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가 오늘 로그인하지 않고 위키미디어 위키를 편집할 때, 우리는 그들의 IP 주소를 보여줍니다.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앞으로는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온라인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규범과 규정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위키미디어 재단 법무 부서의 결정입니다.
IP 대신 마스킹된 ID를 표시합니다. 관리자는 계속해서 IP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리자가 되지 않고도 문서 훼손, 괴롭힘 및 스팸에 맞서기 위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의 전체 IP를 확인해야 하는 사용자를 위한 새로운 사용자 권한이 있습니다. 점검자는 이 사용자 권한이 없어도 IP의 일부를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또한 더 나은 도구를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전에 본 적이 없다면 메타에서 더 많은 것을 읽을 수 있습니다. 위키미디어 위키의 기술 변경 사항을 놓치지 않으려면 주간 기술 뉴스레터를 구독하면 됩니다.
이 ID가 작동할 수 있는 두 가지 제안된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와 미래에 여러분과 여러분의 위키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에 대한 여러분의 피드백에 감사드립니다. 토론 페이지에서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언어로 쓸 수 있습니다. 제안 사항은 10월에 게시되었으며 1월 17일 이후에 결정할 것입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위키백과에서 단독 문서로 만들어지려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통해 회사가 등재될 수 있는지 검증해야 합니다. 그러나 회사 및 단체 관련 등재 기준으로 보아, 웹상에서는 덕우무역상사에 대한 정보를 찾기 어려웠습니다. 여기서 관련 정보란 단순 설립신청서, 특허권, 신제품 보도 등 일반적인 자료가 아닌, 그 이상의 심층 보도입니다. 예를 들어 아사달 (기업)은 대통령상 수상 기록이 있어 등재되었죠. 타다 (플랫폼)은 사회적으로 여러 화두가 되어 출처가 많아져 등재되었고요.
아쉽지만 위키백과에 모든 기업을 등재할 수는 없습니다. 위키백과의 정책상 출처를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위키백과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드리며, 귀사의 문서를 등재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는 답변을 남겨드려 송구스럽습니다. 귀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Reiro (토론) 2022년 1월 10일 (월) 16:46 (KST)답변
킹기도라는 고질라 시리즈의 악역 괴수고, 이전 글에서도 설명이 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Reiro님은 지난 1월 4일에 킹기도라 문서를 포켓몬 목록 문서로 넘겨주기를 하셨고, 그래서 문제가 많긴 했지만 발전 가능성이 있던 문서 하나가 사라질 뻔 하였습니다. (현재는 제가 수정했습니다) 혹시나 다시 그러실까봐 글을 남겼습니다. 앞으로는 넘겨주기를 조금 더 신중히 고민하시고 결정해주세요. Tenodera sinensis (토론) 2022년 2월 5일 (토) 00:00 (KST)답변
해당 조치는 무언가를 다시 공개하는 조치가 아니라, 그 반대의 조치였습니다. 내용을 다시 확인해보시면 확인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짧게 답변드린 메일 내용대로, 아직 남아있는 부분이나 제가 놓친 부분이 있다면 발견 즉시 알려주세요. 적어도 xml에서는 확인된 내용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오히려 특정판 삭제가 되지 않은 채로 장기간 유지된 판이 있어 해당 부분도 처리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특정판 삭제 설정이 변경된 이유는 특정판 삭제의 대상이 아닌 판이나 요약, 계정이름까지 모두 특정판 삭제처리가 되어 있어 숨김 대상을 처리하고 아닌 부분을 정리하기 위해 변경되었습니다. --Sotiale (토론) 2022년 2월 20일 (일) 13:09 (KST)답변
