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리그 2016은 2008년에 출범한, 대한민국의 대학축구리그인 U리그의 9번째 시즌이다. 9번째 시즌에는 총 78개의 대학축구단이 참가하였다. 인근 지역의 팀들 위주로 한 권역에 묶어서 총 10개 권역리그로 나누어, 리그를 권역별로 2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제2권역리그와 제10권역리그는 각각 총 7개팀으로 구성되었으며, 나머지 권역리그들은 총 8개팀으로 구성되었다. 권역리그는 3월 17일에 개막했으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1][2]
2016년에도 포스트시즌 제도가 시행되었다. 권역리그 성적에 따라 권역별로 3위팀까지 왕중왕전에 진출했다. 각각 총 8팀으로 구성된 8개 권역리그의 4위팀 중 성적이 가장 뛰어난 상위 2개 팀은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왕중왕전에 합류하였다. 왕중왕전은 10월 28일에 32강전부터 시작하여 11월 11일에 열린 결승전으로 마무리되었다.[3][4]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깨진 링크([2]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3][깨진 링크([4]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5][깨진 링크([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7][깨진 링크([8]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9][깨진 링크([10]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1][깨진 링크([12]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3][깨진 링크([14]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5][깨진 링크([1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7][깨진 링크([18]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19][깨진 링크([20]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
와일드카드
권역별 4위팀 중 리그 성적이 가장 뛰어난 상위 2팀은 와일드카드 자격으로 왕중왕전에 진출한다. 단, 제2권역과 제10권역의 4위팀은 7개 팀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와일드카드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 마지막 업데이트 : 2016년 9월 30일
* 출처 : [21][깨진 링크([22] 과거 내용 찾기])][23][깨진 링크([24] 과거 내용 찾기])][25][깨진 링크([26] 과거 내용 찾기])][27][깨진 링크([28] 과거 내용 찾기])][29][깨진 링크([30] 과거 내용 찾기])][31][깨진 링크([32] 과거 내용 찾기])][33][깨진 링크([34] 과거 내용 찾기])][35][깨진 링크([36] 과거 내용 찾기])]
* 순위 결정방식 :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수; 4) 추첨.
* (C) = 우승; (R) = 강등; (P) = 승격; (O) = 플레이오프 승리; (A) = 다음 라운드 진출 * 시즌이 끝나지 않은 경우만 사용되는 표시: (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됨; (TQ) = 대항전 진출 자격이 됐으나 진출할 라운드가 정해지지 않음; (RQ) = 강등 결정전 진출 자격이 됨; (DQ) = 대항전 진출 자격을 잃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