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제25회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IBAF AAA World Junior Championships)는 국제 야구 연맹이 2012년 8월 30일부터 9월 8일까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개최한 야구 대회이다.[1]

메달리스트

종목
토너먼트  미국[2]
윌리 아브레우
크리스천 아로요
캐번 비지오
라이언 볼트
브라이슨 브리그먼
이안 클락킨
케빈 데이비스
스티븐 곤살베스
코너 헤이디
존 킬리초프스키
제레미 마르티네스
리즈 맥과이어
앤디 맥과이어
돔 누녜스
크리스 오키
라이언 올슨
카슨 샌즈
도미닉 타콜리니
키건 톰프슨
개릿 윌리엄스
 캐나다[3]
크리스천 보트닉
데이턴 도
네이선 데소자
브록 다익손
카일 한
제시 호지스
라이언 켈로그
제이크 마크스
개러스 모건
조쉬 네일러
대니얼 피네로
캘 퀀트릴
제이콥 롭슨
트래비스 시브룩
로건 시프리트
크리스토퍼 쇼
브렛 시들
오언 스피왁
미첼 트리올로
마일스 빈센트
 중화 타이베이[4]
천쥔샹
천위밍
천위에쓰
황쯔펑
훙신치
리쭝셴
린쯔웨이
린이저
린정셴
류자카이
류성훙
선위핀
선룽훙
쑤즈제
차이이쉬안
차오위닝
쩡런허
왕정탕
양자웨이
양샹하오

다음 12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A조 B조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기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의 국기
캐나다
콜롬비아의 국기
콜롬비아
중화 타이베이의 국기
중화 타이베이1
네덜란드의 국기
네덜란드
체코의 국기
체코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
이탈리아의 국기
이탈리아
미국의 국기
미국
일본의 국기
일본
베네수엘라의 국기
베네수엘라
파나마의 국기
파나마

^1 중화 타이베이는 공식적으로 중화민국으로 불리는 국가를 대표하는 팀에 대한 IBAF의 공식 명칭으로, 더 일반적으로는 대만으로 알려져 있다. (자세한 내용은 대만 문제 참조)

1라운드

A조

순위

W L 승률 차이 R RA
 미국 4 1 .800 39 13
 대한민국 3 1 .750 ½ 18 7
 콜롬비아 3 2 .600 1 24 27
 베네수엘라 2 3 .400 2 19 18
 오스트레일리아 2 3 .400 2 21 24
 네덜란드 0 4 .000 10 42

일정

2012년 8월 31일  콜롬비아 4 – 7  오스트레일리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0
2012년 8월 31일  대한민국 2 – 1  베네수엘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230
2012년 8월 31일  네덜란드 0 – 17 (7회 콜드)  미국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45

2012년 9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 3 – 6 (10회 연장)  베네수엘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0
2012년 9월 1일  콜롬비아 9 – 6  네덜란드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0
2012년 9월 1일  대한민국 8 – 2  미국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4,000

2012년 9월 2일  미국 11 – 1 (7회 콜드)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50
2012년 9월 2일  베네수엘라 8 – 3  네덜란드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5
2012년 9월 2일  오스트레일리아 1 – 7  대한민국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00

2012년 9월 3일  네덜란드 1 – 8  오스트레일리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65
2012년 9월 3일  대한민국 1 – 3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00
2012년 9월 3일  미국 3 – 2  베네수엘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43

2012년 9월 4일  베네수엘라 2 – 7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50
2012년 9월 4일  네덜란드 우천 취소  대한민국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2012년 9월 5일  미국 6 – 2  오스트레일리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50

B조

순위

W L 승률 차이 R RA
 캐나다 4 1 .800 28 17
 일본 4 1 .800 29 7
 중화 타이베이 3 1 .750 ½ 16 10
 파나마 2 3 .400 2 12 24
 이탈리아 1 3 .250 16 14
 체코 0 5 .000 4 5 34

일정

2012년 8월 31일  파나마 2 – 0  이탈리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70
2012년 8월 31일  캐나다 6 – 5 (10회 연장)  일본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25
2012년 8월 31일  체코 0 – 6  중화 타이베이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0

2012년 9월 1일  캐나다 4 – 3  이탈리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5
2012년 9월 1일  중화 타이베이 0 – 2  일본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500
2012년 9월 1일  체코 2 – 6  파나마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95

2012년 9월 2일  이탈리아 12 – 1 (7회 콜드)  체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72
2012년 9월 2일  중화 타이베이 6 – 5  캐나다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200
2012년 9월 2일  일본 8 – 0  파나마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224

