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늑대는 현재 딩고와 개를 포함해 39개의 아종이 있으며, 북반구에 특히 많은 늑대 아종이 분포하고 있다. 승명아종으로는 유라시아늑대가 있다.
늑대는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서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서식지, 안정적인 종 개체수이나 세계적인 범위를 거의 충족시켰으나 완벽하지는 못하여 멸종위기종 등급 분류에서 관심 대상종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개체는 멸종 위기로 평가되며[1] 몇몇 아종은 멸종 위기거나 이미 멸종되었다.
생물학적 생물 분류는 고정되지 않은 채 있으며 현재 분류들의 배치는 새로운 연구가 나올 때마다 바뀌고 있다. 현재 늑대의 아종 분류는 다음과 같다. 또한, 지금은 중복되었거나 잘못된 법칙으로 폐기되었거나, 개와 같은 종일 경우, 이전 종이 개로 편입되었을 경우, 종 자체가 분리되었을 경우에도 실었다. 보통 부르는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은 의미가 정해져 있지 않다.
지리적 변화
늑대는 그들끼리 교배는 가능하지만 지역별로 큰 다형성을 보여준다. 한 예로, 런던 동물원은 성공적으로 수컷 유라시아늑대와 암컷 인도늑대를 교배시켰다.[2]
유럽
유럽늑대는 미국늑대보다 털이 부드럽고 덜 거친 털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더 좁고, 귀는 더 길며 높고 서로 가까이 자리잡고 있다. 허리는 더 얇고, 다리는 더욱 길고, 발이 좁고 꼬리가 더욱 얇다.[3] 유럽늑대의 털 색은 흰색, 크림색, 빨간색, 회색, 검정 등 넓은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이 색상들이 결합하기도 한다. 중앙유럽의 늑대는 북유럽의 늑대보다 더욱 색이 풍부한 경향이 있다. 동유럽 늑대는 북러시아의 늑대보다 털이 더욱 짧고 많이 구축된 경향을 보인다.[4]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늑대는 유럽늑대와 크기가 같지만, 더 짧은 다리, 크고 둥근 머리, 넓고 뭉툭한 턱, 코의 연결 부분이 오목한 편이며, 아치형의 넓은 이마를 가지고 있다. 귀는 짧고 원뿔 형태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같은 유럽늑대와 달리 앞다리에 검은색 점이 적다. 이들 늑대는 길고 부드러운 털과 짧고 털복숭이이며 강한 털이 섞여 있다.[3] 미국늑대의 털 색은 흰색, 검정, 빨강, 노랑, 갈색, 회색 빛을 띄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 지역에 따라 가지고 있는 색조가 있지만 대부분 어두운 계열의 색을 가지고 있다. 북미의 다른 지방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텍사스와 뉴멕시코 주의 늑대는 작은 이빨을 가진 비교적 작은 동물이다.[5] 특히 멕시코늑대는 넓은 머리, 두꺼운 목, 긴 귀와 짧은 꼬리 등 일부분에 유럽늑대를 닮은 부분이 있다.[6] 로키산맥과 중앙 해안늑대 등 북부의 늑대는 남쪽의 대평원늑대보다 더 강력하고 크기 비율이 러시아와 스칸디나비아 늑대와 유사하다.[5]
보통 어깨 크기가 52-60cm이고 꼬리에서 코까지의 길이가 117-124cm이다. 무게는 약 13-20kg이다.[30] 이 종은 야생으로 개의 후손이지만, 이 범위를 뛰어 넘는 야생동물이 되었다. 털 색은 대부분 불그스레한 갈색이지만, 황갈색의 패턴과 검정, 밝은 갈색, 흰색도 볼 수 있다.[31]
늑대보다 20% 작은 두개골과 30% 작은 뇌를 갖고 있으며,[33] 다른 늑대 아종보다 비례적으로 치아가 작으며[34] 개의 발은 늑대의 절반 크기이며 꼬리가 위쪽으로 올라가는 다른 늑대 아종에서 찾을 수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16]
인간의 품종개량으로 인해, 개는 다양한 수백 가지의 품종을 갖고 있으며 다른 인간과 함께 사는 포유류보다 행동 및 형태학적 변화가 두드러진다.[35] 예를 들어, 체고가 약 15cm인 치와와부터 약 1m의 아이리시 울프하운드까지 다양하다. 털 색은 일반적으로 회색(일반적으로 blue(블루)라고 부름)부터 검정, 밝은 갈색부터 어두운 갈색까지 다양한 색과 패턴이 존재한다. 털은 짧거나 길 수 있으며, 늑대같이 거친 털을 가지거나, 직모이거나, 매끄럽거나, 곱슬거릴 수 있다.[36] 대부분의 개 품종은 털갈이를 한다.
