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 (단체)
|
지정일
|
참조
|
101호
|
|
진도 고니류 도래지 (珍島 고니류 渡來地) (Sanctuary of Tundra Swans on Jindo Island)
|
전남 진도군
|
전남 진도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
|
102호
|
|
고저앞바다란도바다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
강원 강원전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
|
103호
|
|
보은 속리 정이품송 (報恩 俗離 正二品松) (Songni Jeongipumsong Pine Tree, Boeun)
|
충북 보은군
|
보은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3]
|
104호
|
|
보은의백송 (報恩의白松)
|
충북 보은군
|
보은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2005년 8월 19일 해제
|
[4]
|
105호
|
|
부여의동매
|
충남 부여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
|
106호
|
|
예산 용궁리 백송 (禮山 龍宮里 백송) (Lacebark Pine of Yonggung-ri, Yesan)
|
충남 예산군
|
충남 예산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
[6]
|
107호
|
|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珍島 雙溪寺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f Ssanggyesa Temple, Jindo)
|
전남 진도군
|
진도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7]
|
108호
|
|
함평 향교리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咸平 鄕校里 느티나무·팽나무·개서어나무 숲) (Forest of Saw-leaf Zelkovas, Japanese Hackberries, and Yeddo Hornbeams in Hyanggyo-ri, Hampyeong)
|
전남 함평군
|
함평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8]
|
109호
|
|
서귀포의곰솔
|
제주 남제주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12일 해제
|
[9]
|
110호
|
|
함평 기각리 붉가시나무 자생북한지 (咸平 箕閣里 붉가시나무 自生北限地) (Northernmost Population of Japanese Evergreen Oaks in Gigak-ri, Hampyeong)
|
전남 함평군
|
함평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0]
|
111호
|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 (珍島 上萬里 비자나무) (Japanese Torreya of Sangman-ri, Jindo)
|
전남 진도군
|
진도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1]
|
112호
|
|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 (靈光 佛甲寺 참식나무 自生北限地) (Northernmost Population of Sericeous Newlitse at Bulgapsa Temple, Yeonggwang)
|
전남 영광군
|
영광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2]
|
113호
|
|
소수서원의졸참나무
|
경북 경북전역
|
영주시장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13]
|
114호
|
|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 (英陽 甘川里 측백나무 숲) (Forest of Oriental Arborvitae in Gamcheon-ri, Yeongyang)
|
경북 영양군
|
영양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4]
|
115호
|
|
경주 독락당 조각자나무 (慶州 獨樂堂 조각자나무) (Chinese Honey at Dongnakdang House, Gyeongju)
|
경북 경주시
|
경주시장
|
1962년 12월 3일 지정
|
[15]
|
116호
|
|
월성외 동면의왕버들
|
경북 경북전역
|
문교부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
[16]
|
117호
|
|
청송의향나무
|
경북 청송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17]
|
118호
|
|
차일봉북수백천연보호구역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18]
|
119호
|
|
부전고원의부채붓꽃군락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19]
|
120호
|
|
음성의학번식지
|
충북 음성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0]
|
121호
|
|
예산삽교의학도래지
|
충남 예산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
[21]
|
122호
|
|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군락 (扶安 道淸里 호랑가시나무群落) (Population of Horned Hollies in Docheong-ri, Buan)
|
전북 부안군
|
부안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22]
|
123호
|
|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군락 (扶安 格浦里 후박나무群落) (Population of Machilus in Gyeokpo-ri, Buan)
|
전북 부안군
|
부안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23]
|
124호
|
|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군락 (扶安 中溪里 꽝꽝나무群落) (Population of Box-leaved Hollies in Junggye-ri, Buan)
|
전북 부안군
|
부안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24]
|
125호
|
|
구례원달리의산수유
|
전남 구례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5]
|
126호
|
|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蔚山 귀신고래 廻遊海面) (Migration Site of Gray Whales of Ulsan)
|
기타 전국
|
강원도,경상북도,울산광역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
