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AFC U-16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국 우즈베키스탄 개최기간 10월 4일 ~ 18일 참가팀 16개 (1개 대륙) 경기장 2개 (1개 도시) 우승 이란 (1번째 우승) 준우승 대한민국 경기 수 31경기 득점 수 113골 (경기당 3.65골) 관중 수 73,220명 (경기당 2,362명) 최다 득점 카베 레자에이 (6골)최우수 선수 이종호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은 10월 4일부터 18일]]까지 우즈베키스탄 에서 열린 13번째 AFC U-16 챔피언십 이다. 이 대회에서 준결승전에 진출한 4개 팀은 나이지리아 에서 열린 2009년 FIFA U-17 월드컵 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예선
우즈베키스탄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출전했다. 나머지 15개국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아시아 축구 연맹 (AFC)은 2008년 2월 18일에 열린 징계위원회에서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예선 도중에 실시된 자기공명영상 (MRI) 검사 결과를 통해 예선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된 이라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타지키스탄의 본선 참가 자격을 박탈하고 벌금 4,000 미국 달러 를 부과한다고 결정했다.[ 1] [ 2]
본선 조 추첨은 2008년 4월 1일에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진행되었다. A조에는 이란, 싱가포르, 우즈베키스탄, 바레인, B조에는 대한민국, 시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C조에는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오스트레일리아, 투르크메니스탄, D조에는 일본, 예멘,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가 각각 편성되었다.[ 3]
1 사우디아라비아는 예선 C조에서 1위를 차지했던 이라크 가 예선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참가 자격이 박탈됨에 따라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
2 투르크메니스탄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한 우즈베키스탄이 예선 D조에서 1위를 차지함에 따라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
3 아랍에미리트는 예선 D조에서 2위를 차지했던 타지키스탄 이 예선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참가 자격이 박탈됨에 따라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
4 말레이시아는 예선 G조에서 1위를 차지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 예선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참가 자격이 박탈됨에 따라 본선 진출 자격을 승계받았다.
조별 예선
A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이란
3
3
0
0
8
2
+6
9
우즈베키스탄
3
2
0
1
10
2
+8
6
바레인
3
1
0
2
3
4
-1
3
싱가포르
3
0
0
3
1
14
-13
0
10월 4일 20: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0
바레인
10월 6일 16: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1 – 2
이란
오야툴로혼 무히디노프 80′
10월 6일 20: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3 – 0
싱가포르
관중: 170
심판: 무크타르 알야리미 (예멘)
B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대한민국
3
2
1
0
15
3
+12
7
시리아
3
2
1
0
6
2
+4
7
인도
3
1
0
2
3
8
-5
3
인도네시아
3
0
0
3
1
12
-11
0
10월 4일 14: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5 – 2
인도
10월 6일 14: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0 – 9
대한민국
10월 6일 18: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0 – 3
시리아
10월 8일 19: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1 – 1
대한민국
모하마드 알리 람말 63′
10월 8일 19: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1 – 0
인도네시아
관중: 3,000
심판: 무크타르 알야리미 (예멘)
C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오스트레일리아
3
3
0
0
11
2
+9
9
사우디아라비아
3
1
1
1
6
4
+2
4
중국
3
1
1
1
4
4
0
4
투르크메니스탄
3
0
0
3
1
12
-11
0
10월 5일 16: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1
투르크메니스탄
10월 5일 20: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1 – 3
오스트레일리아
나와프 알감디 83′
10월 7일 16: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1
중국
10월 7일 20: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0 – 4
사우디아라비아
10월 9일 15: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6 – 0
투르크메니스탄
D조
팀
경기
승
무
패
득
실
차
승점
일본
3
3
0
0
13
1
+12
9
아랍에미리트
2
1
0
1
4
8
-4
3
말레이시아
3
1
0
2
5
7
-2
3
예멘
2
0
0
2
0
6
-6
0
예멘은 본선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결과를 통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
10월 5일 14: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4 – 0
말레이시아
10월 7일 14: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3 – 0 (몰수)2
예멘
모하메드 후세인 알샴시 10′ (페널티 )
10월 7일 18: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1 – 6
일본
10월 9일 15:00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3 – 2
말레이시아
무하맛 부하리 68′ (페널티 )
1 예멘과 아랍에미리트의 조별 예선 경기는 처음에 아랍에미리트가 지역 예선에서 받은 경고 누적으로 인하여 출전 정지 처분을 받은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발각되어 예멘의 3-0 몰수승(원래 경기 결과: 예멘 1-1 아랍에미리트)으로 처리되었다.[ 4] 그러나 예멘이 해당 경기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결과를 통해 발각되어 무효 처리되었다.[ 5] [ 6] [ 7]
2 예멘은 말레이시아, 일본과의 조별 예선 경기에서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결과를 통해 발각되어 2경기 모두 0-3 몰수패(원래 경기 결과: 말레이시아 1-1 예멘, 일본 1-2 예멘)를 당했다.[ 5] [ 6] [ 7]
결선 토너먼트
8강전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3
아랍에미리트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0
시리아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0
사우디아라비아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3 – 0
우즈베키스탄
준결승전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3 – 0
아랍에미리트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1
일본
결승전
[[{{{alias}}} U-17 축구 국가대표팀|{{{alias}}}]] [[파일:{{{flag alias}}}|23x15px|테두리 |alt=|링크=]]
2 – 1
대한민국
수상
2009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팀
다음 4개 팀은 나이지리아에서 열린 2009년 FIFA U-17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
이란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우승)
대한민국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준우승)
일본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공동 3위)
아랍에미리트 (2008년 AFC U-16 챔피언십 공동 3위)
각주
외부 링크
본선
AFC U-16 선수권 대회 AFC U-17 선수권 대회 AFC U-16 선수권 대회 AFC U-17 아시안컵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