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도![]() ![]()
공수도(空手道) 또는 가라테(일본어: 空手)는 류큐국 (현재 일본의 오키나와)에서 기원한 손과 발을 이용해서 상대를 타격하는 무술이다. 일본 본토로 전파되었다. 17세기 일본 사쓰마번의 침략에 의해 무기를 소유할 수 없게 된 류큐(지금의 오키나와)의 무인들은 중국 남권을 간략화한 당수(唐手)를 수련하게 되는데 이것이 '수(手)'의 모체다. 근대 공수도의 아버지로 불리는 후나코시 기친(船越義珍, 1868 - 1957)에 의해 20세기 초부터 일본 본토에 전수되었고, 중일전쟁 등으로 중국에 대한 감정이 나빠지자, 중국을 의미하는 '당(唐)'자는 폐기되고 같은 발음인 '공수(空手)'로 대체된다. 이는 비어있는 손이라는 뜻으로, 맨손으로 하는 무술임을 뜻하기도 한다. 유파
종합격투기와의 관련공수도를 배우는 종합격투기 선수들공수도를 참고삼아, 혹은 심취해서 배우는 종합격투기 선수가 적잖이 있다.
나라별 공수도대한민국
일제강점기 동안 일본에서 가라테를 배운 사람들은 해방 이후 한국에 돌아와 도장을 연다. 일본에서 쇼토칸 가라테를 배우고 청도관 영향을 받은 육군소장 최홍희가 이승만 대통령 앞에서 부대의 가라테 시연을 했는데 그걸 본 이승만이 택견으로 착각하고 고유무술인 택견이라고 칭찬한 일을 계기로 최홍희는 군 가라테 도장이었던 오도관 중심으로 5개 기간도장(청도관, 송무관, 무덕관, 지도관, 창무관)을 통합하여 태권도로 이름을 바꿔걸게 된다. 특히 청도관 송무관은 쇼토칸 가라테의 아버지 후나코시 기친의 직계 제자였던 이원국 노병직이 세운 가라테 도장이었으며 무덕관의 경우 황기관장 본인은 가라테를 배운적 없고 서적 독학을 했으며 중국권법을 배웠다지만 실질적으로 가르치던건 쇼토칸 가라테였다는 일부 원로들의 증언이 있다. 지도관의 경우는 초기엔 조선 연무관 이란 이름으로 전상섭이 개관했고 전상섭이 배운 가라테 유파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국기원 전 부원장 이종우 전기를 보더라도 전상섭이 배운게 시토류, 고주류, 쇼토칸인지 의견이 분분하다 YMCA 권법부는 윤병인이 배운 슈도칸 가라테를 중심으로 가르쳤다한다 같이 보기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