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카라 열도 군발지진 (일본어 : トカラ列島群発地震 )은 일본 의 도카라 열도 인근 해역에서 2025년 6월부터 시작된 군발지진 이다. 2025년 6월 21일부터 총 1,500회 이상의 유감지진이 발생했다.[ 2]
2025년 들어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지진 활동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6월 21일부터로 같은 해 7월 6일 15시(현지 시각)까지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최대진도 1 이상의 지진이 1,303회 이상 발생했다.[ 2] 7월 2일 15시 26분에는 최대규모인 Mj 5.6, Mw 5.7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3] 7월 3일 16시 13분에는 아쿠세키섬 인근에서 최대진도 6약의 지진이 발생했다.[ 2] 도카라 열도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중 가고시마현 도시마촌 에서 진도6약을 관측한 지진은 일본에서 현대 지진 관측 체제가 잡힌 1994년 이후 최초이다.[ 4] [ 5] 또한 가고시마현 내에서 진도6약 이상을 관측한 지진은 1997년 5월 가고시마현 북서부 지진 이후 처음이다.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 은 지난 2021년 과 2023년에도 발생했지만 유감지진 발생 횟수는 2021년 346회, 2023년 308회에 비해 이번 2025년 지진은 이를 훨씬 웃도는 많은 지진이 발생했다.[ 3] 최대진도 4 이상의 지진도 2021년에는 3회(진도5강 1회 포함), 2023년에는 2회였지만 이번 2025년에는 최소 27차례 이상 발생했다.[ 2] [ 3]
지질학적 환경
도카라 열도는 2016년부터 산발적으로 군발지진 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 군발지진은 지하 유체 또는 가스 유입, 해저 단층의 수평 이동이 응력 경로를 바꿔 유발되었다고 추정된다.[ 6] 도카라 열도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북부와 중부 사이 경계선(아쿠세키섬 과 스와노세섬 사이)에 "도카라 갭"(Tokara Gap)이라고 부르는 지형적인 함몰부가 있다. 이는 지질학적, 생물학적으로 도카라 열도를 나누는 구분선이 된다.[ 7] [ 8] 이 도카라 갭 주변에서는 주향이동단층 형 지진이 발생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으며, 도카라 열도 인근을 진앙 으로 산발적으로 군발지진 이 일어난다.[ 9] 2016년 12월에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최대진도 4의 지진이, 2021년 12월에는 최대진도 5강, 규모 M6.0의 지진도 발생했다.[ 10] 그 외에 2021년 4월, 2023년 5월에도 비슷한 군발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매커니즘
구마모토 대학 부교수이자 해양화산학자인 요코세 히사요시는 해저 지형과 지진 진앙 분포를 미루어 보아 도카라 열도에는 3개의 활단층 이 있다고 추정했다. 2021년과 2023년의 경우에는 아쿠세키섬과 소호섬 사이에 있는 2개의 활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했으나 이번 지진에서는 소호섬과 다카라섬 사이에 있는 가장 남쪽의 활단층에서도 지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11]
도카라 열도에는 필리핀해판 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가라앉는 류큐 해구 가 이어진 곳이기 때문에 필리핀해판이 침강할 때 이 판 위에 있는 여러 해산 과 해대 가 유라시아판을 계속 밀어내며 활단층에 변형이 생겨 지진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있다.[ 11]
주요 군발지진 목록
2025년 6월 21일 이후 최대진도 4 이상을 관측한 주요 군발지진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12] [ 13] [ 14] [ 15]
2025년 6월 이후 최대진도 4 이상의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
연도
월일
발생 시각
진앙
진원 깊이
규모
최대 진도
각주
2025년
6월 22일
12시 12분
도카라 열도 근해
20 km
M4.5
진도4
6월 22일
17시 15분
20 km
M5.2
진도4
6월 23일
0 0시 15분
10 km
M3.6
진도4
6월 23일
23시 36분
20 km
M5.0
진도4
6월 24일
0 2시 23분
20 km
M4.9
진도4
6월 24일
16시 0 4분
20 km
M5.0
진도4
