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결선 토너먼트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결선 토너먼트는 2025년 3월 3일부터 5월 4일까지 시행될 것이다.[1] 2024-25년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결선 토너먼트에서 총 16개팀들이 경쟁할 것이다.

진출팀

리그 단게(본선 리그)에서 각 권역별 상위 8팀들은 16강전에 진출한다, 둘 다 동부 권역과 서부 권역에서 각각 4팀씩 진출한다.

권역 순위
서부 지역 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4 카타르 알-사드
5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6 이란 에스테글랄
7 카타르 알-라이얀
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동부 지역 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3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4 대한민국 광주
5 일본 비셀 고베
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7 중국 상하이 선화
8 중국 상하이 하이강

진행 방식

결선 토너먼트에서, 16개팀들은 토너먼트를 시행할 것이다. 16강전에 한정하여 권역별 분리 실시하여 1-8위팀들이 순위 역순대로 맞대결하여 홈앤드어웨이 더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고, 8강전부터 동서 권역 간 맞대결하여 단판경기로 맞대결할 것이다. 필요시 연장전승부차기는 필요한 경우 승자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Regulations Article 10).[2]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대진은 추후 단판 대진 추첨 행사로 결정될 것이다.

일정

결선 토너먼트 일정은 아래와 같다.[1]

단계 라운드(단계) 대진 추첨일 서부 권역 동부 권역
16강전(홈앤드어웨이 방식) 무추첨(사전 지정 형태) 2025년 3월 3-4일, 10-11일 2025년 3월 4-5일, 11-12일
최종 단계(사우디아라비아에서 단계별 중립단판경기) 8강전 미정 2025년 4월 25-26일
준결승전 2025년 4월 29-30일
결승전 2025년 5월 4일


토너먼트 대진

16강 8강 준결승 결승
              
W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1 0 1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0 4 4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7
E4 대한민국 광주 0
E5 일본 비셀 고베 2 0 2
E4 대한민국 광주 0 3 () 3
W1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W7 카타르 알-라이얀 1 0 1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2 5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3
E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0
E6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0 1 1
E3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0 0 0
W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2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0
E8 중국 상하이 하이강 0 1 1
E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 4 5
E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1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4
W6 이란 에스테글랄 0 0 0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0 3 3
W3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2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3
E7 중국 상하이 선화 1 0 1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0 4 4
E2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 3
W4 카타르 알-사드 2
W5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1 1 2
W4 카타르 알-사드 1 3 4

16강전

요약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부 지역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1-4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0 0-4
알-라이얀 카타르 1-5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1-3 0-2
에스테글랄 이란 0-3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0-0 0-3
알-와슬 아랍에미리트 2-4 카타르 알-사드 1-1 1-3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동부 지역
상하이 하이강 중국 1-5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0-1 1-4
상하이 선화 중국 1-4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1-0 0-4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1-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0-0 1-0
비셀 고베 일본 2-3 대한민국 광주 FC 2-0 0(연장)3

서부 지역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플라마리옹 29분에 득점 29′
관중: 5226
심판: 중국 마닝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4 - 0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하마드 알야미 31분에 득점 31′
마우콩 42분에 득점 42′
살렘 알다우사리 51분에 득점 51′ (페널티)
나세르 알다우사리 90+2분에 득점 90+2′
관중: 24,316
심판: 요르단 아담 마하드메

알 힐랄이 합산 스코어 4-1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알-라이얀 카타르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호제르 게지스 71분에 득점 71′ 30분에 득점 30′ 갈레누
34분에 득점 34′ 리야드 마레즈
90+5분에 득점 90+5′ 피라스 알부라이칸
관중: 8836
심판: 일본 아라키 유스케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0 카타르 알-라이얀
리야드 마레즈 77분, 83분에 득점 77′83′
관중: 44,916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숀 에번스

알 아흘리가 합산 스코어 5-1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에스테글랄 이란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관중: 75,130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 카프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3 - 0 이란 에스테글랄
혼 두란 9분, 84분에 득점 9′84′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27분에 득점 27′ (페널티)
관중: 23,256
심판: 우즈베키스탄 일기즈 탄타셰프