관리 작업을 위해 TW 도구를 사용하시는 것 자체는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문서의 내용을 제대로 살피지 않고 일괄 삭제하시는 것이 발견되고 있어 주의를 드리고자 합니다. 예를 들면, TW로 삭제를 진행하신 보오르추 문서의 경우 볼츠 → 볼츠 (동음이의)로 연결해주는 링크가 깨져버렸습니다. 그리고 대개 "독자 연구"를 보고 삭제하신 것으로 추정됩니다만 외부로부터 "독자 연구"라는 이유가 들어와서 삭제하실 때에는 독자 연구로 보이는 부분만 지우고 문서를 보존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살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독자 연구" 사유라면 Yoyoma88님의 삭제 신청이 대부분으로 생각되었지만, 근래 들어서는 도막운동을 작성하신 Yoyoma88님의 반대 급부로서 일부 신규 사용자들(Lys2022, Yjtyjysj88 등)의 "독자 연구"로 인한 삭제 신청이 들어오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TW로 거를 수 없는 상황이오니, 차라리 TW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제 생각이 무조건 옳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관리자는 관리 기능을 주의있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정책적으로 정해진 사항이므로 참고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ted (토론) 2022년 3월 2일 (수) 08:06 (KST)답변
김두만 (1884년) 문서는 한 개인 사용자에 의해 김두만 (1893년) 문서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은 것입니다. 문서의 삭제 이력을 보시면 다수 사용자들의 기여가 김두만 (1893년) 문서에 남아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김두만 (1893년) 문서를 김두만 (1884년) 문서로 이동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바입니다. 제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으면 말씀해 주시고 해당 문서의 삭제에 대한 해명을 요청드립니다. --ted (토론) 2022년 4월 24일 (일) 08:33 (KST)답변
이와 더불어 이러한 일괄 삭제는 "수봉 김두만" 문서의 끊긴 넘겨주기까지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함께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TW는 편의를 위한 도구이지만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면 삭제 시 아예 TW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고려해 주십시오. --ted (토론) 2022년 4월 24일 (일) 08:35 (KST)답변
안녕하세요. 오랜 시간 동안 악성 다중 계정으로 마음 고생이 심하셨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 글을 남긴 이유가 이쪽에 관련된 것인데, 항상 수고하십니다. 메일짱 계열 계정들은 다중계정 검사 없이 전부 백:오리로 무기한 차단 되었는데, 해당 계정들을 검사하지 않으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Magika (토론) 2022년 4월 26일 (화) 00:30 (KST)답변
다중 계정 검사도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지, 아이피를 바꿔버리면 못 잡는 경우도 왕왕 생기더군요. 실제로 동원 아이피로 의심되는 하나는 불가리아 대역이었습니다. 사실 영어판에서는 그래서 검사관들이 백:오리도 곧잘 적용합니다만, 일전 특정 관리자의 권한 남용으로 한동안 자제하고 있었죠. 한국어 위키백과가 그동안 관리 능력이 부족했던 까닭엔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 이번 건에 한해서는 저 위의 이유로 보면 되겠습니다.
백:오리도 사실 꽤 불안정한 시스템입니다. 오폭 가능성도 높아 남용하긴 부담스러운 수단이죠. 그래서 다들 사용하기 주저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중 계정의 집착에 가까운 공동체 와해 및 토론 방해 시도로, 다른 선량한 유저들을 지키고자 해당 수단을 쓸 수밖에 없었습니다.
일례로, 해당 유저의 다중 계정으로 의심되는 것 중 하나는 일전 돈가스 토론에서 '돈가스는 한국의 것을 제일 먼저 의미한다'는 독단적 주장을 무려 3개월동안이나 끌며 다른 사용자들의 인내와 기력을 소진시켰습니다. 그도 모자라 토론이 끝나갈 무렵, 엉뚱하게도 고로케에 똑같은 논리를 내세우며, 수많은 특허권 (보통 특허권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중 하나를 근거로 인용하는 등 무리한 해석을 반복하다 차단되었지요. 그 외에도 자신과 부딪힌 관리자들에 권한 회수 토론을 남발하여 다중 계정의 투표 동원했고, 이는 관리 의지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분탕 행위의 폐해는 모두 일반 유저들이 받게 됩니다.