6월 29일
10시 14분
20 km
M4.7
진도4
6월 29일
16시 12분
30 km
M5.1
진도4
6월 29일
16시 56분
20 km
M4.0
진도4
6월 30일
12시 36분
20 km
M4.5
진도4
6월 30일
18시 33분
30 km
M5.1
진도5약
7월 0 1일
0 6시 49분
20 km
M4.3
진도4
7월 0 1일
17시 10분
20 km
M4.7
진도4
7월 0 1일
20시 22분
20 km
M4.3
진도4
7월 0 2일
0 4시 32분
30 km
M5.0
진도5약
7월 0 2일
0 9시 0 6분
10 km
M4.4
진도4
7월 0 2일
0 9시 10분
10 km
M3.5
진도4
7월 0 2일
0 9시 14분
10 km
M4.2
진도4
7월 0 2일
14시 22분
20 km
M4.5
진도4
7월 0 2일
14시 51분
매우 얕음
M5.1
진도4
7월 0 2일
15시 26분
10 km
M5.6
진도5약
최대규모 지진
7월 0 2일
16시 17분
20 km
M5.1
진도4
7월 0 3일
0 6시 51분
20 km
M4.4
진도4
7월 0 3일
14시 31분
30 km
M4.5
진도4
7월 0 3일
15시 11분
30 km
M4.6
진도4
7월 0 3일
15시 18분
30 km
M4.6
진도4
7월 0 3일
15시 35분
30 km
M4.2
진도4
7월 0 3일
16시 13분
20 km
M5.5
진도6약
최대진도 지진
7월 0 4일
0 9시0 3분
20 km
M4.4
진도4
7월 0 4일
12시 20분
20 km
M4.3
진도4
7월 0 4일
18시 20분
20 km
sM4.5
진도4
7월 0 5일
0 2시 58분
20 km
M5.3
진도4
7월 0 5일
0 3시 44분
30 km
M4.6
진도4
7월 0 5일
0 6시 29분
20 km
M5.4
진도5강
7월 0 5일
16시 16분
20 km
M4.2
진도4
7월 0 6일
13시 20분
30 km
M4.5
진도4
7월 0 6일
14시 0 1분
20 km
M4.8
진도5강
7월 0 6일
14시 0 7분
20 km
M5.4
진도5강
7월0 6일
23시 44분
20 km
M4.5
진도4
7월 0 6일
23시 50분
20 km
M4.4
진도4
7월 0 7일
0 0시 0 8분
20 km
M4.3
진도4
7월 0 7일
0 0시 12분
20 km
M4.9
진도5약
지진 발생 횟수
2025년 6월 21일부터 각 진도별로 발생한 지진 횟수는 아래와 같다.[ 12] [ 13] [ 14] [ 15]
2025년 6월 21일 이후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의 발생 횟수
진도
6월 21일 8시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
7월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총계
진도6약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1
진도5강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2
3
진도5약
0
0
0
0
0
0
0
0
0
1
0
2
0
0
0
0
3
진도4
0
2
2
2
0
0
0
0
3
1
3
6
5
3
3
0
31
진도3
2
7
10
1
4
0
1
2
11
5
6
19
14
9
11
8
110
진도2
2
34
47
19
16
7
2
4
29
13
32
33
46
18
14
33
369
진도1
24
76
124
46
49
8
13
28
60
43
114
82
101
82
76
54
980
총합
28
119
183
68
69
15
16
34
103
63
155
143
167
112
125
100
1500
반응
일본 기상청 은 7월 2일 저녁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도카라 열도에 지진이 활발한 이유와 향후 전망은 불분명하며, 당분간 진도5약 정도의 흔들림을 보이는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1]
7월 3일 지진으로 진도6약의 흔들림을 느낀 아쿠세키섬은 전체 38가구 30명을 대상으로 피난지시 를 내렸으나, 건물 피해가 없다고 판단해 같은 날에 피난지시를 해제했다.[ 16] [ 17] 이후 섬 밖으로 피난을 원하는 아쿠세키섬 주민 13명에 대해 4일 도시마 2호 페리를 통해 가고시마시 본토로 피난시키겠다고 발표했다.[ 18] [ 19]
가고시마현은 7월 3일 도시마촌에 대해 재해구조법 적용을 결정했다.[ 20]
대지진 음모론
과거에 발생한 2016년 구마모토 지진 과 2024년 노토반도 지진 에서 발생 직전 도카라 열도에서 군발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에 SNS 에서도 이번 지진활동도 대지진의 전조라고 하며 "도카라 법칙"이라는 명칭과 함께 여러 게시물이 퍼져나갔다. 하지만 구마모토 대학의 요코세 히사요시 부교수는 "도카라 법칙"은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다고 이를 부정하며 도카라 열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지진의 규모도 작아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밝혔다.[ 21] 또한 구마모토 지진과 노토반도 지진 직전 발생한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은 우연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22]
