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의 교통표지

애버딘 터널의 교통 표지판

홍콩의 교통표지(중국어 정체자: 交通標誌, 월병: gaau1 tung1 biu1 zi3)는 홍콩의 도로 이용자에게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판이다. 이들은 교통부에서 공식화되었으며,[1][2] 이들의 스타일은 주로 도로 표지판 및 신호 회의(道路標示及燈號會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설명

2015판 교통표지

홍콩의 교통 표지판은 주로 영국 형식을 따르며, 《교통 계획 및 설계 매뉴얼(중국어: 運輸策劃及設計手冊, 영어: Transport Planning and Design Manual)》에 기록되어 있다. 영어 글꼴은 전용 트랜스포트를 사용한다. 2010년대에는 헬베티카에어리얼이 가끔 사용되었다. 로고는 홍콩의 공식 언어인 중국어(정체자)와 영어를 사용하며, 영어가 보통 맨 위에 표시된다.

단위

홍콩의 교통표지는 일찍이 영국의 방식을 따라 마일(Mile, 哩), 피트(Feet, 呎), 인치(Inch, 吋) 등의 제국 단위계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홍콩 영국 정부는 홍콩을 세계와 접목시키기 위해 생산 업계에서 "미터법 단위"가 성행하여 1976년에 《십진법 조례(十進制條例)》를 공포하고 "홍콩 법률에 사용되는 비10진법 단위는 결국 국제단위계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1984년 8월 25일부터 3일간의 공휴일 동안 운수부(運輸署)는 홍콩 전역의 속도 제한 표지를 미터법 단위로 교체했다. 공사 기간 동안, 홍콩 전역의 도로(튄먼 공로, 둥구 주랑(東區走廊) 등 고속도로 포함)의 최고 속도는 시속 50km로 감소하여 도로 번호판 교체 시 혼란을 방지하였다. 미터 단위로 교체된 제한 속도 표지판에는 "km/h"라고 적혀 있어 이를 식별한다. 결국, 이러한 '과도한 성격의 도로표지판'은 2001년에 간소화를 이유로 점차 'km/h'라는 단어를 삭제했다.

경고표지

경고표지(警告標誌)는 앞에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표지판으로, 대부분은 빨간색 테두리와 흰색 배경의 삼각형 표지판이다.[2]

지령표지

지령표지(指令標誌)는 "한제표지(限制標誌)"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규정, 금지 또는 제한을 나타내는 모든 표지판이 포함된다. “정지(停)”와 “양보(讓路)” 표지판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둥글거나 사각형이다.[3] 금지표지(禁制標誌)는 일반적으로 빨간색 테두리로 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특정 행위를 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강제성표지(強制性標誌)는 일반적으로 파란색 배경으로 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표지판의 지시를 따라야 함을 나타낸다.

임시표지/공사표지

임시표지(臨時標誌)는 건설이 진행 중일 때 사용되며, 빨간색 배경에 흰색 문자가 있는 사각형 형태가 대부분이다.[4]

제시표지

반사소재를 활용한 거리표지판

제시표지(提示標誌)는 파란색 배경에 흰색 글씨로 도로 이용자에게 도로 방향과 안내를 알려준다.[5]

이전표지

워보이스 위원회 이전

각주

  1. “運輸署 - 第八章道路語言”. 2017년 5월 23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보관됨 2017-05-23 - 웨이백 머신
  2. “運輸署 - 警告標誌”. 2017년 6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보관됨 2017-06-16 - 웨이백 머신
  3. “運輸署 - 指令標誌”. 2017년 6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보관됨 2017-06-16 - 웨이백 머신
  4. “運輸署 - 臨時標誌”. 2017년 6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보관됨 2017-06-16 - 웨이백 머신
  5. “運輸署 - 提示標誌”. 2017년 6월 16일에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5일에 확인함.  보관됨 2017-06-16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