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 에 전시된 무궁화대훈장.
무궁화대훈장 (無窮花大勳章, 영어 : Grand Order of Mugunghwa )은 대한민국 의 최고 훈장 이다. 〈상훈법〉 제10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에게 수여하며, 대통령의 배우자, 우방국 원수 및 그 배우자 또는 대한민국의 발전과 안전보장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전직 우방국 원수 및 그 배우자에게도 수여할 수 있다.[ 1]
역사
무궁화대훈장을 패용한 윤보선
무궁화대훈장은 1949년 8월 13일에 대통령령 제164호 〈무궁화대훈장령〉이 공포되면서 제정되었다. 제정 당시 무궁화대훈장은 단일 등급의 최고 훈장으로 대통령이 패용하며, 우방국 원수에게 수여할 수 있었다.[ 2] 〈무궁화대훈장령〉은 1963년 12월 14일에 〈상훈법〉이 제정되면서 폐지되었다. 1967년에 법이 개정되어 대통령과 우방국 원수의 배우자가 수여 대상에 포함되었고,[ 3] 1973년에 법이 다시 개정되면서 전직 우방국 원수와 그 배우자도 수여 대상에 포함되었다.[ 4]
최초의 무궁화대훈장은 1949년 8월 15일에 중앙청 에서 거행된 건국공로자 표창식에서 제1대 대통령 이승만 에게 수여되었다.[ 5] 외국 원수에게 수여된 최초의 무궁화대훈장은 1964년 12월 8일에 서독 대통령 하인리히 뤼브케 에게 수여되었다. 대한민국의 영부인 에게는 대통령 박정희 의 부인 육영수 부터 무궁화대훈장을 수여하였다.[ 6]
제4대 대통령 윤보선 부터 대통령 취임식에서 무궁화대훈장이 수여되었으며,[ 7] 제13대 대통령 노태우 부터 취임식에서 훈장을 패용하지 않았다.[ 8] 역대 대통령은 취임식 이후 첫 공식 행사로 청와대 에서 무궁화대훈장을 수여받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9] 정권을 이양하는 정부가 국무회의 에서 대통령 당선인에 대한 수여를 의결하여 새 대통령이 취임과 함께 훈장을 받도록 한 것이다. 전두환 정부 는 1988년 2월 24일에 개최된 마지막 국무회의에서 제13대 대통령 당선자 노태우 와 부인 김옥숙 에게 훈장을 수여하는 영예수여안을 의결하였다.[ 10] 노태우 정부 는 1993년 2월 11일에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제14대 대통령 당선자 김영삼 과 부인 손명순 에 대한 훈장 수여를 의결하였고,[ 11] 김영삼은 취임식 직전인 2월 23일에 상도동 자택에서 총무처 장관으로부터 훈장을 전달받았다.[ 12] 김영삼 정부 는 1998년 2월 17일에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제15대 대통령 당선자 김대중 과 부인 이희호 에 대한 훈장 수여를 의결하였고,[ 13] 김대중은 취임식 당일 2월 25일에 청와대 접견실에서 총무처 장관으로부터 훈장을 전달받고 취임식에 참석하였다.[ 14] 하지만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은 취임식보다는 임기중 공과를 평가받아 퇴임과 함께 받는 것이 타당하다며 당선인 시절에 훈장을 사양하였고, 2008년 1월에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퇴임 직전에 훈장을 수여받았다.[ 15] 제17대 대통령 이명박 도 취임 초에 세계 경제위기 상황 등을 거론하며 훈장을 사양하였다가[ 16] 퇴임 직전인 2013년 2월 12일에 국무회의에서 훈장 수여를 의결하였다.[ 17] 이명박 정부 는 2013년 2월 19일에 개최된 마지막 국무회의에서 제18대 대통령 당선인 박근혜 에 대한 훈장 수여를 의결하였다.[ 18]
2006년 국무회의에서 12·12 군사 반란 과 5·18 민주화 운동 진압과 관련하여 유죄가 확정된 전직 대통령 전두환 과 노태우 에 대한 각각 9건과 11건의 서훈 취소를 의결하였다. 하지만 무궁화대훈장은 대통령 재임 자체를 부정하는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취소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19]
형태
무궁화대훈장은 목에 거는 경식훈장(頸飾勳章)과 어깨에 걸치는 대수(大綬)로 된 정장(正章) 및 부장(副章), 금장(襟章)으로 구성된다. 형태·치수·색채·재료에 관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있다.[ 20] 과거에는 훈장이 남성용과 여성용으로 구분되어 형태와 재료는 동일하지만 중량과 치수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6년 1월에 〈상훈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훈장의 도형 및 제식에서 여성용을 별도로 구분하던 규정을 삭제함으로써 남·여 구분이 폐지되었다. 경식장과 정장, 부장은 각각 금 ·은 ·자수정 ·루비 , 금장은 금·은·루비로 제작되며, 개당 제작비용만 5천만 원이 넘는다.