또한 2025년 7월 5일에 대재앙이 발생한다는 만화 작품과 도카라 열도 군발지진을 연관지어 보는 SNS 게시물도 올라왔으나 일본 기상청은 이를 "시중에 떠도는 가짜 정보"라고 밝혔다.[ 23]
같이 보기
각주
1월 2월 3월 4월 6월 7월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1885년-1899년
1885년-1889년 1890년-1899년
미노-오와리 (1891년, M8.0)
노토 (1892년, M6.4)
시코탄섬 해역 (1893년, M7.7)
네무로반도 해역 (1894년, M7.9)
도쿄 (1894년, M7.0)
쇼나이 (1894년, M7.0)
가스미가우라 (1895년, M7.2)
이바라키현 해역 (1896년, M7.3)
산리쿠 (1896년, M8.5)
리쿠 (1896년, M7.2)
미야기현 해역 (1897년, M7.4)
산리쿠 해역 (1897년, M7.7)
미야기현 해역 (1898년, M7.2)
후쿠오카현 이토시마반도 (1898년, M6.0)
다라마섬 근해 (1898년, M7.0)
기이-야마토 (1899년, M7.0)
휴가나다 (1899년, M7.1)
1900년-1949년
1900년-1909년
미야기현 북부 (1900년, M7.0)
아마미오섬 근해 (1901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01년, M7.4)
아오모리현 산파치키미카타 (1902년, M7.0)
게이요 (1905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1905년, M7.1)
구마노나다 (1906년, M7.5)
보소 해역 (1909년, M7.5)
아네가와 (1909년, M6.8)
오키나와섬 근해 (1909년, M6.2)
미야자키현 서부 (1909년, M7.6)
1910년-1919년
기가이섬 (1911년, M8.0)
히다카 근해 지진 (1913년, M7.0)
사쿠라섬 (1914년, M7.1)
아키타현 센보쿠 (1914년, M7.1)
이시가키섬 서북부 근해 (1915년, M7.4)
도카치 해역 (1915년, M7.0)
미야기 현 해역 (1915년, M7.5)
아카시 해협 (1916년, M6.1)
시즈오카 (1917년, M6.3)
우루프섬 해역 (1918년, M8.0)
오마치 (1918년, M6.1+M6.5)
1920년-1929년
류가사키 (1921년, M7.0)
우라가 수도 (1922년, M6.8)
시마바라 (192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23년, M7.1)
규슈 동남쪽 해역 (1923년, M7.3)
간토 지방 (간토 대진재 ) (1923년, M7.9)
가나가와현 서부 (192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24년, M7.5)
이바라키현 해역 (1924년, M7.2)
아바시리 근해 (1924년, M7.0)
기타타지마 (1925년, M6.7)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1926년, M7.0)
미야코섬 근해 (1926년, M7.0)
기타탄고 (1927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28년, M7.0)
1930년-1939년
다이쇼지 (1930년, M6.3)
기타이즈 (1930년, M7.3)
동해 북부 (193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31년, M7.2)
사이타마 서부 (1931년, M6.9)
휴가나다 (1931년, M7.1)
동해 북부 (1932년, M7.1)
산리쿠 (1933년, M8.1)
미야기현 해역 (1933년, M7.1)
노토 (1933년, M6.0)
이오지마 근해 (1934년, M7.1)
시즈오카 (1935년, M6.4)
산리쿠 해역 북부 (1935년, M7.1)
가와치-야마토 (1936년, M6.4)
미야기현 해역 (1936년, M7.4)
니지마섬 근해 (1936년, M6.3)
미야기현 해역 (1937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38년, M7.0)
데시카가 (1938년, M6.1)
미야코섬 북서쪽 해역 (1938년, M7.2)
후쿠시마현 동쪽 해역 (1938년, M7.5)
휴가나다 (1939년, M6.5)
오가 (1939년, M6.8)
1940년-1949년
샤고탄반도 해역 (1940년, M7.5)
나가노 (1941년, M6.1)
휴가나다 (194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43년, M7.1)
돗토리 (1943년, M7.2)
나가노현 북부 (1943년, M5.9)
도난카이 (1944년, M7.9)
