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ic (할시의 음반)

《Manic》
할시정규 앨범
발매일2020년 1월 17일
녹음일2018년 8월–2019년 8월
장르
길이47:36
레이블캐피톨
프로듀서
할시 연표
Hopeless Fountain Kingdom
(2017)
Manic
(2020)
If I Can't Have Love, I Want Power
(2021)
《Manic》의 싱글
  1. Without Me
    발매일: 2018년 10월 4일
  2. 〈Graveyard〉
    발매일: 2019년 9월 13일
  3. You Should Be Sad
    발매일: 2020년 1월 10일

Manic》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할시의 세 번째 정규 앨범으로, 2020년 1월 17일 캐피톨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Without Me〉, 〈Graveyard〉, 〈You Should Be Sad〉 세 곡의 싱글을 선공개하며 기대를 모았으며, 도미닉 파이크, 앨라니스 모리셋, 슈가가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발매와 동시에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2위로 데뷔하며, 할시에게 세 번째 톱 2 앨범이자 당시 기준으로 미국 내 가장 높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한 앨범이 되었다. 첫 주 판매량은 23만 9천 장이었다.

이후 《Manic》은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으며, 2020년에 발매된 앨범 중 처음으로 해당 인증을 획득한 작품이 되었다.[1] 또한 이는 2020년 현재까지 여성 아티스트가 발매한 앨범 중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작품이기도 하다.[2] 앨범의 프로듀싱은 할시를 포함해 베니 블랑코, 캐시미어 캣, 피니어스, 그렉 커스틴, 존 벨리온, 리도, 루이스 벨 등이 함께 참여했다. 《Manic》은 주로 장르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렉트로팝, 힙합, 얼터너티브 록, 컨트리, 케이팝, 알앤비 등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았다. 할시는 이 앨범에 대해 "나처럼 계속 생각이 바뀌는 앨범"이라고 표현했다.[3] 앨범 홍보를 위해 세 번째 투어 Manic World Tour에 나섰으나, 17회 공연을 마친 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연기되었고, 이후 완전히 취소되었다.[4][5]

평가

전문가 평가
총 점수
출처점수
AnyDecentMusic?7.4/10[6]
메타크리틱80/100[7]
평가 점수
출처점수
AllMusic4/별[8]
Entertainment WeeklyB+[9]
Exclaim!8/10[10]
The Guardian4/별[11]
The Line of Best Fit9/10[12]
NME4/별[13]
Pitchfork6.5/10[14]
PopMatters7/별[15]
Rolling Stone4/별[16]
Slant4/별[17]

상업적 성과

《Manic》은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3만 9천 장의 앨범 환산 유닛으로 2위에 데뷔했으며, 이 중 18만 장은 순수 앨범 판매량이었다. 이 앨범은 할시의 세 번째 톱 2 앨범이자, 현재까지 《빌보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첫 주 판매량을 기록한 작품이다. 수록곡들은 첫 주 동안 미국 내 주문형 스트리밍 수치로 총 7,560만 회를 기록했다.[18] 호주에서는 2위로 데뷔했으며,[19] 영국에서는 6위로 데뷔 및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20] 그 외에도 벨기에, 캐나다, 아일랜드,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했다.

곡 목록

크레딧은 타이달[21]과 CMG 크레딧[22]를 바탕으로 각색하였다. 할시는 2019년 12월 3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트랙리스트를 공개했다.[23]