물론, 백:오리를 조금 더 신중하고도 적극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관리 인원분들의 의지와 일반 사용자분들의 신뢰 및 적절한 감시가 뒤따라야겠지요. 그렇다면 제가 굳이 적용하지 않아도, 다중 계정 검사에서 바로 결론날 수 있을 테니까요. 다행히도 요즘은 백:방해 편집, 백:분쟁 해결 등 규정이 생겨 관리에 참고가 됩니다만, 백:조정처럼 적극성이 필요한 곳엔 인원이 부족해 아쉽네요. 더 궁금한 점 있으시다면 질문해 주세요.:) Reiro (토론) 2022년 4월 26일 (화) 01:24 (KST)답변
늦은 시간에도 장문의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의심 계정 하나를 발견했는데 신중한 판단을 위해 다검도 생각하고 있어서 질문 해봤습니다. 말씀해주신 백:조정의 경우 개선안이 필요하다 판단해서 개정을 생각해보고 있는데 개정아마 다음달 초에 토론 열 것 같네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Magika (토론) 2022년 4월 26일 (화) 16:57 (KST)답변
@신태일93: 저는 처음에 "여러글이 지워지고 수정되는 점이 불편하네요"라기에 더 찾아달라는 소리인 줄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신태일님의 요구는 문서 사유화가 되므로 불가능하지만, "10원어치 기름" 등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내용까지 전부 집어넣는 게 생존 인물 보호 원칙과 부합하지는 않으므로, 출처가 있더라도 삭제할 수 있습니다. (백:생존:"사생활에 대한 흥미 위주의 기사가 반복되지 않게 하세요")
다만 유튜브 라이브건이나 팬더티비 복귀 건은 (자세한 방송 내용은 삭제한다고 해도) 님의 주요 방송 경력이기도 한 만큼 지우기 어렵겠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그리고 84만명으로 적혀있던 것은 출처 변경 없이 그저 한 팬이 본문의 숫자만 바꿨을 것이라고 짐작만 하고 있습니다.--Reiro (토론) 2022년 5월 19일 (목) 15:31 (KST)답변
@신태일93: 일단 후자는 다시 말씀드립니다만 문서 사유화라 불가능합니다. 신상 정보 유출이라거나, 지나치게 모욕적인 내용이 담겨 있다면 모를까, 굳이 활동 내역을 바꿀 필요가 있을까요? 무엇보다 톨게이트 건 등 대다수의 추가 활동에 출처가 없습니다. (저것도 팬이 출처 없이 추가한 내용인 듯 하네요). Reiro (토론) 2022년 5월 19일 (목) 15:45 (KST)답변
안녕하세요. 이렇게 요청을 드리고 싶진 않았으나 상황이 상황이니 만큼 부득이하게 글 남깁니다. 현재 사용자 관리 요청에 있는 구순돌 사용자 관련해서 처리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구구절절 설명드리긴 좀 장황하고 현재 해당 사용자가 저에게 해당 공간에서 법적 위협까지 가하고 있어 관리자분의 개입이 시급하니 이 부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2022년 7월 14일 (목) 21:19 (KST)답변
개인 사정으로 뒤늦게 답변드리게 되어 송구스럽습니다. 우선 토론:김건민이나 이전 관련 삭제 토론에서 위키백과의 입장은 확인 삭제로 모였습니다. 요컨대,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인물)의 기준에 부합하는 출처 및 내용이 충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언론에서 드러난 광고 모델 내지 일시적 방송 출연으로는 단독으로 문서화되기엔 너무 빈약한 근거로 보입니다. 그게 되었다면 여러 아이돌의 방송 출연 목록 문서들이 수없이 양산되었을 테니까요. 모델의 직종 특성을 들어 방송 출연이 어려움을 참작해 달라 하셨지만, 이는 다른 분야의 인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가령 아이돌 그룹 (여자)아이들의 멤버 슈화 문서는 영어판에서, 개인 활동이 없고 오로지 화보 및 인스타그램 기사 등 상대적으로 주요하지 않은 것들만 다뤄졌다는 이유로 해당 걸그룹 문서로 넘겨주기 처리되었습니다.