미카와 (1945년, M6.8)
산리쿠 해역 북부 (1945년, M7.1)
난카이 (1946년, M8.0)
요나구니섬 근해 (1947년, M7.4)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 (1948년, M7.0)
기이 수도 (1948년, M6.7)
후쿠이 (1948년, M7.1)
아키나다 (1949년, M6.2)
이마이치 (1949년, M6.4)
1950년-1999년
1950년-1959년
소야 동쪽 해역 (1950년, M7.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51년, M7.2)
도카치 해역 (1952년, M8.2)
다이쇼지 해역 (1952년, M6.5)
요시노 (1952년, M6.7)
보소 해역 (1953년, M7.4)
이오지마 근해 (1955년, M7.5)
도쿠시마현 남부 (1955년, M6.4)
시라이시 (1956년, M6.0)
이시가키섬 근해 (195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58년, M8.1)
1960년-1969년
산리쿠 해역 북부 (1960년, M7.2)
나가오카 (1961년, M5.2)
휴가나다 (1961년, M7.0)
쿠시로 해역 (1961년, M7.2)
기타미노 (1961년, M7.0)
히로오 해역 (1962년, M7.1)
미야기현 북부 (1962년, M6.5)
이투루프섬 해역 (1963년, M8.1)
니가타 (1964년, M7.5)
시즈오카 (1965년, M6.1)
요나구니섬 근해 (1966년, M7.3)
에비노 (1968년, M6.1)
휴가나다 (1968년, M7.5)
아오모리현 동부 해역 (1968년, M7.9)
산리쿠 해역 북부 (1968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68년, M7.3)
시코탄섬 해역 (1969년, M7.8)
기후현 중부 (1969년, M6.6)
1970년-1979년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70년, M7.1)
니카타현 주에쓰 (1971년, M5.5)
도카치 해역 (1971년, M7.0)
하치조섬 동쪽 해역 (1972년, M7.2)
네무로 반도 해역 (1973년, M7.4)
이즈반도 해역 (1974년, M6.9)
도리시마섬 근해 (1974년, M7.3)
아소 (1975년, M6.1)
시코탄섬 해역 (1975년, M7.0)
동해 서부 (1975년, M7.3)
이즈오섬 근해 (1978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7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78년, M7.5)
미야기현 해역 (1978년, M7.4)
1980년-1989년
지바현 서북부 (1980년, M6.0)
산리쿠 해역 (1981년, M7.0)
우라카와 해역 (198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82년, M7.0)
동해 중부 (1983년, M7.7)
야마나시현 동부 (1983년, M6.0)
미에현 동남부 (1984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84년, M7.6)
휴가나다 (1984년, M7.1)
나가노현 서부 (1984년, M6.8)
휴가나다 (1987년, M6.6)
동해 북부 (1987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1987년, M6.7)
산리쿠 해역 북부 (1989년, M7.1)
1990년-1999년
쿠시로 해역 (1993년, M7.5)
홋카이도 서남쪽 해역 (1993년, M7.8)
도카이도 남쪽 해역 (1993년, M6.9)
동해 북부 (199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94년, M8.2)
산리쿠 먼바다 (1994년, M7.6)
효고현 남부 지진 (한신·아와지 대진재 ) (1995년, M7.3)
이투루프섬 해역 (1995년, M7.7)
가고시마현 북서부 (1997년, M6.4)
이시가키섬 남쪽 해역 (1998년, M7.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98년, M7.1)
이와테현 내륙 북부 (1998년, M6.2)
2000년-현재
2000년-2009년
네무로반도 해역 (2000년, M7.0)
이오지마 근해 (2000년, M7.9)
이즈제도 북부 (2000년, M6.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00년, M7.2)
돗토리현 서부 (2000년, M7.3)
게이요 (2001년, M6.7)
요나구니섬 근해 (2001년, M7.3)
이시가키섬 근해 (2001년, M7.0)
미야기현 해역 (2003년, M7.1)
미야기현 북부 (2003년, M6.4)
도카치 해역 (2003년, M8.0)
기이반도 동남쪽 해역 (2004년, M7.4)
니가타현 주에쓰 (2004년, M6.8)
쿠시로 해역 (2004년, M7.1)
