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목이 요즘 상황을 반영 못하는 것도 있지만, 요사이 표제어 관련 논의가 많이 이뤄지네요. 아이돌 문서로 좁혀 생각해봐도 다소 어려운 질문입니다. 가독성과 편의성 중 어떤 쪽에 더 비중을 두느냐의 문제니까요. 가령 SS501을 더블에스오공일로 풀어서 표기하자고 주장한다면 거의 대부분 동의하지 않을 것입니다. 입력 시간이 길어지니까요. 그런데 아이오아이를 I.O.I로, 또는 티아라 (음악 그룹)을 T-ARA로 바꾸면 이 역시 반대할 것입니다. 후자는 한글 표기로 꽤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가독성 문제는 아이돌 그룹의 타겟층이 점점 팬덤 위주로 좁아지는 지금 더더욱 불거질 것입니다.
물론 2PM같은 경우도 있으니 이는 더 논의할 가치가 있으나, 적어도 아이즈원 문서는 한글 표제어가 더 가독성이 높고, 입력도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IZ*ONE이란 표기가 첫공개됐을 때 읽는 법 헷갈려한 분들도 꽤 있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더더욱. Reiro (토론) 2022년 10월 23일 (일) 16:12 (KST)답변
편의성은 솔직히 한글표기이겠습니다만, 여기는 사전이니만큼 다소 불편할 수 있더라도 우선시 되는 표기를 채택하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한글 표기가 틀린건 아니지만 분명 괄호안에 병기표기 되어 있고 그 앞에 영문으로 더 우선시 표기되어 있으니까요. 양념파닭 (토론) 2022년 10월 24일 (월) 21:10 (KST)답변
통용표기에는 신문기사 역시 포함됩니다. 제가 표제어 관련 처리시 당연히 기사 역시 참조해 왔고요. 아울러 음반 프로젝트 지침상, 곡명이 동음이의어일 경우 '곡제목 (아무개의 노래)'로 표제어가 정해지는데, 가수나 그룹 문서 제목이 표기하기 까다롭게 설정되면 이 표제어도 덩달아 길어집니다. 사실 LE SSERAFIM 현제 표제어도 한글표기(르세라핌)에 비해 굉장히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여기가 팬덤만의 공간이 아닌 관계로, 일반적인 표기를 채택하는 것이 더 낫지 싶네요. 참고로, 젝스키스의 공식 명칭은 SECHSKIES입니다. 당연하게도 후자로 표기하면 읽을 사람 거의 없습니다. Reiro (토론) 2022년 11월 4일 (금) 22:46 (KST)답변
역시 공식 홈페이지였군요. 하지만, 공홈의 경우 도입부에 "젝스키스는..."과 같이 한글 표기도 보이며, 영문 표기를 최상단으로 표기하는 것은 (웹사이트 미관상) 다른 그룹과의 통일성을 위해 공식 표기 여부와는 무관하게 영문으로 표기할 여지가 있음을 수년전 다른 토론에서도 의견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젝스키스의 경우에는 한글 표기가 맞다고 봅니다. 찾아보니 앨범 발매도 한글명으로 했더군요. 반면 아이즈원의 경우에는 앨범 발매 또한 영문이 우선시 표기되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11월 5일 (토) 22:01 (KST)답변
저도 VIVIZ 같은 건 또 로마자 표기가 좋아보이는 식이라 일관성은 없습니다만, 가급적 표제어 제정 시 편의성도 고려해야 하지 싶습니다. 블랙핑크를 BLACKPINK로 적으면 우선 곡/노래 문서 표제어 전부 길어져서, 그냥 통용되는 한글 표기가 더 나아보이거든요. 그리고 한글/로마자 표기로 팬덤 싸움날 걸 생각하면 조금 머리 아파지고요. Reiro (토론) 2022년 11월 6일 (일) 01:44 (KST)답변
위키프로젝트 기독교에서 가장 많이사용되는 표기 이른바 통용 표기를 기준으로 하갰다는 의견을 남겼습니다. 아이즈원도 양념파닭님의 말씀처럼 우선하는 표기, 통용 표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기, 대체 표기가 아닌 공식 표기를 기준으로 해야됩니다. 그러므로 영문을 표제어로 정한다로 갈음합니다. --Benohight214 (토론) 2022년 10월 26일 (수) 20:12 (KST)답변
요즘 대부분의 아이돌들이 영문 표기를 많이 하던데, 굳이 이 표기를 한국어로 옮겨가며 적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다른 이들이 불편하다할지라도, 아이돌의 경우에는 공식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하나의 선례로 삼고, 추후에 문서 제목 정하기 등에서 더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125.178.79.199 (토론) 2022년 10월 27일 (목) 10:3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