김건민님 역시 몇 번의 방송 모델 및 일회성 출연이 기사화된 것은 분명하나, 단독 문서로 만들 만큼의 근거는 확보하지 못했다는 것이 제 의견입니다. 차후 활발한 활동으로 저명성 근거를 충분히 확보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실례했습니다. Reiro (토론) 2022년 9월 4일 (일) 14:59 (KST)답변
해당 문서는 과거 사용자:임재균에 의해 생성된 정상적인 문서로 보이며, IP 사용자(61.64.29.188)가 삭제 이유를 "삭제 이유"라고 적어놓고 장난성 삭제 신청을 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트윙클에 의한 일괄 삭제에 해당 문서를 포함시키신 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별다른 이견이 없으면 복구하려고 합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2일 (금) 23:07 (KST)답변
@Ykhwong: 답변이 늦었습니다. 저 당시 삭제 신청 문서가 170여개나 있었고, 개중 대부분이 추방자 또는 무기한 차단자가 생성한 것이었습니다. 제가 한번씩은 검수했으나, 이번 것은 미처 히스토리를 보지 않아서 같이 삭제한 것 같습니다. 송구스럽습니다. 문서 기록까지 검토하고 신중히 사용하겠습니다. Reiro (토론) 2022년 9월 4일 (일) 15:04 (KST)답변
어떤 답변을 드리든 결국 결과에 대해서 책임져야 하기에, Ykhwong님의 지적을 존중합니다. 170여개 즈음 되는 문서를 하나하나 보고 있었지만 또 뭔가 놓치게 되었네요. 신중히 사용하겠습니다.--Reiro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4:21 (KST)답변
안녕하세요. 잘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는 수개월 전의 관리 작업에 대해 문의드려 죄송합니다. 웹디자인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문서의 삭제 기록을 보니, "저작권 침해, 양산형 기능사 문서"라는 이유로 삭제해주셨는데요, 당시 삭제를 결정하셨던 판단 근거나 좀 더 자세한 삭제 사유를 알 수 있을까요? 삭제된 문서 내용을 보면 정리가 필요해보이는 문서가 맞긴한데, 단순한 정의 서술과 시험 내용에 대해 표로 정리한 내용 정도라 딱히 저작권 침해로 보이는 내용은 없어보여서요. '양산형 기능사 문서'라는 사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어떤 사유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아마 당시에 어떤 관리 이슈가 있었던 듯해서 문의드려요. -- Min's (토론) 2022년 9월 4일 (일) 00:07 (KST)답변
@Ha98574: 답변이 늦었습니다. 당시 한 열성 유저분께서 예전에 양산된 자격증 문서들을 일괄 삭제 신청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거의 100개 가까이 되었던 데다, 기록에서 보신 저작권 침해 및 단순 가이드북성 내용 등으로만 점철되어 있었습니다. 이런 부류의 문서들은 당장 위키백과의 몸집을 불릴 수는 있겠으나, 미사여구 및 광고성 메시지, 의미 없는 정보 나열 등만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품질 하락 및 그로 인한 사용자 오도 또는 모방을 야기합니다. 무엇보다 출처가 상당히 빈약하거나 지방지 등 편파적이거나, 이해관계에 놓여 있는 것들만 있어 발전 가능성도 없습니다. 실제로 양산형 협회 문서들을 보고 다른 회사 및 협회에서 '우리 니네 문서 보고 했는데 뭐가 문제냐'고 되묻는 실정입니다. 학교 문서에는 왜 출처가 필요하냐고 오래된 사용자마저 반론하고요.
적어도 정보처리기능사 문서는 정보기능사와 더불어 역사가 꽤 길고 상당히 잘 알려진 자격증입니다. 관련 기사도 많고 등재 기준은 충족한다고 생각됩니다. 홍보성 내용이 있으면 지우고 보완하되 출처를 보충하는 식으로 진행했으면 합니다. --ted (토론) 2022년 9월 4일 (일) 16:37 (KST)답변
안녕하세요. 혹시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 및 종목,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능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사) 등 목록형 문서가 삭제된 상황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해당 문서들은 당시 "저작권 침해, 양산형 기능사 문서"라는 이유로 삭제된 문서인데요, 국가기술 자격의 속성과 종류에 대해 비교할 수 있도록 정리된 목록형 문서인 것으로 보입니다. 목록형 문서의 특성상 저작권 침해의 요소는 보이지 않고, 수년간 유지되고 가꿔지던 문서라 양산형 문서로 보이지 않고, 기능사가 아닌 문서도 포함되어 있어서, 혹시 제가 잘 모르는 상황이나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없다면 해당 문서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알차게 사용할 수 있는 백과사전 항목으로 보이는데, 삭제된 해당 항목을 복원하거나 관련 상위 주제 백과사전 항목으로 옮기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자 합니다. -- Min's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3:41 (KST)답변
추가적으로, 기사 (자격), 기술사 항목에 대한 자세한 삭제 연유에 대해서도 안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두 항목은 기능사, 산업기사와 같이 특정 단계나 등급에 해당하는 자격군을 통칭하는 자격 종류 중 하나입니다. 삭제된 항목을 살펴보면 법령이나 규정상의 사항에 대한 부분이거나 특정 관련 인물이 언급한 평가를 출처를 밝혀 인용한 부분 등 통상적인 수준의 인용 외에는 저작권 침해의 요소를 확인하지 못했고, 10년 이상 백과사전 항목으로서 유지된 문서이기에 양상형 문서라는 판단에 대해서도 의아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래된 관리 작업이라 잘 기억이 나지 않으시겠지만, 제가 잘 모르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Min's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4:08 (KST)답변
제 기억상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 및 종목,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능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산업기사),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사)은 분류가 해야 할 일을 문서가 하고 있는 전형적인 단순 나열형 문서였습니다. 다시 말해, 예전 버스나 협회 문서처럼 발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들을 양산하고서는 나열함으로써 마치 해당 문서의 주제가 저명하다고 생각하게끔 착각을 불러일으키도록 의도적으로 배치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백번 양보하여 그 자격증 문서들이 전부 저명하다고 해도 나열은 분류에서 할 일이고, 그 이전에 저 증서들이 전부 저명한지도 의문이었습니다.
