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기간
특이사항
- 최초로 "스타리그" 명칭을 사용한 대회이자 스타리그 중 첫 번째로 개최된 대회.
- 2000년 2월 10일 48명의 선수를 추천을 통해서 선발하고 서울의 N5 PC방에서 48강전을 치렀다.
- 48강을 치른 후 24명이 진출하여 24강전을 치러 승자 12명이 스타리그에 진출했다.
- 3전 2선승제로 경기를 치렀다.
- 지난 시즌 우승자 최진우 선수 외 4명의 시드 배정자 + 12명의 예선 통과자로 구성.
- 4강에 입상한 선수에게 다음 시즌 시드를 배정.
- 4강전 5판 3선승제로 진행
- 4강전이 3:1로 4경기 만에 끝남.
- 최초의 로열로더 탄생.(기욤패트리)
- 최초로 자체 제작맵을 대회 공식맵으로 사용.
- 최초이자 마지막으로 외국인이 우승한 스타리그.
- 투니버스에서 방송된 마지막 스타리그.
- 마지막으로 랜덤 종족이 우승한 스타리그.(기욤 패트리)
출전 선수
종족
|
명
|
이름
|
테란
|
4
|
김동구 김슬기 김정민 도진광
|
저그
|
4
|
강도경 국기봉 변성철 임정호
|
프로토스
|
4
|
김태목 유병옥 이기석 크리스토퍼
|
랜덤
|
4
|
기욤 김대기 최진우 최인규
|
16강
본경기
16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8강
본경기
8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3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6경기를 치르게 된다.
4강 ~
우승
2000 하나로통신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
기욤 패트리 (첫 번째 우승)
|
대회 결과
사용 맵 정보
종족
|
Blaze
|
Dark Stone
|
Deep Purple
|
Space Odyssey
|
Glacial Epoch
|
인원
|
4
|
4
|
6
|
4
|
4
|
P vs Z
|
0:2
|
0:1
|
5:0
|
1:2
|
2:5
|
Z vs T
|
0:2
|
5:2
|
0:0
|
0:0
|
0:0
|
T vs P
|
0:1
|
1:1
|
2:3
|
0:1
|
1:0
|
Z vs Z
|
4번
|
2번
|
0번
|
1번
|
1번
|
T vs T
|
0번
|
1번
|
0번
|
0번
|
0번
|
P vs P
|
1번
|
1번
|
1번
|
2번
|
1번
|
온게임넷 스타리그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
최초의 스타리그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2000.2.10 ~ 2000.5.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