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가 다섯 개의 세부종목에 참여하며 그 종목은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으로 나뉜다.[1]
대회 방식은 지난 2012년 대회와 비슷하게 그룹 대전과 탈락 대전으로 진행된다. 다만 복식 토너먼트전의 경우 이전 올림픽에서 승부조작 스캔들이 벌어지자 배드민턴 세계 연맹이 대회 규정을 일부 수정했는데, 어느 그룹에서든 2위로 마친 팀은 다음 라운드에서 마주할 팀을 결정하기 위해 추첨 경기를 진행하게 되며, 1위로 통과한 팀은 탈락전 내 지정된 시드에 알맞는 위치에 무조건 고정된다.[2]
2016년 올림픽 배드민턴에서 사용될 셔틀콕은 약 8,40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
올림픽 출전 예선 기간은 2015년 5월 4일부터 2016년 5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016년 5월 5일 배드민턴 세계 연맹 순위 리스트가 발표되어 조배치에 이용됐다.[4] 앞서 언급했듯이 이번 대회는 이전 대회와 규칙이 약간 다르다. 먼저 남자와 여자 단식의 경우 각 국가당 각각 한 명씩, 최대 두 명까지만 출전할 수 있는데 이는 세계 랭킹 16위 이내에 모두 포함될 경우에 한한다. 이들 국가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경우, 38명 선수 명단이 전부 채워질 때까지 출전 대상에 포함되면 한 명씩 내보낼 수 있다. 단식 토너먼트전의 규칙은 복식에도 비슷하게 적용되는데 각 국가는 남자와 여자 종목에 각각 최대 두 팀까지 출전시킬 수 있으며 이 역시 두 팀 모두 세계 랭킹 8위에 포함될 경우에 한한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경우 16위까지의 페어 명단이 채워질 때까지 출전 대상에 포함되면 한 팀을 내보낼 수 있다.[5]
한 종목 이상의 자격에 해당되는 선수는 추가로 단식 부문 토너먼트전의 출전권을 그대로 얻게 된다. 한 대륙에서 자격에 해당되는 선수가 없을 경우에는 각 대륙에서 최고 순위에 오른 선수가 출전권을 얻게 된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