휴대폰으로 편집중이라 바로 확인하긴 어려운데, 기사 (자격) 등 문서는 "삭제된 항목을 살펴보면 법령이나 규정상의 사항에 대한 부분"이라는 점이 문제입니다. 예전 동사무소 문서들도 그렇고 간혹 다른 분들이 출처로 법령을 끌고 오는 부류가 잦은데, 단순 신고 및 설립 근거에 가까운 법령만으로는 저명성을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가령 법적 설립 근거가 있는 '위원회' 7천여곳이 1년간 회의를 단 한 번도 하지 않아 폐지가 예고되었지요) 그런 논리대로면 동사무소 문서들도 전부 만들어야겠죠. 위키백과는 단순히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문서를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굳이 바꾸자면 특정 넘겨주기 정도로는 가능할지도 모르겠으나, 단순 법률 조항 줄줄 나열한 문서로 리다이렉트하는 방식이라면 큰 의미는 없다고 여겨집니다.
그리고 한국어 위키백과 특성상, 10년이라는 기간만으로 저명함을 얻었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양산형 초등학교 문서들도 그보다 역사는 훨씬 오래되었지만, 현재까지도 기관 소개 페이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곳은 없으니까요. 물론 출처도 빈약하고요. 사유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들의 경우 단순 법령 나열이라 당시로서는 저명성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는 점에서 저렇게 작성했습니다. 궁금한 점은 더 여쭈어 보샤도 괜찮습니다.Reiro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4:39 (KST)답변
접속 여건이 어려우신 상황 속에서도 친절히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삭제된 항목을 살펴보셔서 아시겠지만 자격 종목 관련 문서는 위키백과 내 문서 항목을 단순히 나열한 문서가 아니라, 해당 국가기술자격이 운영되고 있는 전반적인 사항을 표로 도식화하여 나타낸 문서입니다.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 문서와 같이, 해당 분야에 속하는 종목의 현황에 대해 어떤 기준을 가지고 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것은 그간 백과사전 항목에서 많이 기술해오던 방식 중 하나입니다.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적어도 상위 주제 백과사전 항목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확인한 범주 내에서는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는데요, 만약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문제가 없다면, 삭제된 해당 항목을 상위 주제 백과사전 항목에 이용해도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직접 작업해보려고 하는데, 제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저작권 관련 문제가 있는지 알고 싶네요.