전 세계
aegyptius (Linnaeus, 1758), alco (C. E. H. Smith, 1839), americanus (Gmelin, 1792), anglicus (Gmelin, 1792), antarcticus (Gmelin, 1792), aprinus (Gmelin, 1792), aquaticus (Linnaeus, 1758), aquatilis (Gmelin, 1792), avicularis (Gmelin, 1792), borealis (C. E. H. Smith, 1839), brevipilis (Gmelin, 1792)
cursorius (Gmelin, 1792)
domesticus (Linnaeus, 1758)
extrarius (Gmelin, 1792), ferus (C. E. H. Smith, 1839), fricator (Gmelin, 1792), fricatrix (Linnaeus, 1758), fuillus (Gmelin, 1792), gallicus (Gmelin, 1792),
glaucus (C. E. H. Smith, 1839),
graius (Linnaeus, 1758),
grajus (Gmelin, 1792),
hagenbecki (Krumbiegel, 1950),
haitensis (C. E. H. Smith, 1839),
hibernicus (Gmelin, 1792),
hirsutus (Gmelin, 1792),
hybridus (Gmelin, 1792),
islandicus (Gmelin, 1792),
italicus (Gmelin, 1792),
laniarius (Gmelin, 1792),
leoninus (Gmelin, 1792),
leporarius (C. E. H. Smith, 1839),
major (Gmelin, 1792),
mastinus (Linnaeus, 1758),
melitacus (Gmelin, 1792),
melitaeus (Linnaeus, 1758),
minor (Gmelin, 1792),
molossus (Gmelin, 1792),
mustelinus (Linnaeus, 1758),
obesus (Gmelin, 1792),
orientalis (Gmelin, 1792),
pacificus (C. E. H. Smith, 1839),
plancus (Gmelin, 1792),
pomeranus (Gmelin, 1792),
sagaces (C. E. H. Smith, 1839),
sanguinarius (C. E. H. Smith, 1839),
sagax (Linnaeus, 1758),
scoticus (Gmelin, 1792),
sibiricus (Gmelin, 1792),
suillus (C. E. H. Smith, 1839),
terraenovae (C. E. H. Smith, 1839),
terrarius (C. E. H. Smith, 1839),
turcicus (Gmelin, 1792),
urcani (C. E. H. Smith, 1839),
variegatus (Gmelin, 1792),
venaticus (Gmelin, 1792),
vertegus (Gmelin, 1792)/small>[37]
이 종은 보통 약 31-61kg으로 회색늑대의 아종 중 매우 큰 종 중 하나이다.[43] 이 늑대는 남쪽에 서식하는 남부록키산늑대보다 밝은 색상을 띄며, 털은 훨씬 더 흰색과 작은 검은색을 가지고 있다. 보통 이 아종은 검정과 밝은 색이 번갈아가며 섞여 있다.[41][44]
이탈리아늑대(Canis lupus italicus)와 이베리아늑대(Canis lupus signatus) 두 종은 위 목록에 언급되지 않은 종이다. 이 이베리아와 이탈리아 반도의 늑대는 형태학적으로 독특한 기능을 갖고 있으며, 연구자들은 기타 유럽늑대와 종을 대표하는 늑대로 생각하고 있다.[55][56][57]
이탈리아늑대의 유전적 차이는 최근 모든 늑대 유전형에서 이탈리아 하나의 그룹과 비교한 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고유의 하플로타입을 갖고 있으며, 개체의 대립 형질이 없고 다른 늑대 연구에 비해 미소부수체의 궤적 연구에서 낮은 이형접합자가 보였다.[58]
최근의 유전자 연구에서는 인도 아대륙의 인도늑대 개체가 독특한 동종의 개체로 나타낼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다. 비슷한 결과로 히말라야늑대와 전통적으로 그의 하위 종으로 분류하는 티벳늑대(Canis lupus filchneri)가 있었다.[59]
↑The Living Age, published by Littell, Son and Co., 1851
↑ 가나Richardson, J., Swainson, W., Kirby, W. (1829) Fauna Boreali-americana, Or, The Zoology of the Northern Parts of British America: Containing Descriptions of the Objects of Natural History Collected on the Late Northern Land Expeditions, Under Command of Captain Sir John Franklin, R.N. J. Murray, London book preview
↑《Hutchinson's animals of all countries: the living animals of the world in picture and story. Volume I》. 1923. 384쪽.
