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고 수도 지진 (일본어 : 豊後水道地震 분고스이도지신[* ] )은 2024년 4월 17일 일본 분고 수도 에서 일어난 지진 이다. 지진 규모 는 일본 기상청 규모 는 Mj 6.6, 모멘트 규모 는 Mw 6.3이다. 에히메현 과 고치현 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최대 진도6약을 관측했다.
시코쿠 지방과 에히메현, 고치현에서 진도6약 이상의 흔들림을 관측한 것은 1996년 일본 기상청 이 현재의 진도 계급으로 개정한 이후 처음이다.[ 2] [ 3]
지질학적 환경
일본은 유라시아판 , 북아메리카판 , 태평양판 , 필리핀해판 4개 판이 만나는 지점 위에 있으며 환태평양 조산대 에도 걸쳐져 있다.[ 4] 이 4개 판 중 난카이 해곡 은 필리핀해판이 태평양판 아래로 일정하게 섭입하면서 들어가는 지역이다.[ 5] 난카이 해곡과 인근 휴가나다 에서는 섭입대에서 일어나는 판 경계형 지진(해구형 지진 )인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과 휴가나다 지진 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6] 판 경계형 지진 외에도 섭입해서 판 경계 안으로 들어간 슬래브 에서도 지진이 발생하는데 이를 "슬래브 내 지진"이라고 부른다.
지진의 진도
진도5약 이상을 관측한 지역은 아래와 같다.[ 7] [ 8] [ 9]
이 외에도 도카이 지방 에서 규슈 지방 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진도1 이상의 흔들림을 관측했다. 또한 대한민국 기상청 은 부산광역시 , 경상남도 , 경상북도 , 울산광역시 등지에서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진도 II 이상의 흔들림을 관측했다고 발표했다.[ 10] [ 11]
고치현 서부에서 일본 기상청 장주기 지진동 계급2를 관측했다.
지진 종류
지진의 발진기구 해는 동서 방향으로 장력축을 가진 정단층 형 지진이며[ 13] 필리핀해판 내부에서 일어난 슬래브 내부 지진 이다.[ 14] 1968년 8월 6일에도 진원 인근에서도 같은 규모(M6.6, 최대진도 5)의 지진이 있었다.[ 15]
난카이 해곡 지진과의 연관성
이번 지진은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 의 예상 진원역 내에서 발생했지만 일본 기상청은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과 발생 구조 등이 다르다는 점을 들어 이번 지진으로 거대지진의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2] [ 3]
피해
일본 소방청은 4월 18일 오후 2시 기주으로 히로시마현에서 2명, 에히메현에서 9명, 고치현에서 3명, 오이타현에서 2명 등 총 16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발표했다.[ 1] [ 16] 흔들림이 강하게 느껴졌던 시코쿠 지방에서는 곳곳에서 산사태 나 수도관 파열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16]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일본 소방청 (2024년 4월 25일). “豊後水道を震源とする地震による被害及び消防機関等の対応状況(第10報)” (PDF) (일본어). 일본 소방청. 2024년 4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気象庁、南海トラフ地震への直接的影響は否定 愛媛・高知の震度6弱” . 《朝日新聞デジタル》. 朝日新聞社.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地震速報】愛媛県と高知県で震度6弱 津波の心配なし” . 《web.archive.org》. NHK . 2024년 4월 17일. 2024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地震発生のしくみ (일본어). 気象庁 . 2014년 7월 1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7일에 확인함 .
↑ Baba, T., Cummins, P. R., 2005, Contiguous rupture area of two Nankai Trough earthquakes revealed by high resolution tsunami waveform invers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 v. 32, doi:1029/2004GL022320.
