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동계패럴림픽대회조직위원회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동계패럴림픽대회조직위원회(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Olympic & Paralympic Games, POCOG)는 대한민국 평창군과 강릉시, 정선군에서 개최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8년 평창 동계패럴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대회를 계획 준비하고 운영했던 조직이다. 2011년 10월 5일 평창의 유치위원회가 해산되면서 2011년 10월 19일 평창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이어 출범하였고[1] 2019년 3월 31일자로 해산되었다. 이후 잔여 잉여금 등은 결산 절차를 거쳐 평창 동계 올림픽의 유산 사업을 전담할 2018평창 기념재단에 약 650억을 출연하기로 결정하였다.[2] 조직위원회 구성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및동계패럴림픽대회조직위원회는 2016년 12월 기준으로 당연직위원99명과 선출직위원34명을 포함 총 133명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직위원장현재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위원장은 전 산업자원부 장관이자 LG상사 고문 이희범이다. 목표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의 목표는 문화 올림픽, 환경 올림픽, 평화 올림픽, 경제 올림픽을 구축하는 것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의 10대 성공 조건으로는 선수와 경기 중심의 시설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최소 비용과 최대 편익을 거양, 완벽한 안전대회를 담보하며 편리한 접근 교통망을 구축, 지속가능한 유산을 만들고 남기기, 질 높고 특색있는 문화 관광 상품을 개발, 전 국민적 참여 분위기 조성, 참관객 편의성 극대화, 분단의 상징 지역에서 남북화해 협력의 장을 마련 하는 것이다. 대회 준비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대회 준비 체계는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대한민국 정부, 국회, 강원도를 비롯한 개최도시(평창군, 강릉시, 정선군), 자치단체, 민간협의체가 된다. 평창 동계 올림픽 특별법
동계 올림픽 특별 구역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대회 이후 개최도시의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을 위해 평창군, 강릉시, 정선군 일원에 관광 개발과 진흥, 산업, 주거·도시경관, 교통·생활인프라 부문 등에 향후 20년간 특구 개발 사업이 시행된다. 동계 올림픽 특구는 입지 특성과 보유자원, 올림픽 대회시 기능 등에 따라 크게 5개 특구, 11개 단위 개발 사업 지구로 나누어 상호 보완적 개발을 하게 된다. 평창 동계 올림픽 시설
- 마운틴 클러스터 신설 경기장 :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평창 알펜시아 슬라이딩 센터, 정선 알파인 경기장 (3개소 신설)
올림픽 파트너
유치위원회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출범되기까지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해 3번의 유치위원회가 출범하고 해산되었다.
대회 유치 과정
각주
같이 보기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