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연호 는 전한 (前漢) 무제 (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 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1] . 무제 이전에는 황제의 재위년으로 기년을 표시하였다. 전한 문제 (文帝) 및 경제 (景帝) 때는 재위년의 원년을 다시 시작하는 개원(改元)의 예가 있으나 이는 연호로 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타 정권
기타 정권
기타 정권
기타 국가
비정통 정권
유송의 기타정권
남제의 기타 정권
군주
사용기간(음력)
연호 이름
한자
년수
비고
당우지(唐寓之)
486년
흥평
興平
1년
옹도희(雍道晞)
500년 2월
500년 3월
건의
建義
1년
양나라의 기타 정권
북위의 기타 정권
동위의 기타 정권
군주
사용기간(음력)
연호 이름
한자
년수
비고
왕초촉(王迢觸) 조이룡(曹貳龍)
536년 9월
평도
平都
1년
북제의 기타 정권
북주의 기타 정권
군주
사용기간(음력)
연호 이름
한자
년수
비고
유몰탁(劉沒鐸)
577년 11월
석평
石平
1년
당(초기)
↑ 당 중종 의 휘를 피휘하여 명경(明慶), 광경(光慶) 등으로 바꾸어서 사용함.
↑ 678년 12월 경에 연호를 통건(通乾)으로 정하고 난 후에 다음 해 1월에 개원하려 하였으나, 연호의 의미가 좋지 않다 하여 개원을 취소함.
↑ 당 현종 의 휘를 피휘하여 영숭(永崇)으로 바꾸어서 사용함.
↑ 이 때부터 황태후 측천무후의 임조칭제 (臨朝稱制)로 인하여, 실질적으로는 이 연호부터 측천무후의 연호로 기록됨.
↑ 이 때 달력의 정월(正月)을 11월로 바꾸면서, 원래 정월은 일월(一月)로 칭함. 또한 12월은 납월(臘月)로 표기를 변경함.
↑ 재초 시기에 바꾼 달력을 원상복구 함.
↑ 중종이 즉위하고 나서 당나라로 재건된 후에도 707년 까지 사용하고 새 연호로 개원함.
당(중기/후기)
↑ 당 현종 의 휘를 피휘하여 당원(唐元), 당흥(唐興), 당안(唐安)으로 바꾸어 적기도 함.
↑ 천보 3년(744년 )부터 칭년을 년(年)에서 재(載)로 바꾸어 표기함.
↑ 연호를 건원으로 개원하면서, 다시 연호의 칭년을 년(年)으로 표기함.
↑ 연호 제도를 폐지한 후에 761년 을 원년으로 칭하면서 칭원법을 바꿈.
↑ 762년 에 연호 제도를 부활시켜서 칭원법을 다시 원상복귀함.
↑ 경종 즉위 후에 영신(永新) 연호로 개원하였으나, 며칠 후에 폐지하고 원화 연호로 환원함.
↑ 십국 군주 중 일부 세력들은 천우 연호를 인정하지 않고 천복 연호를 사용함.
↑ 애제 (哀帝) 즉위 후에도 이어서 사용됨.
↑ 당나라가 멸망 후에 오대 십국 시대 시기에도 십국 군주(거란)들의 의해서 임시 연호로 사용됨.
당나라의 기타 정권
남조
↑ 말제가 즉위한 후에 건화 연호로 환원하였으며, 정명으로 개원하기 전에 잠시 동안 사용함.
후량의 기타 정권
↑ 개국한 후에 새 연호를 개원하지 않고, 후진의 천복 연호를 차용함.
↑ 은제 (隱帝) 때도 사용함.
↑ 은나라 (殷) 시기에 개원한 연호를 민나라 황제 재위 후에도 사용함
남한의 기타 정권
↑ 958년 5월 이후로 칭제 건원을 포기하면서 연호제 폐지.
대요(大遼)
요나라의 기타 정권
전기 대리국
대중국(大中國)
군주
개원연월일 (음력/양력)
종료연월일 (음력/양력)
연호 이름
한자
년수
비고
고승태 (高昇泰) 표정제(表正帝)
1094년
1095년
상치
上治
2년
후기 대리국
대리국의 기타 정권
북송의 기타 정권
↑ 1129년 3월 무인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서 고종을 폐하고 태자 조부를 황제로 옹립하였으며, 연호를 명수 (明受)로 개원함. 한 달도 안되어 고종이 복위되면서 다시 연호를 건염으로 환원함.
↑ 원래 개원할 연호는 순희(純熙)였으나, 며칠 후에 순(純)자를 순(淳)자로 교체하여 연호를 개원함.
↑ 송 공제와 황족들이 원나라에 항복한 후에도 일부 권신과 황족들은 단종을 세워 경염으로 개원할 때까지 사용함.
남송의 기타 정권
대금(大金)
금나라의 기타 정권
대원(大元)
↑ 원 명종 (元明宗) 시기에도 사용.
↑ 원 영종 (元寧宗), 원 혜종 (元惠宗) 시기에도 사용.
↑ 북쪽으로 피신한 후에도 소종 즉위년까지 사용함.
원나라의 기타정권
대명(大明)
↑ 정난의 변 이후에 새 연호 개원 대신 홍무 연호 사용. 이듬 해 영락으로 개원함.
↑ 토목의 변 으로 인한 양위.
↑ 토목의 변 으로 인한 즉위로 개원.
↑ 탈문의 변 으로 인한 재즉위로 개원.
↑ 즉위 후 붕어로 인한 즉위년 개원.
↑ 명나라 멸망 이후 남명 세력(반청 세력)이 사용함.
↑ 소무제 즉위년에도 사용.
↑ 즉위년에 붕어로 인한 미개원.
명나라의 기타 정권
대청(大淸)
↑ 청 개국으로 인한 개원.
↑ 원래 즉위 후 정한 연호는 기상 (祺祥)이였으나, 신유정변 이후에 동치로 재개원함.
↑ 신해혁명 으로 인한 청 멸망으로 인하여 공식적인 연호 중지.
↑ 청 멸망 이후에도 청실우대조건(淸室優待條件)으로 인하여 청나라 소조정 에서 비공식적으로 사용함.
↑ 1924년 에 일어난 베이징 정변 으로 펑위샹 이 집권하였으며, 이후에 수정청실우대조건(修正淸室優待條件)을 체결한 이후 전면적으로 선통 연호 폐지됨.
청나라의 기타 정권
개원연월일 (양력)
종료연월일 (양력)
기년 명칭
한자
년수
비고
1912년 1월 1일
(사용 중)
민국 (중화민국)
民國 (中華民國)
기타 정권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