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정성
확정성(確定性) 또는 확실성(確實性)은 오류로부터 완전한 보증을 가지고 있거나, 의심의 여지 없이 존재하는 정신 상태를 가진 완전한 지식이다. 실제 세계에 대한 확정성을 구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실패한 활동이라고 널리 평가된다.[1] 이는 대부분 데이비드 흄의 귀납의 문제가 가진 힘에서 기인한다.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는 실세계에서 확정성은 불필요하거나 때로는 해롭기까지 하다고 덧붙인다. (모든 결함으로부터의 완전한 보증이라는 개념은 불가능하며, 완전한 의심의 결여는 부당하다.)[2] 역사피론피론은 최초의 회의주의 철학자로 평가된다. 피론 사상의 주된 원리는 아카탈렙시아로 표현된다. 아카탈렙시아는 어떤 것의 진리와 연관된 독단으로부터 판단을 유보하는 능력을 말하며, 반박이 동등한 판단으로 발전될 수 있는 주장에 대해서 반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서는 지적으로 의심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거나, 티몬이 말한 것 같이, 판단을 하지 않는 것이 다른 것보다 나을 수도 있다. 데카르트르네 데카르트는 《제1철학에 관한 성찰》에서 완전히 확실하지 않은 것에 대한 모든 믿음을 폐기하였으며, 완전히 알 수 있는 것을 세우려고 하였다. 코기토 에르고 숨이라는 구절은 데카르트의 《성찰》에서 처음 쓰였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이 구절은 《방법 서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술어에서 결론을 추론해야 하는 함축성 때문에 데카르트는 이 명제를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로 더 명확하게 바꾸었다. 이 구절은 데카르트의 제1 명제가 되었다. 비트겐슈타인《확정에 대하여》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죽기 직전에 작성된 일련의 노트이다. 이 저작의 주제는 인식론에서 문맥이 어떤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이 책 전반에서 반기초주의적인 주장을 하였다. 즉, 모든 주장은 의심될 수 있으나 틀 안에서 확정성은 가능하다는 것이다. "[명제가] 언어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경험적인 명제가 말이 되는 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3] 인용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