↑ 瀬野徹三(2011): 「南海トラフ巨大地震 -その破壊の様態とシリーズについての新たな考え」 보관됨 2013-10-05 - 웨이백 머신 , 東京大学地震研究所, 2011年
↑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일본어). 일본 기상청 .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地震情報 4月17日 23時14分頃発生 最大震度6弱” . 《tenki.jp》 (일본어).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愛媛県、高知県で最大震度6弱の強い地震 愛媛・愛南町、高知・宿毛市 津波の心配なし” (일본어). テレビ高知. 2024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ベッドごと揺れた」夜の釜山も飛び起きる…日本のM6.6地震に韓国でも届出140件” . 《中央日報日本語版》.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뉴스1 (2024년 4월 17일). ““부산서도 침대째 흔들”…일본 오이타 해역 규모 6.6 지진” . 동아일보.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長周期地震動の観測結果” . 《気象庁》.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令和6年4月17日23時14分頃の豊後水道の地震について” (PDF) . 《www.jma.go.jp》. 気象庁 .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専門家解説】震度6弱「南海トラフのプレート境界とは別」” . NHK.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일본 기상청.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일본어). 일본 기상청.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随時更新 被害】愛媛・大分で7人けが 愛媛と高知で震度6弱” . NHK.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8일에 확인함 .
1월 3월 4월 6월 8월 9월 11월 12월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1885년-1899년
1885년-1889년 1890년-1899년
미노-오와리 (1891년, M8.0)
노토 (1892년, M6.4)
시코탄섬 해역 (1893년, M7.7)
네무로반도 해역 (1894년, M7.9)
도쿄 (1894년, M7.0)
쇼나이 (1894년, M7.0)
가스미가우라 (1895년, M7.2)
이바라키현 해역 (1896년, M7.3)
산리쿠 (1896년, M8.5)
리쿠 (1896년, M7.2)
미야기현 해역 (1897년, M7.4)
산리쿠 해역 (1897년, M7.7)
미야기현 해역 (1898년, M7.2)
후쿠오카현 이토시마반도 (1898년, M6.0)
다라마섬 근해 (1898년, M7.0)
기이-야마토 (1899년, M7.0)
휴가나다 (1899년, M7.1)
1900년-1949년
1900년-1909년
미야기현 북부 (1900년, M7.0)
아마미오섬 근해 (1901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01년, M7.4)
아오모리현 산파치키미카타 (1902년, M7.0)
게이요 (1905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1905년, M7.1)
구마노나다 (1906년, M7.5)
보소 해역 (1909년, M7.5)
아네가와 (1909년, M6.8)
오키나와섬 근해 (1909년, M6.2)
미야자키현 서부 (1909년, M7.6)
1910년-1919년
기가이섬 (1911년, M8.0)
히다카 근해 지진 (1913년, M7.0)
사쿠라섬 (1914년, M7.1)
아키타현 센보쿠 (1914년, M7.1)
이시가키섬 서북부 근해 (1915년, M7.4)
도카치 해역 (1915년, M7.0)
미야기 현 해역 (1915년, M7.5)
아카시 해협 (1916년, M6.1)
시즈오카 (1917년, M6.3)
우루프섬 해역 (1918년, M8.0)
오마치 (1918년, M6.1+M6.5)
1920년-1929년
류가사키 (1921년, M7.0)
우라가 수도 (1922년, M6.8)
시마바라 (192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23년, M7.1)
규슈 동남쪽 해역 (1923년, M7.3)
간토 지방 (간토 대진재 ) (1923년, M7.9)
가나가와현 서부 (192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24년, M7.5)
이바라키현 해역 (1924년, M7.2)
아바시리 근해 (1924년, M7.0)
기타타지마 (1925년, M6.7)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1926년, M7.0)
미야코섬 근해 (1926년, M7.0)
기타탄고 (1927년, M7.3)
산리쿠 해역 북부 (1928년, M7.0)