《Manic》 – 스탠다드 에디션
#제목작사·작곡프로듀서재생 시간
1.〈Ashley〉3:06
2.〈Clementine〉
  • Frangipane
  • Johnathan Carter Cunningham
  • Jasper Sheff
  • Halsey
  • Cunningham
3:54
3.〈Graveyard〉
3:01
4.You Should Be Sad
Kurstin3:25
5.〈Forever ... (Is a Long Time)〉
2:47
6.〈Dominic's Interlude〉 (with Dominic Fike)
  • Frangipane
  • Fike
  • Losnegård
  • Andrew Jackson
  • Duck Blackwell
  • Halsey
  • Lido
  • Jackson
  • Blackwell
1:16
7.〈I Hate Everybody〉
2:51
8.〈3AM〉
  • Frangipane
  • Kurstin
Kurstin3:54
9.Without Me
Bell3:21
10.〈Finally // Beautiful Stranger〉
  • Frangipane
  • Kurstin
Kurstin3:41
11.〈Alanis' Interlude〉 (with Alanis Morissette)
  • Frangipane
  • Morissette
  • Losnegård
  • Mike Farrell
  • Jesse Lacey
  • Vincent Accardi
  • Brian Lane
  • Garrett Tierney
  • Derrick Sherman
  • Halsey
  • Lido
2:41
12.〈Killing Boys〉
  • Halsey
  • Cunningham
2:23
13.〈Suga's Interlude〉 (with Suga of BTS)
  • Halsey
  • Lido
  • Suga
  • Pdogg
2:18
14.〈More〉
  • Frangipane
  • Losnegård
  • Levin
  • Høiberg
  • Ammar Malik
  • Andrew Wells
  • Dave Lubben
  • Kevin Snevely
  • Halsey
  • Lido
  • Wells[a]
2:33
15.〈Still Learning〉
3:31
16.〈929〉
  • Frangipane
  • Cunningham
  • Sheff
  • Cunningham
  • Sheff
2:55
총 재생 시간47:34

《Manic》 – 스탠다드 타깃 익스클루시브 및 해외 디럭스 에디션[24]
#제목작사·작곡프로듀서재생 시간
17.〈You Should Be Sad〉 (original voicenote)FrangipaneHalsey2:13
18.〈I'm Not Mad〉
  • Frangipane
  • Cunningham
Cunningham2:53
총 재생 시간51:59

《Manic》 – 스탠다드 일본판 에디션[25]
#제목작사·작곡프로듀서재생 시간
19.〈Wipe Your Tears〉
  • Frangipane
  • Cunningham[26]
Cunningham1:51
총 재생 시간53:50

《Manic》 – 디지털 익스팬디드 에디션 - 《디스크 2》[27][28]
#제목작사·작곡프로듀서재생 시간
1.Be Kind〉 (with Marshmello)
  • Comstock
  • Stone
2:53
2.〈Without Me (Remix)〉 (featuring Juice WRLD)
Bell3:50
3.〈Without Me〉 (Illenium remix)
  • Frangipane
  • Timberlake
  • Mosley
  • Storch
  • Bell
  • Allen
  • Delacey
4:08
4.〈Graveyard〉 (Acoustic)
  • Frangipane
  • Allen
  • Bellion
  • Bell
  • K. Johnson
  • S. Johnson
  • Williams
Frangipane3:56
5.〈You Should Be Sad〉 (Acoustic)
  • Frangipane
  • Kurstin
Frangipane3:19
6.〈Alanis' Interlude〉 (Stripped)
  • Frangipane
  • Morissette
  • Farrell
  • Lacey
  • Accardi
  • Lane
  • Tierney
  • Sherman
Frangipane2:31
7.〈Without Me〉 (Stripped)
  • Frangipane
  • Timberlake
  • Mosley
  • Storch
  • Bell
  • Allen
  • Delacey
Frangipane3:03
8.〈Graveyard〉 (Stripped)
  • Frangipane
  • Allen
  • Bellion
  • Bell
  • K. Johnson
  • S. Johnson
  • Williams
Frangipane3:37
9.〈3AM〉 (Stripped)
  • Frangipane
  • Kurstin
Frangipane3:34
총 재생 시간83:00

참여 인원

출처: CMG Credits에서 각색함.[22]

참여 음악가 및 연주자

  • 할시 – 보컬 (트랙 1–5, 7–16)
  • 베니 블랑코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1, 5, 7, 12, 14)
  • 알렉스 영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1)
  • 캐시미어 캣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1, 5, 7, 14)
  • 브렌턴 듀발 – 프로그래밍 (트랙 1)
  • 조너선 커닝햄 – 프로그래밍 (트랙 2, 12, 19), 드럼 (트랙 12), 기타 (트랙 12, 16)
  • 재스퍼 셰프 – 드럼, 피아노 (트랙 2); 기타, 프로그래밍 (트랙 16)
  • 에이미 앨런 – 백그라운드 보컬, 기타 (트랙 3)
  • 루이스 벨 – 키보드 (트랙 3), 프로그래밍 (트랙 3, 9, 15)
  • 더 몬스터즈 & 스트레인저즈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3)
  • 존 벨리온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3)
  • 마크 윌리엄스 – 기타,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3)
  • 그렉 커스틴 – 어쿠스틱 기타, 베이스, 일렉트릭 기타, 멜로트론, 퍼커션 (트랙 4, 8, 10); 드럼, 랩 스틸 기타 (트랙 4)
  • 해피 페레즈 – 기타, 프로그래밍 (트랙 5, 7, 12); 키보드 (트랙 5, 7)
  • 리도 – 프로그래밍 (트랙 5, 6, 7, 11, 13, 14), 키보드 (트랙 14)
  • 도미닉 파이크 – 보컬 (트랙 6)
  • 피니어스 – 키보드, 프로그래밍 (트랙 7)
  • 채드 스미스 – 드럼 (트랙 8)
  • 앨라니스 모리셋 – 보컬 (트랙 11)
  • 슈가 – 랩 보컬, 프로그래밍 (트랙 13)
  • 피독 – 프로그래밍 (트랙 13)