1949년 제정 당시 무궁화대훈장의 상징문양은 무궁화 로 경식과 장으로 구성되었다가 1963년에 경식과 정장으로 수정되었다. 1967년에 도안이 전면 교체되어 상징문양은 금관 으로 변경되었으며, 경식장, 홍색 대수로 된 정장, 부장, 금장으로 구성되었고, 여성용이 설치되었다. 1971년에 대수가 적색으로 변경되었으며, 1984년에 훈장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21]
수훈자
같이 보기
각주
↑ “법률 제11393호 〈상훈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2012년 3월 21일. 2018년 6월 24일에 확인함 .
↑ “무궁화대훈장령 대통령령으로 공포” . 동아일보. 1949년 8월 14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법률 제1519호 《상훈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1963년 12월 14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법률 제2447호 《상훈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1973년 1월 25일. 2013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삼천만 겨레의 훈장 정부통령에 봉정” . 동아일보. 1949년 8월 16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무궁화대훈장 우리 원수론 5번째” . 동아일보. 1980년 8월 2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이윤주 (2008년 2월 25일). “〈커버·MB시대 막 오르다〉 대통령 취임식으로 본 환갑 맞은 한국 정치사” . 주간한국. 2010년 9월 7일에 확인함 .
↑ “축포·비둘기 날리며 ‘희망의 나라로’” . 경향신문. 1988년 2월 25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盧대통령 최고 ‘무궁화 대훈장’ 받는다” . 경향신문. 2008년 1월 29일.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차분한 분위기속 석별의 정 나누며…” . 경향신문. 1988년 2월 24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노태우 대통령 주요 기록물 문서” . 대통령기록관. 1993년 2월 11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순금 무궁화대훈장 차기대통령에 전달” . 경향신문. 1993년 2월 24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閣議, 金당선자 내외에 무궁화대훈장 수여키로” . 연합뉴스. 1998년 2월 17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金대통령 청와대 첫 집무 안팎” . 연합뉴스. 1998년 2월 25일.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조수진 (2008년 1월 29일). “盧대통령이 盧대통령에 주는 훈장” . 동아일보.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서봉대 (2013년 1월 11일). “李대통령, 무궁화대훈장 받는다는데...” . 뉴스1.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강수윤 (2013년 2월 12일). “李대통령 내외 무궁화대훈장 수여” . 뉴시스. 2013년 2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李대통령, 朴당선인에 ‘무궁화대훈장’ 수여” . 동아일보. 2013년 2월 19일. 2013년 2월 19일에 확인함 .
↑ 성동기, 하태원 (2006년 3월 22일). “전두환-노태우씨 등 176명 서훈 취소” . 동아일보. 201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상훈법》 제27조 1항, 7항
↑ 행정자치부 (2003). 《대한민국 훈장제식변천사》. 104쪽.