[26]
|
127호
|
|
철산책도의저어새,고양이갈매기,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7]
|
128호
|
|
풍산견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8]
|
129호
|
|
칠보산개심사의중국율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29]
|
130호
|
|
명천운만대의고려세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0]
|
131호
|
|
대초도의산벚나무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1]
|
132호
|
|
서수라의산벚나무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2]
|
133호
|
|
개성크낙새서식지
|
경기 경기전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3]
|
134호
|
|
진천의학번식지
|
충북 진천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4]
|
135호
|
|
오골계
|
부산 동래구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81년 9월 17일 해제, 보존가치 상실
|
[35]
|
136호
|
|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保寧 外煙島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n Oeyeondo Island, Boryeong)
|
충남 보령시
|
보령시장
|
1962년 12월 3일 지정
|
[36]
|
137호
|
|
안면도의굴거리나무군락
|
충남 서산시
|
서산시장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7]
|
138호
|
|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泰安 安眠島 모감주나무群落) (Population of Golden Rain Trees on Anmyeondo Island, Taean)
|
충남 태안군
|
태안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38]
|
139호
|
|
해안면의갯노가자·소사나무군락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39]
|
140호
|
|
귀성면의떡갈나무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0]
|
141호
|
|
수산면의중국율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1]
|
142호
|
|
참면의들매나무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2]
|
143호
|
|
양산면의나도박달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3]
|
144호
|
|
전천면의잣나무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4]
|
145호
|
|
후창의조릿대군락
|
기타 전국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
[45]
|
146호
|
|
칠곡 금무봉 나무고사리화석 산지 (漆谷 錦舞峰 나무고사리化石 産地) (Fossil Site of Petrified Tree Fern on Geummubong Peak, Chilgok)
|
경북 칠곡군
|
경북 칠곡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46]
|
147호
|
|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槐山 松德里 미선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White Forsythias in Songdeok-ri, Goesan)
|
충북 괴산군
|
괴산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47]
|
148호
|
|
속리의망개나무
|
충북 보은군
|
보은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8년 6월 21일 해제
|
[48]
|
149호
|
|
난읍비자림
|
경남 남해군
|
.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1년 9월 8일 해제
|
[49]
|
150호
|
|
남해 물건리 방조어부림 (南海 勿巾里 防潮魚付林) (Windbreak Forest of Mulgeon-ri, Namhae)
|
경남 남해군
|
남해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0]
|
151호
|
|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康津 白蓮寺 동백나무 숲) (Forest of Common Camellias at Baengnyeonsa Temple, Gangjin)
|
전남 강진군
|
강진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1]
|
152호
|
|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南海 花芳寺 산닥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Diplomorpha at Hwabangsa Temple, Namhae)
|
경남 남해군
|
남해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2]
|
153호
|
|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 (Forest of Japanese Torreyas at Baegyangsa Temple, Jangseong)
|
전남 장성군
|
장성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3]
|
154호
|
|
함양 상림 (咸陽 上林) (Sangnim Forest, Hamyang)
|
경남 함양군
|
함양군수
|
1962년 12월 3일 지정
|
[54]
|
155호
|
|
울진 성류굴 (蔚珍 聖留窟) (Seongnyugul Cave, Uljin)
|
경북 울진군
|
경북 울진군수
|
1963년 5월 7일 지정
|
[55]
|
156호
|
|
제주 신례리 왕벚나무 자생지 (濟州 新禮里 왕벚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Yoshino Cherries in Sillye-ri, Jeju)
|
제주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56]
|
157호
|
|
울진 불영사 굴참나무 (蔚珍 佛影寺 굴참나무)
|
경북 울진군
|
울진군
|
1964년 1월 31일 지정, 1969년 9월 8일 해제
|
[57]
|
158호
|
|
울진 후정리 향나무 (蔚珍 後亭里 향나무) (Chinese Juniper of Hujeong-ri, Uljin)
|
경북 울진군
|
울진군수
|
1964년 1월 31일 지정
|
[58]
|
159호
|
|