프로덕션

  • 할시 – 총괄 프로듀싱
  • 베니 블랑코 – 엔지니어링 (트랙 1, 5, 7, 12, 14), 총괄 프로듀싱
  • 서번 그네아 – 믹싱
  • 크리스 게린저 – 마스터링
  • 윌 퀴넬 – 마스터링 어시스턴트
  • 존 헤인즈 – 엔지니어링
  • 알렉스 영 – 엔지니어링 (트랙 1)
  • 조너선 커닝햄 – 엔지니어링 (트랙 2, 16)
  • 더 몬스터즈 & 스트레인저즈 – 엔지니어링 (트랙 3)
  • 루이스 벨 – 엔지니어링 (트랙 3, 9)
  • 알렉스 파스코 – 엔지니어링 (트랙 4, 8, 10)
  • 그렉 커스틴 – 엔지니어링 (트랙 4, 8, 10)
  • 줄리언 버그 – 엔지니어링 (트랙 4, 10)
  • 리도 – 엔지니어링 (트랙 6, 11, 13)
  • 크리스 스클라파니 – 엔지니어링 (트랙 7, 12, 14)
  • 줄리언 버그 – 엔지니어링 (트랙 8)
  • 리카르도 가마 – 레코딩 (트랙 9)
  • 다니엘 S. 아코르시 – 레코딩 (트랙 9)
  • 앤드루 웰스 – 엔지니어링 (트랙 14)
  • 에드 레예스 – 엔지니어링 어시스턴트 (트랙 4, 8, 10)
  • 스콧 무어 – 엔지니어링 어시스턴트 (트랙 8)

디자인

  • 개릿 힐리커 – 아트 디렉션
  • 아르준 풀리잘 – 프로덕트 매니저
  • 케이티 스폴레티 – 프로덕트 매니저
  • 탈리사 구루니안 – 프로덕트 매니저
  • 토니 비소뇨 – 프로덕션
  • 질 라모스 – 프로덕션

인증

《Manic》 인증
국가 인증 판매량/출하량
아르헨티나 (CAPIF)[29] 5× 플래티넘 100,000^
오스트레일리아 (ARIA)[30] 골드 35,000이중 칼표
캐나다 (뮤직 캐나다)[31] 2× 플래티넘 160,000이중 칼표
멕시코 (AMPROFON)[32] 플래티넘 60,000이중 칼표
네덜란드 (NVPI)[33] 골드 25,000이중 칼표
노르웨이 (IFPI 노르웨이)[34] 2× 플래티넘 40,000*
영국 (BPI)[35] 실버 60,000이중 칼표
미국 (RIAA)[36] 플래티넘 1,000,000이중 칼표
*판매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출하량을 기반으로 한 인증
이중 칼표판매량+스트리밍을 기반으로 한 인증