루모이 지청 남부 (2004년, M6.1)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2005년, M7.0)
지바현 서북부 (2005년, M6.0)
미야기현 해역 (2005년, M7.2)
이즈반도 동쪽 해역 (2006년, M5.8)
노토반도 (2007년, M6.9)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2007년, M6.8)
이바라키현 해역 (2008년, M7.0)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방 (2008년, M7.2)
이와테현 연안북부 (2008년, M6.8)
도카치 해역 (2008년, M7.1)
스루가만 (2009년, M6.5)
2010년-2019년
오키나와 근해 (2010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2010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0년, M7.1)
지치지마 근해 (2010년, M7.8)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동일본대진재 ) (2011년, M9.1)
이와테현 해역 (2011년, M7.4)
이바라키현 해역 (2011년, M7.6)
산리쿠 해역 (2011년, M7.5)
나가노현 북부 (2011년, M6.7)
시즈오카현 동부 (2011년, M6.4)
미야기현 해역 (2011년, M7.2)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2011년, M7.0)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2011년, M6.4)
나가노현 중부 (2011년, M5.4)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2011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2012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2012년, M6.1)
산리쿠 해역 (2012년, M7.3)
아와지섬 (2013년, M6.3)
후쿠시마현 해역 (2013년, M7.1)
후쿠시마현 해역 (2014년, M7.0)
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2014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5년, M8.1)
사쓰마반도 서쪽 해역 (2015년, M7.1)
구마모토 (2016년, M6.5+M7.3)
우치우라만 (2016년, M5.3)
돗토리현 중부 (2016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16년, M7.4)
이바라키현 북부 (2016년, M6.3)
나가노현 남부 (2017년, M5.7)
후쿠시마현 해역 (2017년, M5.9)
시마네현 서부 (2018년, M6.1)
오사카부 북부 (2018년, M6.1)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2018년, M6.7)
구마모토 (2019년, M5.1)
3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
휴가나다 (2019년, M6.3)
산리쿠 해역 (2019년, M6.2)
이즈 제도 해역 (2019년, M6.1)
야마가타현 해역 (2019년, M6.4)
미에현 남부 해역 (2019년, M6.6)
8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4)
2020년-현재
이투루프섬 해역 (2020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20년, M6.8)
이시카와현 노토지방 (2020년, M5.5)
4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2)
9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1)
후쿠시마현 해역 (2021년, M7.3)
3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9)
5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8)
노토반도 (2021년, M5.1)
이와테현 해역 (2021년, M5.9)
지바현 북서부 (2021년, M6.1)
도카라 열도 해역 (2021년, M6.1)
휴가나다 (2022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22년, M7.4)
이와테현 해역 (2022년, M5.6)
노토반도 (2022년, M5.4)
노토반도 (2023년, M6.5)
지바현 남부 (2023년, M5.2)
노토반도 (2024년, M7.6)
분고 수도 해역 (2024년, M6.6)
휴가나다 해역 (2024년, M7.1)
휴가나다 해역 (2025년, M6.9)
도카라 열도 해역 (2025년, M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