1930년-1939년
다이쇼지 (1930년, M6.3)
기타이즈 (1930년, M7.3)
동해 북부 (193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31년, M7.2)
사이타마 서부 (1931년, M6.9)
휴가나다 (1931년, M7.1)
동해 북부 (1932년, M7.1)
산리쿠 (1933년, M8.1)
미야기현 해역 (1933년, M7.1)
노토 (1933년, M6.0)
이오지마 근해 (1934년, M7.1)
시즈오카 (1935년, M6.4)
산리쿠 해역 북부 (1935년, M7.1)
가와치-야마토 (1936년, M6.4)
미야기현 해역 (1936년, M7.4)
니지마섬 근해 (1936년, M6.3)
미야기현 해역 (1937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38년, M7.0)
데시카가 (1938년, M6.1)
미야코섬 북서쪽 해역 (1938년, M7.2)
후쿠시마현 동쪽 해역 (1938년, M7.5)
휴가나다 (1939년, M6.5)
오가 (1939년, M6.8)
1940년-1949년
샤고탄반도 해역 (1940년, M7.5)
나가노 (1941년, M6.1)
휴가나다 (1941년, M7.2)
산리쿠 해역 북부 (1943년, M7.1)
돗토리 (1943년, M7.2)
나가노현 북부 (1943년, M5.9)
도난카이 (1944년, M7.9)
미카와 (1945년, M6.8)
산리쿠 해역 북부 (1945년, M7.1)
난카이 (1946년, M8.0)
요나구니섬 근해 (1947년, M7.4)
와카야마현 남부 해역 (1948년, M7.0)
기이 수도 (1948년, M6.7)
후쿠이 (1948년, M7.1)
아키나다 (1949년, M6.2)
이마이치 (1949년, M6.4)
1950년-1999년
1950년-1959년
소야 동쪽 해역 (1950년, M7.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51년, M7.2)
도카치 해역 (1952년, M8.2)
다이쇼지 해역 (1952년, M6.5)
요시노 (1952년, M6.7)
보소 해역 (1953년, M7.4)
이오지마 근해 (1955년, M7.5)
도쿠시마현 남부 (1955년, M6.4)
시라이시 (1956년, M6.0)
이시가키섬 근해 (195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58년, M8.1)
1960년-1969년
산리쿠 해역 북부 (1960년, M7.2)
나가오카 (1961년, M5.2)
휴가나다 (1961년, M7.0)
쿠시로 해역 (1961년, M7.2)
기타미노 (1961년, M7.0)
히로오 해역 (1962년, M7.1)
미야기현 북부 (1962년, M6.5)
이투루프섬 해역 (1963년, M8.1)
니가타 (1964년, M7.5)
시즈오카 (1965년, M6.1)
요나구니섬 근해 (1966년, M7.3)
에비노 (1968년, M6.1)
휴가나다 (1968년, M7.5)
아오모리현 동부 해역 (1968년, M7.9)
산리쿠 해역 북부 (1968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68년, M7.3)
시코탄섬 해역 (1969년, M7.8)
기후현 중부 (1969년, M6.6)
1970년-1979년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70년, M7.1)
니카타현 주에쓰 (1971년, M5.5)
도카치 해역 (1971년, M7.0)
하치조섬 동쪽 해역 (1972년, M7.2)
네무로 반도 해역 (1973년, M7.4)
이즈반도 해역 (1974년, M6.9)
도리시마섬 근해 (1974년, M7.3)
아소 (1975년, M6.1)
시코탄섬 해역 (1975년, M7.0)
동해 서부 (1975년, M7.3)
이즈오섬 근해 (1978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78년, M7.2)
이투루프섬 해역 (1978년, M7.5)
미야기현 해역 (1978년, M7.4)
1980년-1989년
지바현 서북부 (1980년, M6.0)
산리쿠 해역 (1981년, M7.0)
우라카와 해역 (1982년, M7.1)
이바라키현 해역 (1982년, M7.0)
동해 중부 (1983년, M7.7)
야마나시현 동부 (1983년, M6.0)
미에현 동남부 (1984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1984년, M7.6)
휴가나다 (1984년, M7.1)
나가노현 서부 (1984년, M6.8)
휴가나다 (1987년, M6.6)
동해 북부 (1987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1987년, M6.7)
산리쿠 해역 북부 (1989년, M7.1)
1990년-1999년
쿠시로 해역 (1993년, M7.5)
홋카이도 서남쪽 해역 (1993년, M7.8)
도카이도 남쪽 해역 (1993년, M6.9)
동해 북부 (1994년, M7.3)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94년, M8.2)
산리쿠 먼바다 (1994년, M7.6)
효고현 남부 지진 (한신·아와지 대진재 ) (1995년, M7.3)