각주

  1. Mamo, Heran (2020년 9월 29일). “Halsey Celebrates Her 26th Birthday With Nostalgic '929' Music Video”. 《Billboard》 (United States: Penske Media Corporation). ISSN 0006-2510. OCLC 732913734.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2. Shafer, Ellise (2020년 5월 15일). “Halsey Surpasses 50 Million RIAA-Certified Units With 12 New Certifications”. 《Variety》 (United States: Penske Media Corporation). ISSN 0042-2738. OCLC 60626328.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3. halsey (2020년 1월 10일). “every song has its own identity! I've always said 'the album changes its mind as often as I do.' (트윗). 2020년 2월 9일에 확인함. 
  4. Kreps, Daniel (2019년 9월 29일). “Halsey Celebrates Birthday With Trip to Aquarium in 'Clementine' Video”. 《Rolling Stone》. 2019년 10월 19일에 확인함. 
  5. Willman, Chris (2021년 1월 22일). “Halsey Finally Cancels Long-Postponed Tour: 'I Wish Things Were Different'. 《Variety. 2021년 1월 23일에 확인함. 
  6. “Manic by Halsey reviews”. AnyDecentMusic?.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7. “Manic by Halsey Reviews”. 《Metacritic.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8. Erlewine, Stephen. “Halsey - Manic”. 《AllMusic.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9. Kaplan, Ilana (2020년 1월 17일). “On Manic, Halsey chases happiness through chaos”. 《Entertainment Weekly》. 2023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0. Ouellet, Chantel (2020년 1월 17일). “Halsey Manic”. 《Exclaim!.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1. Beaumont-Thomas, Ben (2020년 1월 17일). “Halsey: Manic review - takes confessional pop to the next level”. 《The Guardian》. 2020년 1월 17일에 확인함. 
  12. Loftin, Steven (2020년 1월 17일). “Manic is Halsey's most complete work to date”. 《The Line of Best Fit.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3. Daly, Rhian (2020년 1월 17일). “Halsey - 'Manic' review: stream-of-consciousness musing on family, love, and fame”. 《NME》. 2020년 1월 17일에 확인함. 
  14. Kameir, Rawiya (2020년 1월 22일). “Halsey Manic”. 《Pitchfork. 2020년 1월 23일에 확인함. 
  15. Davies, Jeffrey (2020년 1월 21일). “Halsey's 'Manic' As a Genre-Bending Force”. 《PopMatters.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6. Sheffield, Rob (2020년 1월 14일). “Halsey's 'Manic' Is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ess”. 《Rolling Stone.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7. Richmond, Anna (2020년 1월 17일). “Music Review: With Manic, Halsey Fearlessly Inhabits Her Myriad Parts”. 《Slant. 2020년 1월 22일에 확인함. 
  18. Caulfield, Keith (2020년 1월 26일). “Eminem Scores Historic 10th No. 1 Album on Billboard 200 Chart With 'Music to Be Murdered By'. 《Billboard》. 2020년 1월 27일에 확인함. 
  19. “Australiancharts.com – Halsey – Manic. Hung Medien.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20. Manic – Halsey”. United Kingdom: Official Charts Company. 2025년 6월 23일에 확인함. 
  21. “Manic / Halsey – TIDAL”. Tidal. 2020년 1월 17일. 2020년 1월 17일에 확인함. 
  22. “Halsey”. 《CMG Credits》. 2020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7일에 확인함. 
  23. “January 17, 2020”. 2021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2월 3일에 확인함Instagram 경유. 
  24. “マニック[CD] - ホールジー - UNIVERSAL MUSIC JAPAN”. 《ホールジー》 (일본어).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25. “Manic [Japan Bonus Track] Halsey CD Album”. 《CDJapan》. 2019년 12월 23일에 확인함. 
  26. xxvii_tomoka (2020년 1월 20일). “!!!” (트윗). 2020년 1월 20일에 확인함. 
  27. 《Manic》 (영어),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28. “Manic by Halsey”. 《Apple Music》 (영국 영어). 2020년 9월 30일에 확인함. 
  29. “Universal: J Balvin lidera las nominaciones al Latin GRAMMY” (PDF) (스페인어). Prensario Música. October 2020. 38쪽. 
  30. “ARIA Albums Chart w/c 16 November 2020” (PDF). 2020년 11월 16일. 2020년 11월 16일에 확인함. 
  31. “Canadian album certifications – Halsey – Manic” (영어). 뮤직 캐나다. 
  32. “Certificaciones” (스페인어). 멕시코 음반 영상 제작 협회.  Type Halsey in the box under the ARTISTA column heading and Manic in the box under TÍTULO
  33. “Dutch album certifications – Halsey – Manic” (네덜란드어). NVPI.  Enter Manic in the "Artiest of titel" box.
  34. “Norwegian album certifications – Halsey – Manic” (노르웨이어). IFPI Norway. 
  35.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Halsey – Manic”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Select albums in the Format field. Select 실버 in the Certification field. Type Manic in the "Search BPI Awards" field and then press Enter.
  36.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Halsey – Manic” (영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