기사 (자격), 기술사 문서는 예시를 드신 양산형 초등학교 문서와는 다른 경우입니다. 여기서 말씀드리는 기사 (자격), 기술사는 해당 자격에 속하는 세부 자격(예: 정보처리기사 등)을 말씀드리는 것이 아니라, 기사/기술사 국가자격제도 전반을 다루는 문서인 기사 (자격), 기술사 문서 그 자체를 말씀드리는 것입니다.(기능사, 산업기사 문서처럼요.) 해당 두 문서는 주제 자체가 백과사전 항목으로 등재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신 것인지, 아니면 백과사전 항목에 등재할 수는 있는 주제이지만 당시 문서 내용에 문제가 있어 삭제로 판단하신 것인지 여쭙고 싶습니다. -- Min's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5:26 (KST)답변
아울러, 오해가 있을까봐 조심스럽게 말씀드리자면, 10년 동안 위키백과에 유지되었다는 것이 저명함의 근거가 된다고 말씀드리려는 의도는 아니었습니다. 흔히 "양산형 문서"라고 한다면 발전 가능성이 없거나 질이 낮은 비슷한 문서들을 단기간에 많이 생성하는 편집 행동을 일컫는 경우가 많은데, 10년 동안 가꿔온 문서가 '양산형 문서'로 판단될 수 있는지 의아하다는 의미였습니다. -- Min's (토론) 2022년 9월 11일 (일) 15:35 (KST)답변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트윙클을 이용하여 한 번에 지우다 보면 삭제 사유에는 종종 대략적인 문제점을 짚고, 그외 사소한 차이 등은 '~등 일괄 삭제'로 퉁쳐서 기술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이런 사용법에 대해 잘못된 삭제 등 지적을 많이 받아 차츰 자제하려고 합니다만, 우선 위에서 언급한 문서들에 한해서라면 삭제 사유는 저작권 침해 의심이 맞습니다. 특히 기사 (자격) 문서의 경우, '시험자격'에서 '제출 서류'까지 제시하는 등 큐넷의 내용을 문체만 바꾸고 옮겨 적은 것으로 보여 삭제가 불가피했습니다.
물론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난다고 해도 제가 그다지 존치하려는 생각이 들지 않는 까닭은, 내용이 단순 나열에 불과하거나 시험 가이드북에 가까운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자격)은 대한상공회의소의 안내문을 거의 그대로 옮겨적은 데다, 시험 절차에 대해서 지나치게 상세한 부분까지 기술하는 등 사실상 자기 자신을 출처로 삼는 것에 지나지 않는 문서입니다. 국가기술자격 종목 (기능사) 역시 그저 기능사 자격증을 주최 기관과 코드만 추가했을 뿐, 단순 나열에 불과합니다. Min's님은 전국체육대회 경기 종목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하지만, 스포츠 관련 문서 특성상 종목 목록은 그 하나하나가 전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충분히 다뤄졌기에 단독문서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짚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올림픽 경기 종목처럼 말입니다. 미용사 (일반)이나 미용사 (피부) 등 자격증 관련 내용이 과연 독립된 문서로 만들어질 수 있을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범위의 협소함이나 이미 미용사라는 문서가 있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은 상당히 낮게 보고 있습니다.
삭제 토론을 하다 보면 상대방이 "운영"이라는 단어를 유지 근거로 곧잘 들기도 합니다. 가령 "운영 현황"을 보여준다거나, "운영적인 측면"을 다룬다거나, 하는 식으로요. 대부분 협회나 기업 관련한 토론인데, 이를 위키백과에서는 "자신에 대한 이야기"라고 번역합니다. 실제로 그들의 출처를 보면 자기 자신의 발행물이거나, 단순 인사 이동 및 운영 상태 등 관례적인 활동 보도를 들지요. 자격증 문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 단순히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목록을 만드는 것은 꽤 어렵습니다.