알 나스르가 합산 스코어 3-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알-와슬 아랍에미리트 1 - 1 카타르 알-사드
알리 살레 3분에 득점 3′ 68분에 득점 68′ 압둘라 알 야지디
관중: 3188
심판: 말레이시아 나즈미 나사루딘
알-사드 카타르 3 - 1 아랍에미리트 알-와슬
모스타파 메샬 26분에 득점 26′
유세프 아탈 30분에 득점 30′
아크람 아피프 37분에 득점 37′
파비우 리마 10분에 득점 10′
관중: 8693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마제드 알 샴라니

알 사드가 합산 스코어 4-2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동부 지역

상하이 하이강 중국 0 - 1 일본 요코하마 F 마리노스
30분에 득점 30′ 안데르송 로페스
관중: 10,860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4 - 1 중국 상하이 하이강
도노 다이야 2분에 득점 2′
안데르송 로페스 29분, 56분에 득점 29′56′
얀 마테우스 44분에 득점 44′
35분에 득점 35′ 레오나르두 나시멘투 로페스 지 소자
관중: 9482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할리드 살레 알 투라이스

요코하마 F. 마리노스가 합산 스코어 5-1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상하이 선화 중국 1 - 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다카이 고타 76분에 득점 (상대 자책골) 76′ (자책골)
관중: 20,837
심판: 카타르 살만 아흐마드 팔라히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4 - 0 중국 상하이 선화
사사키 아사히 24분에 득점 24′
에리송 64분에 득점 64′
이토 다쓰야 68분에 득점 68′
마르시뉴 90+1분에 득점 90+1′
관중: 13,277
심판: 아랍에미리트 오마르 모하메드 아흐메드 하산 알 알리

가와사키 프론탈레가 합산 스코어 4-1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0 - 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관중: 22,207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알 호이시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0 - 1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58분에 득점 58′ 수파낫 므언타
관중: 34,644
심판: 쿠웨이트 아흐마드 알 알리

부리람 유나이티드가 합산 스코어 1-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비셀 고베 일본 2 - 0 대한민국 광주 FC
오사코 유야 20분에 득점 20′
이데 하루야 29분에 득점 29′
관중: 7,630
심판: 아랍에미리트 알리 사이드 알 나크비
광주 FC 대한민국 3 - 0 (연장전) 일본 비셀 고베
박정인 18분에 득점 18′
야시르 아사니 85분, 118분에 득점 85′ (페널티)118′
관중: 3,617
심판: 카타르 압둘라흐만 이브라힘 알 자심

광주 FC가 합산 스코어 3-0 승리로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전

팀 1 결과 팀 2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7-0 대한민국 광주 FC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3-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1-4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가와사키 프론탈레 일본 3(연)2 카타르 알 사드

결과


알 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3 - 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리야드 마레즈 4분에 득점 4′
갈레누 6분에 득점 6′
호베르투 피르미누 30분에 득점 30′
관중: 43,027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 카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1 - 4 사우디아라비아 알 나스르
와타나베 고타 53분에 득점 53′ 27분, 49분에 득점 27′49′ 혼 두란
31분에 득점 31′ 사디오 마네
38분에 득점 38′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준결승전

팀 1 결과 팀 2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1-3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알 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2-3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결과

알 힐랄 사우디아라비아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 아흘리
살렘 알다우사리 42분에 득점 42′ 9분에 득점 9′ 호베르투 피르미누
27분에 득점 27′ 아이번 토니
90+8분에 득점 90+8′ 피라스 알부라이칸

결승전

팀 1 결과 팀 2
알 아흘리 사우디 사우디아라비아 2-0 일본 가와사키 프론탈레


결과

각주

내용주
  1. Pakhtakor played their home matches at Bunyodkor Stadium, Tashkent, instead of their regular home stadium Pakhtakor Central Stadium, Tashkent.
참조주
  1. “AFC Competitions Calendar (Jul 2024 - Jun 2025)” (PDF). 《The AFC》. 2024년 8월 17일에 확인함. 
  2. “AFC Champions League Elite 2024/25 Competition Regulations” (PDF). the AFC. 2024년 8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