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롯데 자이언츠 시즌

1992년 롯데 자이언츠 시즌은 롯데 자이언츠의 11번째 시즌이다. 강병철 감독이 재부임한 이후 2번째 시즌이며, 첫 부임 기간까지 합치면 7번째 시즌이다. 팀은 정규 시즌 3위에 오르며 준플레이오프에 직행했으며, 삼성, 해태, 빙그레를 잇달아 꺾고 최종 순위는 1위로 창단 두 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시즌 전 일본을 거쳐 대만까지 경유한다는 훈련 계획을 세웠으나[1] 실효가 의문시된다는 이유로 좌절됐다. 한편, 염종석이 포스트시즌에서만 2완봉승을 거두었으며[2][3] 김민호6월 16일 사직 빙그레전에서 4회말 3점홈런을 쳐 프로야구 통산 5000호 홈런 기록을 수립했고[4] 장효조8월 13일 사직 쌍방울전에서 최소타석(3606) 겸 최초 비(非)원년멤버[5] 1000안타 기록을 세운 데 이어 1달 뒤인 9월 19일 프로야구선수 최초 은퇴 기자회견을[6] 가졌다.


타이틀

  • KBO 골든글러브: 염종석 (투수), 박정태 (2루수), 박계원 (유격수), 김응국 (외야수)
  • 올스타 선정: 김민호 (1루수), 박정태 (2루수), 전준호 (외야수), 김응국 (외야수)
  • 올스타전 추천선수: 염종석, 윤학길
  • 한국시리즈 MVP: 박동희
  • KBO 신인상: 염종석
  • 컴투스프로야구 레전드 카드: 염종석, 박정태
  • 컴투스프로야구2022 타이틀홀더 라인업: 염종석 (선발투수), 박정태 (2루수)
  • 컴투스프로야구 내일은 신인왕 라인업: 염종석 (선발투수)
  • 컴투스프로야구 나때는 말이야 라인업: 이종운 (우익수)
  • 컴투스프로야구 90년대 올스타: 박정태 (2루수)
  • 컴투스프로야구 가을의 전설 라인업: 염종석 (중계투수)
  • WAR: 염종석 (7.78)
  • 2루타: 박정태 (43)
  • 3루타: 이종운 (14)
  • 희생플라이: 김응국 (15)
  • 평균자책점: 염종석 (2.33)
  • 선발승: 윤학길 (17)(이강철과 공동 1위)

퓨처스리그

  • 남부리그 출장(타자): 이종옥 (35)
  • 남부리그 타수: 이종옥 (119)
  • 3루타: 이종옥 (7)
  • 홈런: 이종옥 (6)
  • 다승: 김태석 (7)
  • 남부리그 세이브: 김태석 (3)
  • 남부리그 평균자책점: 김태석 (2.21)

선수단

여담

  • 4월 25일 해태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양 팀 합계 26개의 사사구가 나와 KBO 리그 사상 사사구가 가장 많이 나온 경기로 남았다.
  • 7월 7일에 한문연과 노상수가 구단 사상 최초의 은퇴식을 갖고 은퇴했다.
  • 당시 만 19세였던 염종석은 올스타전에 감독 추천선수로 뽑혀 등판하게 됨에 따라 KBO 리그 사상 최초로 올스타전에 등판한 10대 투수가 되었다.
  • 염종석은 KBO 리그 10대 투수 최초로 올스타전에서 무실점을 기록했다.
  • 김응국은 후반기 희생플라이 10개로 KBO 리그 역대 단일 시즌 후반기 최다 기록을 세웠다.
  • 김민호는 이 시즌에 구단 사상 최초로 롯데 자이언츠 소속으로 통산 3000타석을 달성했다.
  • 재일교포인 김행희는 이 시즌 3경기 2타석을 소화하는 데 그쳐 KBO 리그 역대 용병 야수 통산 최소 경기, 최소 타석 소화 기록을 세웠다.
  • 김응국은 이 시즌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경기에서 4 3루타를 기록하여 단일 시즌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경기에서 최다 3루타를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 염종석은 이 시즌까지 통산 13완투, WAR 7.78로 KBO 리그 역대 10대 투수 최다, 최고 기록을 세웠다.
  • 박상국은 이 시즌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경기에서 3타수 3안타를 기록하여 단일 시즌 쌍방울 레이더스와의 경기에서 최고 타율, 출루율을 기록한 선수가 되었다.
  • 염종석은 포스트시즌에서 총 4승(3선발승)으로 KBO 리그 역대 단일 포스트시즌 최다승 기록을 세웠으며, 신인상을 수상하여 팀 사상 첫 신인상의 주인공이 되었고 유일하게 단일 포스트시즌 2완봉 이상[7][8] 기록한 투수로 남았다. 또한 KBO 리그 10대 투수 중 최초로 포스트시즌에 세이브를 기록했다.
  • 이 시즌 팀은 총 62개의 3루타를 쳐 단일 시즌 팀 최다 3루타 기록을 세웠다.
  • 김민재는 이 시즌까지 공격 WAR -1.06을 기록해 KBO 리그 10대 타자 통산 최저 기록을 세웠다.
  • 박계원은 포스트시즌에서 3루타 2개를 쳐 KBO 리그 역대 단일 포스트시즌 최다 3루타 기록을 세웠다.
  • 염종석은 포스트시즌에서 4승을 기록하여 KBO 리그 역대 단일 포스트시즌 최다 승 기록을 세웠다.
  • 장효조는 이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여 KBO 리그 통산 3000타석 타자 중 처음으로 통산 3할대 타율, 4할대 출루율로 은퇴한 타자가 되었으며, 통산 wRC+ 166.7, 삼진 대비 볼넷 1.75개로 3000타석 타자 중 KBO 리그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각주

  1. “프로야구 8개球団(구단) 호화판海外(해외)전훈 계획에 눈총”. 조선일보. 1991년 12월 9일. 2021년 9월 22일에 확인함. 
  2. 이영만 강호식 (1992년 9월 26일). “廉(염)종석 큰별로 뜨다”. 경향신문.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3. 김종훈 (1992년 10월 3일). “廉(염)종석「虎打(호타)」잠재웠다”. 경향신문.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4. “金(김)민호,5000호홈런 영관”. 조선일보. 1992년 6월 17일.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5. “「불멸의 3할타자」張孝祚(장효조) 은퇴발표”. 동아일보. 1992년 9월 20일.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6. “프로야구선수로선 처음으로 은퇴기자회견을가진 張(장)...”. 경향신문. 1992년 9월 20일. 2022년 4월 16일에 확인함. 
  7. 이영만 강호식 (1992년 9월 26일). “廉(염)종석 큰별로 뜨다”. 경향신문. 2025년 4월 15일에 확인함. 
  8. 김종훈 (1992년 10월 3일). “廉(염)종석「虎打(호타)」잠재웠다”. 경향신문. 2025년 4월 15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