제가 보기에 기사 및 기능사 등은 국가자격제도에서 간략히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해 보입니다. 지금 있는 내용은 오히려 위키책에서 다루는 게 더 나을 것 같아요. 실제로 가이드북이라면 그쪽에서 전담하고요. 어떤 구상을 하고 계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건투를 빕니다. Reiro (토론) 2022년 9월 12일 (월) 18:32 (KST)답변
상세한 안내 감사드립니다. 삭제된 문서들은 제가 어떤 기여도 하지 않은 문서이기 때문에, 기여자 분이 어떤 문서에서 영감을 얻은 문서인지까지는 잘 알지 못합니다. 말씀하신대로 단독 문서로 존치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저작권 상의 문제가 아니라면 상위 문서에 기술해도 훌륭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국가기술자격 직무분야 및 종목 문서는 저작권 침해와 양산형 문서라는 이유로 삭제해주셨는데, 혹시 해당 문서가 제가 알지 못하는 저작권 침해 사실이 있는지, 그리고 양산형 문서인지 여부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만약 저작권 침해 사실이 없고 양산형 문서와는 거리가 멀지만, 해당 내용을 가공하여 상위 주제 문서(국가기술자격 등)에서 이용해도 괜찮을지 Reiro 님의 견해가 궁금합니다. -- Min's (토론) 2022년 9월 13일 (화) 08:09 (KST)답변
안녕하세요, 조정 요청 이후로는 처음인가요? 오랜만입니다:) 그때는 제가 조정자로서 많이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이라도 수고하셨다는 말을 드립니다. 최근에 사랑방에 비판, 사건사고, 논란 내용의 서술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토론을 발제하였는데 기대한만큼 참여도가 높지는 않더군요.(백:사랑방/2022년 제35주#평가/논란의 등재기준과 적용 범위) 그래서 평소에 중립성 문제, 백과사전적 문체 쪽에서 의견을 많이 주도해주신 레이로님에게 토론 참여를 부탁드리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Magica (토론) 2022년 9월 7일 (수) 23:22 (KST)답변
개별 IPv6를 차단해보셔서 아시겠지만 IPv6는 아이피 자원이 많아 아이피를 바꾸기가 무척이나 쉬워서, 개별 아이피의 장기차단은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해당 아이피 사용자의 장난을 막는 데에 목적이 있다면 살펴보니 특:기여/2604:3D09:6C7C:DDA0:0:0:0:0/64 대역을 3개월 정도 차단하는 것이 더 유효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대역은 한국어 화자가 주로 사용하는 대역이 아니라 캐나다 ISP에서 할당하는 것이므로 3개월의 장기차단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Sotiale (토론) 2022년 9월 12일 (월) 19:09 (KST)답변
@Reiro Hello dear Reiro! Please can you fix the machine translation errors on this draft: 초안:토그 as I really want to see it as an article on Korean Wikipedia for this car manufacturer which is becoming popular. You can use the content I used in English (by translating the incorrect content written in Korean to English with Google Translate directly from the browser - then writing it correctly in Korean). And the title should be 토그그 which is '''Togg''' and not 토그 which is translated only '''Tog''', without a "G". I would thank you so much if you would contribute for this article. I asked for assistance at ko:위키백과:사랑방(Wikipedia:Village pump) but no one is contributing for this particular draft and article so far. ARDITGILA (토론) 2022년 12월 2일 (금) 23:23 (KST)답변
Thank you, @ARDITGILA:. I think you would like to create en:Togg in Korean Wikipedia. I am not good at English, but try to help you. First, most correct Korean transcription of Togg's is '토그'. Your draft is not bad, but English version looks like more reliable, and easy to translate. If you want, I will bring that article in here by translation. Have a nice day:) Reiro (토론) 2022년 12월 5일 (월) 21:56 (KST)답변
안녕하세요. 현재 학교 문서에 대해 산적한 문제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사용자 토론을 찾았습니다. 제가 등재기준을 쓰고 있는데, 저는 규칙이나 지침을 정하는 일에 능숙하지 않아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때문에 의견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ebeen (토론) 2024년 8월 22일 (목) 13:21 (KST)답변
저는 관리자 회수 토론에서 다른분께서 남기신 글을 보고, 지금까지 회수토론에 남겨진 글들을 다 읽지도, 확실하지도 않은데 중력 500배의 내용을 해명하라고 했습니다. 제가 생각이 짧았으며, 너무 죄송스럽고 제가 괜히 오해했습니다. 갑자기 해명하라고 해서 너무 죄송합니다. 사실도 아니고, 저의 오해인데 이런 짓을 벌여 너무 죄송합니다. 관리자 권한 회수 토론에도 참여하지 않겠습니다. 🩷님피아🩷💌🩷 2024년 8월 25일 (일) 09:39 (KST)답변
3년 전부터 Reiro님과 함께 위키백과에서 협업하며 Reiro님의 위키백과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큰지 느꼈는데, 이번 일로 인하여 기여가 뜸해지지 않기를 일개 사용자로서 바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함께 협업하며 더 나은 지식의 보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쾌유를 빕니다. --奇跡 ( 💬 | ✍ ) 2024년 9월 19일 (목) 08:00 (KST)답변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편집 역사를 확인하여, 삭제를 신청한 사람과 토론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편집자들도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삭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소개나 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편집하실 때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