제주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濟州 奉蓋洞 왕벚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Yoshino Cherries in Bonggae-dong, Jeju)
|
제주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59]
|
160호
|
|
제주 산천단 곰솔 군 (濟州 山川壇 곰솔 群) (Population of Black Pines near Sancheondan Altar, Jeju)
|
제주 제주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0]
|
161호
|
|
제주 성읍리 느티나무 및 팽나무 군 (濟州 城邑里 느티나무 및 팽나무 群) (Population of Saw-leaf Zelkovas and Japanese Hackberries in Seongeup-ri, Jeju)
|
제주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1]
|
162호
|
|
제주 도순리 녹나무 자생지 (濟州 道順里 녹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Camphor Trees in Dosun-ri, Jeju)
|
제주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2]
|
163호
|
|
제주 천지연 담팔수 자생지 (濟州 天池淵 담팔수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Elaeocarpus at Cheonjiyeon Falls, Jeju)
|
제주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3]
|
164호
|
|
창원 신방리 음나무 군 (창원 新方里 음나무 群) (Population of Carstor Aralias in Sinbang-ri, Changwon)
|
경남 창원시
|
창원시장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4]
|
165호
|
|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槐山 邑內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Eumnae-ri, Goesan)
|
충북 괴산군
|
괴산군수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5]
|
166호
|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江陵 長德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Jangdeok-ri, Gangneung)
|
강원 강릉시
|
강릉시장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6]
|
167호
|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原州 磻溪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Bangye-ri, Wonju)
|
강원 원주시
|
원주시장
|
1964년 1월 31일 지정
|
[67]
|
168호
|
|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釜山 楊亭洞 배롱나무) (Crape Myrtle of Yangjeong-dong, Busan)
|
부산 부산진구
|
동래정씨문중
|
1965년 4월 1일 지정
|
[68]
|
169호
|
|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 숲 (서천 馬梁里 동백나무 숲) (Forest of Common Camellias in Maryang-ri, Seocheon)
|
충남 서천군
|
서천군수
|
1965년 4월 1일 지정
|
[69]
|
170호
|
|
홍도 천연보호구역 (紅島 天然保護區域) (Hongdo Island Natural Reserve)
|
전남 신안군
|
신안군수
|
1965년 4월 7일 지정
|
[70]
|
171호
|
|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雪嶽山 天然保護區域) (Seoraksan Mountain Natural Reserve)
|
강원 속초시
|
강원도지사, 신흥사 주지
|
1965년 11월 5일 지정
|
[71]
|
172호
|
|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 (康津 까막섬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n Kkamakseom Island, Gangjin)
|
전남 강진군
|
전남 강진군
|
1966년 1월 13일 지정
|
[72]
|
173호
|
|
해남 대둔산 왕벚나무 자생지 (海南 大屯山 왕벚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Yoshino Cherries in Daedunsan Mountain, Haenam)
|
전남 해남군
|
해남군수
|
1966년 1월 13일 지정
|
[73]
|
174호
|
|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 (安東 松仕洞 소태나무) (Indian Quassiawood of Songsa-dong, Andong)
|
경북 안동시
|
안동시장
|
1966년 1월 13일 지정
|
[74]
|
175호
|
|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安東 龍溪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Yonggye-ri, Andong)
|
경북 안동시
|
안동시장
|
1966년 1월 13일 지정
|
[75]
|
176호
|
|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釜山 梵魚寺 등나무群落) (Population of Wisterias at Beomeosa Temple, Busan)
|
부산 금정구
|
부산시 금정구청장
|
1966년 1월 13일 지정
|
[76]
|
177호
|
|
익산 천호동굴 (益山 天壺洞窟) (Cheonhodonggul Cave, Iksan)
|
전북 익산시
|
전북 익산시장
|
1966년 2월 28일 지정
|
[77]
|
178호
|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三陟 大耳里 洞窟地帶) (Cave Area in Daei-ri, Samcheok)
|
강원 삼척시
|
강원 삼척시장
|
1966년 6월 15일 지정
|
[78]
|
179호
|
|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洛東江 下流 철새 渡來地) (Sanctuary of Migratory Birds at Nakdonggang River Estuary)
|
부산 사하구 하단동[1]
|
부산광역시
|
1966년 7월 13일 지정
|
[79]
|
180호
|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淸道 雲門寺 처진소나무) (Weeping Pine Tree of Unmunsa Temple, Cheongdo)
|
경북 청도군
|
청도군수
|
1966년 8월 25일 지정
|
[80]
|
181호
|
|
하청의 느티나무 (下請의 느티나무)
|
경남 거제시
|
.
