southern Part of the Baegunsan Syncline Area
1987.12
4
360-373 (14)
백인성
이 부분의 본문은
막골층 입니다.
조선 누층군 막골층 의 암상과 화학, 퇴적 환경
太白市 一帶 斗圍峰層(오오도비스系)의 介形蟲 群集
Ostracodes from the Duwibong Formation (Ordovician) in Taebaek City, Korea
1987.12
4
374-380 (7)
백광호, 김봉균, 정창희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 에서 발견된 개형충 군집화석의 기재
구룡포에 분포하는 진주암의 생성과 변질작용
Formation and Alteration of Perlite in Guryongpo Area
1987.12
4
381-390 (10)
원종관, 노진환, 이문원
포항시 구룡포 지역에 분포하는 진주암(眞珠岩, perlite)
24권
九龍浦地域에 分布하는 新生代 火山岩의 地質과 岩石學的 硏究
Geology and Petrology of Volcanic Rocks in Guryongpo, Korea
1988.3
1
1-15 (15)
이문원, 원종관, 백광호, 노진환
구룡포 지역 화산암류의 지질, 광물조성, 절대연령측정, 고지자기 측정
韓國 浦項盆地 新第三紀層의 硏究 - 堆積岩石學的, 古生物學的 및 鑛物學的 硏究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Neogene Deposits in the Pohang Basin, Korea: With Emphasis on Sedimentological, Paleontological and Mineralogical Studies
1988.3
1
16-30 (15)
이유대, 이재영, 이영길
포항 분지 사암 의 광물조성과 퇴적 환경, 규조 화석
경주 남쪽을 중심으로 한 양산단층의 구조에 관한 지전기학적 연구
A Geoelectric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outh of Kyeongju
1988.3
1
47-61 (15)
김영화, 이기화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언양읍 간 양산 단층 의 조사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 (I)
1988.3
1
62-70 (9)
이기화, 노명현
한국의 지진 위험도 평가
상동지역 금천층의 코뉴라리드
A Conulariid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Sangdong Area, Korea
1988.6
2
87-92
최덕근
이 부분의 본문은
금천층 입니다.
평안 누층군 금천층 의 암회색 셰일 에서 발견된 한국 최초의 코뉴라리드 화석 Paraconularia geumcheonensis
경북 감포지역 제3기층에 산출되는 불석광물 및 점토광물의 산상 및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Zeolites and Clay Minerals from the Tertiary Rocks in the Gampo Area, Kyeongbuk
1988.6
2
105-112 (8)
황진연
경주시 감포읍 제3기 지층에서 산출되는 변질광물의 광물과 성질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95194 해남 백악기 우항리층의 비투멘(II) : 오조커라이트의 생성 및 이동에 관하여
The Bitumen of th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II) : On the Generation and Migration of the Ozocerite
1988.6
2
113-126 (14)
김홍렬, Alan Cook
우항리층의 역청(bitumen)
부산지역 백악기 다대포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 그의 층서적, 지구조적 의의
Palaeomagnetism of Cretaceous Tadaepo Formation, Pusan Area: Its Stratigraphic and Tectonic Significances
1988.9
3
211-233 (23)
김인수
경상 누층군 다대포층 의 고지자기를 조사하고 다대포층 이 유천층군이 아니라 하양층군에 대비된다고 주장
태백시남부에 분포하는 중부 오오도비스기 두위봉층의 폭풍의 퇴적작용
Storm Sedimentation in the Middle Ordovician Duwibong Formation, Southern Taebaeg City
1988.9
3
234-242 (9)
이용일
조선 누층군 두위봉층 의 폭풍하 퇴적작용
華山 環狀火成岩複合體의 發達史 및 콜드른構造
Development and the Structure of Its Cauldron of the Hwasan Ring Igneous Complex, Northern Kyeongsang Basin, Korea
1988.9
3
267-288 (22)
윤성효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영천시 화산면 화산 칼데라의 발달 역사와 지질구조
동점지역 두무골층(하부 오오도비스계)의 무척추동물 화석
Invertebrate Fossils from the Dumugol Formation (Lower Ordovician) of Dongjeom Area, Korea
1988.9
3
289-305 (17)
최덕근, 이용일
태백시 구문소 인근 두무골층에서 산출된 12종의 무척추동물 화석
25권
黃江里層의 石灰質礫에서 산출된 微化石과 그의 層序的 意義
Discovery of Microfossils from Limestone Pebbles of the Hwanggangri Formation and their Stratigraphic Significance
1989.3
1
1-15 (15)
이재화, 이하영, 유강민, 이병수