이투루프섬 해역 (1995년, M7.7)
가고시마현 북서부 (1997년, M6.4)
이시가키섬 남쪽 해역 (1998년, M7.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1998년, M7.1)
이와테현 내륙 북부 (1998년, M6.2)
2000년-현재
2000년-2009년
네무로반도 해역 (2000년, M7.0)
이오지마 근해 (2000년, M7.9)
이즈제도 북부 (2000년, M6.5)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00년, M7.2)
돗토리현 서부 (2000년, M7.3)
게이요 (2001년, M6.7)
요나구니섬 근해 (2001년, M7.3)
이시가키섬 근해 (2001년, M7.0)
미야기현 해역 (2003년, M7.1)
미야기현 북부 (2003년, M6.4)
도카치 해역 (2003년, M8.0)
기이반도 동남쪽 해역 (2004년, M7.4)
니가타현 주에쓰 (2004년, M6.8)
쿠시로 해역 (2004년, M7.1)
루모이 지청 남부 (2004년, M6.1)
후쿠오카현 서쪽 해역 (2005년, M7.0)
지바현 서북부 (2005년, M6.0)
미야기현 해역 (2005년, M7.2)
이즈반도 동쪽 해역 (2006년, M5.8)
노토반도 (2007년, M6.9)
니가타현 주에쓰 해역 (2007년, M6.8)
이바라키현 해역 (2008년, M7.0)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방 (2008년, M7.2)
이와테현 연안북부 (2008년, M6.8)
도카치 해역 (2008년, M7.1)
스루가만 (2009년, M6.5)
2010년-2019년
오키나와 근해 (2010년, M7.2)
후쿠시마현 해역 (2010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0년, M7.1)
지치지마 근해 (2010년, M7.8)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동일본대진재 ) (2011년, M9.1)
이와테현 해역 (2011년, M7.4)
이바라키현 해역 (2011년, M7.6)
산리쿠 해역 (2011년, M7.5)
나가노현 북부 (2011년, M6.7)
시즈오카현 동부 (2011년, M6.4)
미야기현 해역 (2011년, M7.2)
후쿠시마현 하마도리 (2011년, M7.0)
후쿠시마현 나카도리 (2011년, M6.4)
나가노현 중부 (2011년, M5.4)
산리쿠 해역 (2011년, M7.3)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2011년, M7.0)
도리시마섬 근해 (2012년, M7.0)
지바현 동쪽 해역 (2012년, M6.1)
산리쿠 해역 (2012년, M7.3)
아와지섬 (2013년, M6.3)
후쿠시마현 해역 (2013년, M7.1)
후쿠시마현 해역 (2014년, M7.0)
나가노현 가미시로 단층 (2014년, M6.7)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15년, M8.1)
사쓰마반도 서쪽 해역 (2015년, M7.1)
구마모토 (2016년, M6.5+M7.3)
우치우라만 (2016년, M5.3)
돗토리현 중부 (2016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16년, M7.4)
이바라키현 북부 (2016년, M6.3)
나가노현 남부 (2017년, M5.7)
후쿠시마현 해역 (2017년, M5.9)
시마네현 서부 (2018년, M6.1)
오사카부 북부 (2018년, M6.1)
홋카이도 이부리 지방 (2018년, M6.7)
구마모토 (2019년, M5.1)
3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
휴가나다 (2019년, M6.3)
산리쿠 해역 (2019년, M6.2)
이즈 제도 해역 (2019년, M6.1)
야마가타현 해역 (2019년, M6.4)
미에현 남부 해역 (2019년, M6.6)
8월 후쿠시마현 해역 (2019년, M6.4)
2020년-현재
이투루프섬 해역 (2020년, M7.2)
오가사와라 제도 서쪽 해역 (2020년, M6.8)
이시카와현 노토지방 (2020년, M5.5)
4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2)
9월 미야기현 해역 (2020년, M6.1)
후쿠시마현 해역 (2021년, M7.3)
3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9)
5월 미야기현 해역 (2021년, M6.8)
노토반도 (2021년, M5.1)
이와테현 해역 (2021년, M5.9)
지바현 북서부 (2021년, M6.1)
도카라 열도 해역 (2021년, M6.1)
휴가나다 (2022년, M6.6)
후쿠시마현 해역 (2022년, M7.4)
이와테현 해역 (2022년, M5.6)
노토반도 (2022년, M5.4)
노토반도 (2023년, M6.5)
지바현 남부 (2023년, M5.2)
노토반도 (2024년, M7.6)
분고 수도 해역 (2024년, M6.6)
휴가나다 해역 (2024년, M7.1)
휴가나다 해역 (2025년, M6.9)
도카라 열도 해역 (2025년, M5.6)