|
1966년 8월 25일 지정, 1971년 9월 8일 해제
|
[81]
|
182호
|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漢拏山 天然保護區域) (Hallasan Mountain Natural Reserve)
|
제주 제주시 일원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6년 10월 12일 지정
|
[82]
|
183호
|
|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高敞 中山里 이팝나무) (Retusa Fringe Tree of Jungsan-ri, Gochang)
|
전북 고창군
|
고창군수
|
1967년 2월 11일 지정
|
[83]
|
184호
|
|
고창 선운사 동백나무 숲 (高敞 禪雲寺 동백나무 숲) (Forest of Common Camellias at Seonunsa Temple, Gochang)
|
전북 고창군
|
고창군수
|
1967년 2월 11일 지정
|
[84]
|
185호
|
|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 (金海 新泉里 이팝나무) (Retusa Fringe Tree of Sincheon-ri, Gimhae)
|
경남 김해시
|
김해시장
|
1967년 7월 11일 지정
|
[85]
|
186호
|
|
양산 석계리의 이팝나무 (梁山 石溪里의 이팝나무)
|
경남 양산시
|
양산시
|
1967년 7월 11일 지정, 2000년 9월 18일 해제
|
[86]
|
187호
|
|
부산양정동의이팝나무
|
부산 부산진구
|
부산진구청장
|
1967년 7월 11일 지정, 1983년 10월 19일 해제
|
[87]
|
188호
|
|
익산신작리곰솔 (益山 新鵲里 곰솔)
|
전북 익산시
|
익산시
|
1967년 7월 11일 지정, 2008년 12월 15일 해제
|
[88]
|
189호
|
|
울릉 성인봉 원시림 (鬱陵 聖人峰 原始林) (Virgin Forest on Seonginbong Peak, Ulleung)
|
경북 울릉군
|
울릉군수
|
1967년 7월 11일 지정
|
[89]
|
190호
|
|
한강의 황쏘가리 (漢江의 황쏘가리) (Golden Mandarin Fish of Hangang River)
|
기타 .
|
기타
|
1967년 7월 11일 지정
|
[90]
|
191호
|
|
제주의 한란 (濟州의 한란) (Smoothlip Cymbidium of Jeju)
|
제주 제주시 일원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7년 7월 11일 지정
|
[91]
|
192호
|
|
청송 신기리 느티나무 (靑松 新基里 느티나무) (Saw-leaf Zelkova of Singi-ri, Cheongsong)
|
경북 청송군
|
청송군수
|
1967년 7월 11일 지정
|
[92]
|
193호
|
|
청송 관리 왕버들 (靑松 官里 왕버들) (Red Leaf Willow of Gwan-ri, Cheongsong)
|
경북 청송군
|
청송군수
|
1968년 3월 4일 지정
|
[93]
|
194호
|
|
창덕궁 향나무 (昌德宮 향나무) (Chinese Juniper of Changdeokgung Palace)
|
서울 종로구
|
문화재청장
|
1968년 3월 4일 지정
|
[94]
|
195호
|
|
제주 서귀포층 패류화석 산지 (濟州 西歸浦層 貝類化石 産地) (Shell Fossils in Seogwipo Formation, Jeju)
|
제주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1968년 5월 23일 지정
|
[95]
|
196호
|
|
의령 서동리 함안층 빗방울 자국 (宜寧 西洞里 咸安層 빗방울 자국) (Rain Prints in Haman Formation, Seodong-ri, Uiryeong)
|
경남 의령군
|
의령군
|
1968년 5월 23일 지정
|
[96]
|
197호
|
|
크낙새 (White-bellied Woodpecker (Dryocopus javensis))
|
기타 전국
|
기타 전국
|
1968년 5월 31일 지정
|
[97], [98]
|
198호
|
|
따오기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
기타 전국
|
기타 전국
|
1968년 5월 31일 지정
|
[99], [100]
|
199호
|
|
황새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
기타 전국
|
조류보호협회
|
1968년 5월 31일 지정
|
[101], [102]
|
200호
|
|
먹황새 (Black Stork (Ciconia nigra))
|
기타 전국
|
조류보호협회
|
1968년 5월 31일 지정
|
[103], [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