2012년 9월 3일  캐나다 3 – 2  체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73
2012년 9월 3일  중화 타이베이 4 – 3  파나마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03
2012년 9월 3일  일본 7 – 1  이탈리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5

2012년 9월 4일  일본 7 – 0 (5회 콜드)  체코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45
2012년 9월 4일  이탈리아 우천 취소  중화 타이베이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2012년 9월 5일  파나마 1 – 10  캐나다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78

2라운드

C조

순위

W L 승률 차이 R RA 동률 규정
 미국 3 2 .600 28 16 1–1, 0.173 TQB
 캐나다 3 2 .600 25 26 1–1, -0.006 TQB
 중화 타이베이 3 2 .600 17 16 1–1, -0.192 TQB
 콜롬비아 2 3 .400 1 14 25 2–0
 일본 2 3 .400 1 16 21 1–1
 대한민국 2 3 .400 1 23 19 0–2

일정

2012년 9월 5일  대한민국 3 – 7 (10회 연장)  중화 타이베이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520
2012년 9월 5일  일본 0 – 3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18
2012년 9월 5일  미국 0 – 1 (10회 연장)  캐나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20

2012년 9월 6일  캐나다 10 – 6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4
2012년 9월 6일  미국 5 – 1  중화 타이베이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13
2012년 9월 6일  대한민국 2 – 4  일본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3,500

2012년 9월 7일  중화 타이베이 3 – 1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5
2012년 9월 7일  캐나다 3 – 9  대한민국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210
2012년 9월 7일  미국 10 – 5  일본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200

3라운드

11위 결정전

2012년 9월 5일  체코 4 – 7  네덜란드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87

9위 결정전

2012년 9월 6일  오스트레일리아 11 – 2  이탈리아 서울 구의 야구장
관중: 45

7위 결정전

2012년 9월 6일  파나마 5 – 4  베네수엘라 서울 구의 야구장
관중: 65

5위 결정전

2012년 9월 8일  일본 0 – 3  대한민국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100

동메달 결정전

2012년 9월 8일  중화 타이베이 4 – 1  콜롬비아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120

결승전

2012년 9월 8일  미국 6 – 2  캐나다 목동야구장, 서울특별시
관중: 400

최종 순위

관계자

[5]

기술 위원

위원장:

짐 바바 (캐나다)

위원:

  • 브렛 피켓 (호주)
  • 아소 코지 (일본)
  • 린화웨이 (중화 타이베이)
  • 조지 산티아고 (푸에르토리코)
  • 이규석 (대한민국)
  • 강문길 (대한민국)
  • 김병일 (대한민국)
  • 박노준 (대한민국)
  • 손혁 (대한민국)

심판

심판 감독:

구스타보 로드리게스 (미국)

위원:

  • 그레고리 하워드 (호주)
  • 존 오코 (캐나다)
  • 천빈순 (중화 타이베이)
  • 데이비드 쿨하넥 (체코)
  • 마르코 타우렐리 (이탈리아)
  • 야마구치 토모히사 (일본)
  • 박희영 (대한민국)
  • 오스멜 피멘텔 (베네수엘라)
  • 와카바야시 고 (일본)
  • 데이비드 콘던 (미국)
  • 케빈 스위니 (미국)
  • 바티스타 페르민 (파나마)
  • 김도형 (대한민국)
  • 양재만 (대한민국)
  • 임재훈 (대한민국)
  • 박성준 (대한민국)
  • 황석만 (대한민국)
  • 박원정 (대한민국)

기록원

기록 감독:

마르코 바티스텔라 (이탈리아)

위원:

  • 스미 타쿠야 (일본)
  • 페이코 드로스트 (네덜란드)
  • 제니 몰로니 (호주)
  • 안우준 (대한민국)
  • 오익환 (대한민국)
  • 황성준 (대한민국)
  • 한인희 (대한민국)
  • 김영성 (대한민국)

항소 위원회

위원장:

구스타보 로드리게스 (미국)

위원:

  • 이상형 (대한민국)
  • 지아니 파브리치 (이탈리아)

각주

  1. International Baseball Federation Organizer
  2. “XXV U-18 Baseball World Cup 2012”. 《wbsc.org》 (영어).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2021년 8월 10일에 확인함. 
  3. “XXV U-18 Baseball World Cup 2012”. 《wbsc.org》 (영어).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2021년 8월 10일에 확인함. 
  4. “XXV U-18 Baseball World Cup 2012”. 《wbsc.org》 (영어).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2021년 8월 10일에 확인함. 
  5. “The Official Site of the International Baseball Federation”. 《www.ibaf.org》. 2012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