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는 2003년에 진행된 스타리그이다.
대회 정보
- 대회 정보: 2003년 8월 1일 ~ 2003년 11월 9일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스마트폰의 시작 마이큐브
- 최초의 야구장 결승전
- 사상 첫 같은 종족간 결승전 (프로토스 VS 프로토스)
- 스타리그 최초의 8강 투어 시작
- 8강 투어 장소 : 부산 경성대학교
- 최초로 4강에 프로토스 3명 (박용욱, 강민, 박정석)
- 박용욱 역대 가을의전설중에 동족잡고 우승한 최초의 프로토스 (악마토스의 시대 개막)
- 박용욱 3번째 가을의전설 이룸 횟수로는 4번째(2000년김동수-2001년김동수-2002년박정석-2003년박용욱)
- 명경기 탄생 (임요환VS도진광 16강C조)
- 테란 4강 진출 실패
- 스타리그 엠블럼, 로고, 캐치프레이즈 도입
- 최초로 스타리그 오프닝에 선수들이 직접 등장하는 기법 도입
- 맵 이름에 스폰서 명칭 추가 - Paradoxxx (Mycube) - 최초의 본진 2가스 맵
- 결승장소 : 서울 잠실 야구장 (초대가수 : 체리필터)
예선 통과자
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장진남, 김선기
|
박정석, 도진광
|
강 민, 이주영
|
김정민, 임성춘
|
김연국, 손승완
|
정재호, 나경보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
심성수, 빅터구센즈
|
김성제, 성준모
|
이재항, 김근백
|
임균태, 주진철
|
변길섭, 신정민
|
나도현, 김경환
|
2003 1차 챌린지리그
- 24강 풀리그 방식 → 24강 원데이 듀얼방식
- 승자조 승자 (조 1위)는 듀얼토너먼트에 진출과 동시에 A조와 B조로 나눠서 더블 풀리그로 진행한다.
- 최종전 승자 (조 2위)는 듀얼토너먼트에 진출한다.
- 순위결정전에서 각 조 1위를 한 선수는 결승전(스타리그 4번 시드 결정전)에 진출한다.
- 5전 3선승제로 진행하여, 승자가 스타리그 4번 시드를 획득한다.
최종 1위 결정전
1차 듀얼토너먼트 진출자
핫브레이크 2003 1차 듀얼토너먼트
16강
출전 선수
종족
|
명
|
이름
|
테란
|
5
|
김현진 베르트랑 서지훈 이윤열 임요환
|
저그
|
6
|
박경락 박상익 장진남 조용호 주진철 홍진호
|
프로토스
|
5
|
강민 도진광 박용욱 박정석 전태규
|
본경기
16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선수당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재경기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8강
본경기
8강 조추첨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한 선수가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펼치게 되며, 한 조로 볼 때 총 여섯 경기를 치르게 된다.
재경기
상위/하위 3인의 승패가 동률인 경우에는 삼자재경기를 통해 올라갈 선수를 가리게 된다.
4강 ~
- 박경락은 박용욱과의 4강전 3세트를 테란으로 치렀다.
우승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
박용욱 (첫 번째 우승)
|
대회 결과
사용 맵 정보
종족
|
Guillotine
|
Paradoxxx_Mycube
|
Sin Gaema Gowon
|
Nostalgia
|
인원
|
4
|
2
|
4
|
4
|
P vs Z
|
3:2
|
3:0
|
4:1
|
1:2
|
Z vs T
|
1:2
|
0:2
|
1:1
|
4:2
|
T vs P
|
0:3
|
4:4
|
1:3
|
0:1
|
Z vs Z
|
0번
|
2번
|
1번
|
0번
|
T vs T
|
1번
|
0번
|
0번
|
1번
|
P vs P
|
4번
|
2번
|
3번
|
4번
|
외부 링크
온게임넷 스타리그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
2003 Mycub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2003.8.1 ~ 2003.1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