↑The Natural History of Dogs: Canidæ Or Genus Canis of Authors. Including Also the Genera Hyæna and Proteles by Charles Hamilton Smith, contributor William Home Lizars, Samuel Highley, W. Curry, Junr. & Co, Published by W.H. Lizars, ... S. Highley, ... London; and W. Curry, jun. and Co. Dublin., 1839
↑ 가나다라마바Mammals of the Soviet Union Vol.II Part 1a, SIRENIA AND CARNIVORA (Sea cows; Wolves and Bears), V.G Heptner and N.P Naumov editors, Science Publishers, Inc. USA. 1998. ISBN1-886106-81-9
↑ 가나"Green Fire" Returns to the Southwest: Reintroduction of the Mexican Wolf보관됨 2012-03-05 - 웨이백 머신- Author(s): David R. Parsons. Source: Wildlife Society Bulletin, Vol. 26, No. 4, Commemorative Issue Celeb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A Sand County Almanac" and the Legacy of Aldo Leopold (Winter, 1998), pp. 799–807. Published by: Allen Press
↑"Bernard, P. and J.",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by Bo Beolens, Michael Watkins and Michael Grayson, JHU Press, 2009, Pg. 40
↑Fleming, Peter; Laurie Corbett, Robert Harden, Peter Thomson (2001). 《Managing the Impacts of Dingoes and Other Wild Dogs》. Commonwealth of Australia: Bureau of Rural Sciences.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변수를 사용함 (도움말)
↑Serpell, James (1995). 《The Domestic Dog; its evolution, behaviour and interactions with people》.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35쪽. ISBN0-521-42537-9.
↑J. Vos: Food habits and livestock depredation of two Iberian wolf packs (Canis lupus signatus) in the north of Portugal. Journal of Zoology (2000), 251: 457-462 Cambridge University Press. online abstract
↑V. LUCCHINI, A. GALOV and E. RANDI Evidence of genetic distinction and long-term population decline in wolves (Canis lupus) in the Italian Apennines. Molecular Ecology (2004) 13, 523–536. abstract online보관됨 2012-06-04 - archive.today
↑R. K. Aggarwal, T. Kivisild, J. Ramadevi, L. Singh: Mitochondrial DNA coding region sequences support the phylogenetic distinction of two Indian wolf species.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Volume 45 Issue 2 Page 163-172, May 2007 online[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Fan, Zhenxin; Silva, Pedro; Gronau, Ilan; Wang, Shuoguo; Armero, Aitor Serres; Schweizer, Rena M.; Ramirez, Oscar; Pollinger, John; Galaverni, Marco; Ortega Del-Vecchyo, Diego; Du, Lianming; Zhang, Wenping; Zhang, Zhihe; Xing, Jinchuan; Vilà, Carles; Marques-Bonet, Tomas; Godinho, Raquel; Yue, Bisong; Wayne, Robert K. (2016). “Worldwide patterns of genomic variation and admixture in gray wolves”. Genome Research26 (2): 163–73. doi:10.1101/gr.197517.115. PMID26680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