옥천 누층군 황강리층 에서 발견된 오르도비스기 화석군
韓半島 金-銀 熱水 鑛床의 地化學的 硏究 : 楊東地域 鑛化帶
Geochemical Studies of Hydrothermal Gold-Silver Deposits, Republic of Korea : Yangdong Mining District
1989.3
1
16-29 (14)
소칠섭, 윤성택, 치세정
양평군 양동면 양동 금-은광상의 지질, 광물, 광화작용
치술령지역의 화성암류와 광화작용시기 - 유천층군의 화산활동시기에 대한 고찰
The Age of Granitoid Intrusions and Related Mineralisation in the Chisulryoung Mountain Area, South-East Korea : Constraints on the Age of the Chisulryoung Volcanic Formation and Yucheon Group Volcanism
1989.3
1
51-58 (8)
Antony John Reedman, 박기화, Jane Alison Evans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치술령 화산암에 대한 지질과 칼륨-아르곤 연대 측정 및 화산작용 시기
한반도 지진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II)
A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Seismic Risk in Korea(II)
1989.3
1
59-71 (13)
이기화, 진영근
한국의 지진 위험도의 확률론적 분석
聞慶炭田 北部地域의 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Mungyeong Coalfield, Korea
1989.3
1
72-81 (10)
김정환, 기원서, 김일석
문경탄전 북부지역 지질구조와 부운령 역암층의 분포
삼척군 대이리 동굴군의 관음굴과 환선굴내에 발달한 동굴생성물의 초기 광물성분과 탄산염 속성작용에 관한 연구
Original Mineralogy and Carbonate Diagenesis of Speleothems in Kwanum and Hwansun Cavern, Kangweondo, Korea: Preliminary Results
1989.3
1
90-97 (8)
우경식, 원종관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관음굴과 환선굴의 동굴생성물(종유석, 동굴산호)의 구분
濟州島 地下水의 水質特性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Cheju Island
1989.9
3
230-238 (9)
최순학, 김영기
제주도 지하수 의 지질과 특성
영동분지(백악기)내의 영동단층대 주변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Yongdong Fault Zone in Cretaceous Yongdong Basin, Korea
1989.9
3
259-272 (14)
이동우, 백광호
홍천철광상의 성인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ies on the Genesis of the Hongcheon Iron Deposits, Korea
1989.9
3
239-258 (20)
이종혁, 이상헌
어일분지일대에 분포하는 제 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Palaeomagnetism of Tertiary Rocks in the ?il (Eoil) Basin and its Vicinities, Southeast Korea
1989.9
3
273-293 (21)
김인수, 강희철
포항-울산지역 제3기 퇴적분지에서 보고된 잔류자기의 시계방향 편향
沃川褶曲帶 南西部의 剪斷帶에 分布하는 淳昌葉狀 花崗閃綠岩의 地化學 및 微構造硏究
Geochemical and Microstructural Studies on the Sunchang Foliated Granodiorite at a Shear Zone in the SW Part of the Ogcheon Fold Belt, Korea
1989.9
3
294-311
홍국영, 이병주
남원시 -순창군 호남전단대에 발달하는 엽리상 화강섬록암의 압쇄암과 화학, 호남전단대의 연성전단 운동 시기
江原道 太白市 北部地域의 上部 花折層(上部 캄브리아-最下部 오오도비스系)에서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Conodonts from the Upper Hwajeol Formation (Upper Cambrian-Lowest Ordovician) in Northern District of Taebaeg City, Kangweon-Do, Korea
1989.9
3
322-336 (15)
이병수
이 부분의 본문은
화절층 입니다.
태백시 북부 하사미동 상부 화절층 의 코노돈트 화석과 생층서
강원도 영월 마차리부근 하부 오도비스기 문곡층에 발달된 폭풍퇴적층
Storm Deposits of the Lower Ordovician Mungog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Machari, Yeongweol, Kangweondo, Korea
1989.9
3
337-346 (10)
백인성, 이용일
이 부분의 본문은
문곡층 입니다.
조선누층군 퇴적암의 퇴적환경과 속성작용 : 과거, 현재와 미래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Diagenesis of the Sedimentary Rocks, Choseon Supergroup, Korea : Past, Present, and Future; the State of the Art
1989.9
3
347-363 (17)
우경식, 박병권
조선 누층군 의 퇴적학적 연구. 기존 논문의 문제점으로 속성 작용 연구의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