↑ “삼천만 겨레의 훈장 정부통령에 봉정” . 동아일보. 1949년 8월 16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경제안정제일주의를 지향” . 동아일보. 1960년 8월 14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무궁화대훈장 박의장에 수여” . 동아일보. 1963년 12월 6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축전 속에 민정 제3의 출발” . 경향신문. 1963년 12월 17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64년 12월 3일). “제115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동방의 손님 라인강을 찾아오다” 서독지들 대서특필” . 동아일보. 1964년 12월 9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66년 2월 1일). “제9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유쾌한 정상의 하루” . 동아일보. 1966년 2월 8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오늘 한·태 정상회담” . 경향신문. 1966년 2월 11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양국 유대 강화에 최선” . 경향신문. 1966년 2월 16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67년 6월 23일). “제44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각의 의결 에티오피아 황제에 무궁화대훈장 수여” . 동아일보. 1968년 5월 11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셀라시에 황제 입경” . 동아일보. 1968년 5월 18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69년 5월 23일). “제40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양국 원수 최고훈장” . 동아일보. 1969년 5월 28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69년 10월 28일). “제84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니제르대통령 서울대서 농박, 박대통령과 요담” . 동아일보. 1969년 10월 28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70년 9월 25일). “제72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산체스 대통령 입경 내일 청와대서 정상회담” . 경향신문. 1970년 9월 28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75년 6월 27일). “제47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한·가봉 정상회담 스케치” . 경향신문. 1975년 7월 7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79년 4월 17일). “제28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훈장 교환 수여” . 경향신문. 1979년 4월 23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최대통령 내외 훈장 수여” . 경향신문. 1979년 12월 10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최대통령 중동 순방” . 경향신문. 1980년 5월 12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배석자 없이 단독 진행 한·쿠웨이트 정상회담” . 매일경제. 1980년 5월 15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전대통령 내외분에 무궁화대훈장 수여” . 경향신문. 1980년 8월 29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인니 공동성명 전문” . 경향신문. 1981년 6월 29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아마드 국왕가 뜨거운 악수” . 매일경제. 1981년 6월 30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국가 연주 맞춰 축배” . 동아일보. 1981년 7월 7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코스타리카 정상회담” . 매일경제. 1981년 10월 13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라이베리아 정상회담” . 경향신문. 1982년 5월 10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자이레 정상회담” . 경향신문. 1982년 6월 7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전대통령 아프리카 여로” . 동아일보. 1982년 8월 26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경제 개발 한국 참여 논의” . 동아일보. 1982년 12월 21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83년 3월 10일). “제9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한·수단 정상 소접견실서 환담 7분” . 동아일보. 1983년 3월 15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훗세인 국왕 오늘 낮 내한” . 동아일보. 1983년 9월 10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국왕 내외분께서 오시니 날씨가 많이 풀렸다” . 경향신문. 1984년 4월 9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전대통령·칼리파국왕 정상회담” . 경향신문. 1984년 4월 21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84년 8월 30일). “제35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한·갬비아 합작사업 장려 합의” . 경향신문. 1984년 9월 13일. 2013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한·맬다이브 기술협력 확대 합의” . 경향신문. 1984년 10월 30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전대통령·지아 1차 정상회담” . 매일경제. 1985년 5월 7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거리 멀지만 우의는 가까운 이웃” . 동아일보. 1985년 5월 21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86년 9월 4일). “제36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단독정상회담 2시간… 한·영 우호 과시” . 매일경제. 1986년 4월 10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전대통령 유럽 순방 스케치” . 매일경제. 1986년 4월 17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경제·기술협력 등 합의” . 매일경제. 1987년 4월 8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차분한 분위기속 석별의 정 나누며…” . 경향신문. 1988년 2월 24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국의 성공은 아시아의 성공” . 경향신문. 1988년 11월 4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89년 11월 3일). “제44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양독 국민 열망이 장벽 뚫어” . 경향신문. 1989년 11월 21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노태우 대통령 프랑스 방문 표정” . 