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클린 스트리트역 (IRT 브로드웨이-7번로선)![]()
프랭클린 스트리트(영어: Franklin Street)역은 뉴욕 지하철 IRT 브로드웨이-7번로선의 역이다.[4] 전시간 1 열차가, 심야시간 2 열차가 운행된다. 역사이중 계약(Dual Contracts)은 1913년 3월 19일에 체결된 계약으로, 뉴욕의 도시철도 노선 건설 및 개조 및 운영을 위한 계약이다. 이 계약들은 시와 두 개의 분리된 민간 회사(인터버러 래피드 트랜짓 컴퍼니와 브루클린 래피드 트랜짓 컴퍼니) 사이에 체결되었다는 점에서 "이중"이었다. 이중 계약은 브루클린에 몇 개의 노선을 건설할 것을 약속했다. 계약 4의 일부로, IRT는 맨해튼 서부를 위해 7번로, 바릭 가, 그리고 웨스트 브로드웨이를 따라 남쪽에 원래 지하철 노선의 지선을 건설하는 데 동의했다.[5][6][7] 이 노선의 건설은 렉싱턴 애비뉴선의 건설과 함께 IRT 시스템의 운영을 변화시킨다. 기차가 브로드웨이를 경유해서 42번가로 가는 대신에, 파크 애비뉴로 다다르기 전에, 42번가 셔틀로 연결된 두 개의 간선 노선이 있다. 이 시스템은 노선상의 "Z" 시스템에서 "H" 시스템으로 변경된다. 한 간선은 파크 애비뉴를 따라 새로운 렉싱턴 애비뉴 선을 지나가고, 다른 간선은 브로드웨이를 따라 새로운 7번로 선을 지나게 된다. 이 노선이 배릭 가(Varick Street)와 웨스트 브로드웨이 따라 계속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거리가 더 넓어야 했고, 두개의 새로운 거리로 7번로 확장과 배릭 가 확장이 이루어졌다.[8] 지하철 연장은 첼시, 그리니치 빌리지같은 인근지역과 연결하여 로어웨스트사이드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9][10] 프랭클린 스트리트는 1918년 7월 1일 34번가-펜역발 사우스 페리행 연장선과 함께 개장되면서 셔틀로 운행되었다.[11] 새로운 "H" 시스템은 1918년 8월 1일에 시행하여 브로드웨이-7번로 선의 양쪽을 연결하고 그리고 모든 웨스트사이드 열차를 타임스 스퀘어에서 남쪽으로 보냈다.[12] 전환의 즉각적인 결과로 원래 노선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42번가 셔틀을 이용하여 환승해야 한다. "H" 시스템의 완성은 IRT 시스템의 용량을 두 배로 증가시켰다.[9] 역 구조틀:NYCS Platform Layout IRT Broadway–Seventh Avenue Line/local 이 역은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4개의 선로가 있으며, 승강장간 횡단로가 없다. 중앙선로는 낮 시간대에 2,3 급행열차가 사용한다.[13] ![]() 남행 승강장에는 "스토어 윈도우(store window)" 스타일의 예술 전시가 있고, 북행에는 모조 신문가판대가 있다.[13] 역의 기존 벽타일은 개조중에 교체되었으나, 모자이크 띠는 유지되었다.("Franklin Street" 대형 모자이크, 소형 "F", "To Franklin St."와 "To North Moore St."같은 방향 모자이크)[13] 바닥 타일은 장미색이다.[13] 출구전시간 운영 출구는 상행 부분의 배릭가(Varick Street)와 웨스트 브로드웨이가 만나는 교통섬에 있다.[14] 72번가역과 볼링 그린역에 기존의 IRT 키오스크를 연상시키는 키오스크가 있지만, 1990년대 중반 역의 개보수 과정에서 추가되었다.[13] 배릭가와 프랭클린가의 서쪽 모퉁이에는 하행 부분 거리와 연결되는 계단 출구가 있으나, 부스는 전시간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다. 북쪽 모퉁이의 한 블록에는 상·하행 양쪽에 있는 배릭가와 노스 무어 가(North Moore Street)의 북쪽 모퉁이에 반시간 운영 전체높이 개찰구가 있다.[14] 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