동아일보. 1989년 12월 1일. 2013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청와대 첫옥내 외국원수 환영식” . 연합뉴스. 1990년 6월 21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헝가리 정상 공동발표” . 연합뉴스. 1990년 11월 15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노대통령 아즐란 샤 말레이시아국왕 회담” . 연합뉴스. 1991년 9월 13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임경록 (1991년 9월 26일). “노대통령 멕시코방문 스케치”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3년 2월 11일). “제6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순금 무궁화대훈장 차기대통령에 전달” . 경향신문. 1993년 2월 24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3년 5월 20일). “제24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비 유사점 화제로 협력강화 다짐(종합)” . 연합뉴스. 1993년 5월 25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4년 11월 7일). “제47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칠레 정상회담” . 연합뉴스. 1994년 11월 21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4년 12월 5일). “제52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폴란드 정상회담 이모저모” . 연합뉴스. 1994년 12월 9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5년 2월 7일). “제8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우즈베키스탄 정상회담 이모저모” . 연합뉴스. 1995년 2월 16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5년 2월 21일). “제7회 국무회의록 영예수여안”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성수, 송현승 (1995년 3월 6일). “김대통령 헤어초크대통령 환담 스케치”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5년 3월 28일). “제13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5년 6월 26일). “제26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5년 9월 26일). “제39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과테말라·브라질 대통령 무궁화대훈장 수여키로” . 매일경제. 1996년 7월 24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대통령 중남미 순방” . 경향신문. 1996년 9월 5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각의 스페인국왕부처에 무궁화대훈장 의결” . 연합뉴스. 1996년 10월 8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성수, 이유 (1996년 11월 26일). “김대통령 국빈 만찬 참석”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총무처 (1996년 12월 10일). “제51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한·우크라이나 항공협정 등 의결” . 연합뉴스. 1996년 12월 10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행정자치부 (1998년 2월 17일). “제8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임채청 (1998년 2월 26일). “김대통령 첫 집무 약식 수석회의 후훈장 전달받아” . 동아일보.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행정자치부 (2000년 2월 22일). “제8회 국무회의 안건철” . 국가기록원.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민배 (2000년 3월 3일). “김대통령 “이-북수교는 한국정책과 부합”” . 조선일보.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민배 (2000년 3월 6일). “DJ-시라크회담 도서반환 등 민감한 의제도 술술” . 조선일보.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백승렬 (2006년 3월 12일). “노 대통령, 알제리 대통령에 무궁화대훈장 수여”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성기홍, 김재현 (2007년 3월 27일). “한·쿠웨이트 ‘고위급공동위’ 정례화 합의”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배재만 (2007년 3월 28일). “카타르 국왕에게 훈장 수여하는 노대통령”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안수훈 (2008년 1월 28일). “노대통령, 권여사에 무궁화 대훈장 수여”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조보희 (2009년 5월 13일). “훈장 교환하는 한-카자흐 정상”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무궁화 대훈장 수여하는 이명박 대통령” . 뉴시스. 2009년 11월 12일.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김종우 (2012년 5월 30일). “한-스웨덴 “정상 과학·녹색 협력 증진””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도광환 (2012년 11월 21일). “훈장주는 이대통령”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이한승 (2013년 2월 12일). “李대통령 내외에 무궁화대훈장 수여(종합)” . 연합뉴스. 2013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이정훈 (2014년 11월 19일). “박 대통령, 유도요노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 서훈” . 연합뉴스. 2015년 4월 6일에 확인함 .
↑ 정인홍 (2015년 4월 21일). “페루측, 朴대통령 극진한 예우..정부-국회 동시 첫 훈장” . 파이낸셜뉴스. 2015년 4월 21일에 확인함 .
↑ 최은지 (2018년 10월 8일). “' 방탄' 화관문화훈장 받는다…佛대통령은 무궁화대훈장(상보)” . 뉴스1. 2018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사지원 (2022년 5월 3일). “[단독]文대통령, 무궁화대훈장 ‘셀프 수여’ 의결” . 동아일보. 2022년 5월 3일에 확인함 .
외부 링크
무궁화대훈장 건국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 모란장 - 동백장 - 목련장 - 석류장
무공훈장 근정훈장 청조장 - 황조장 - 홍조장 - 녹조장 - 옥조장
보국훈장 통일장 - 국선장 - 천수장 - 삼일장 - 광복장
수교훈장 광화대장/광화장 - 흥인장 - 숭례장 - 창의장 - 숙정장
산업훈장 금탑 - 은탑 - 동탑 - 철탑 - 석탑
새마을훈장 자립장 - 자조장 - 협동장 - 근면장 - 노력장
문화훈장 금관 - 은관 - 보관 - 옥관 - 화관
체육훈장 청룡장 - 맹호장 - 거상장 - 백마장 - 기린장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 혁신장 - 웅비장 - 도약장 - 진보장
포장 건국포장 - 국민포장 - 무공포장 - 근정포장 - 보국포장 - 예비군포장 - 수교포장 - 산업포장 - 새마을포장 - 문화포장 - 체육포장 - 과학기술포장
표창 대통령표창 - 국무총리표창 - 기관장표창 대통령상 - 국무총리상 - 기관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